• 제목/요약/키워드: mineral contents

검색결과 1,804건 처리시간 0.023초

난소 절제 쥐에서 우롱차의 섭취가 골밀도 및 골대사 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olong Tea Supplementation on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Related Markers in Ovariectomized Rats)

  • 정윤정;최미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80-488
    • /
    • 2012
  • Polyphenols may be primarily responsible for the health benefits associated with tea consumption. However, the benefits of the tea polyphenols to bone health have not been studied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olong tea on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related markers in ovariectomized rats. Sprague-Dawley female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Sham-Control, Sham-Oolongtea, Ovx-Control, and Ovx-Oolongtea groups.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bone mineral content (BMC) were estimated by using PIXImus (GE Lunar Co, Wisconsin.) in the spine and femur. After 6 weeks of the experimental diets, body weight gain, food intake, and food efficiency ratio (FE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Ovx groups than in Sham groups regardless of diet. The serum concentration of calcium, phosphorus, ALP, and calcitoni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Oolong tea supplement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urinary calcium and phosphorus excretion between all groups. The urinary DPD crosslinks 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vx-Control group than in the Sham-Oolongtea group. Spine BMD, femur BMD, and spine BMD per body weight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Ovx groups than in the Sham groups regardless of diet. In the OVX group, spine BMC per body weight, femur BMD per body weight and femur BMC per body weigh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olong tea groups than in Control groups. It was concluded that Oolong tea supplementation positively influenced bone health in ovariectomized rats.

톳유래의 무기성분강화염이 본태성 고혈압쥐와 정상쥐의 혈압과 미네랄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Hizikia Mineral Salts on Blood Pressure and Mineral Metabolism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and Normotensive Rats)

  • 김영명;변지영;한찬규;성기승;남궁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03-209
    • /
    • 2009
  • 본 연구는 톳유래의 무기성분강화염이 혈압과 무기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처리는 고 저 염식군(Hizikia mineral salt)과 대조군(정제염)의 세가지 처리군으로 하였고, 실험동물인 본태성 고혈압쥐(SHR/NCrj)와 정상쥐(WKY/NCrj)에 음용수의 형태로 식염을 급여하였다. SHR에서는 시험 6주째 수축기혈압(SBP)이 C군보다 고 저염식군(A, B)이 각각 17,24 mmHg 낮았고, 기준혈압(RBP)대비 시험 6주째 혈압의 상승율은 A, B, C군에서 각각 12, 4, 21%로 B군이 가장 낮았다. WKY의 경우 시험 6주째 SBP는 A군과 C군에서 각각 165, 164 mmHg인 반면, B군은 148 mmHg로 훨씬 낮았다. RBP 대비 시험 6주째 혈압의 상승율은 A, B, C군에서 각각 17, 7, 19%로 B군이 가장 낮았다. 소변과 분변 중의 미네랄은 SHR/WKY 종에서 무기 성분강화염군이 정제염군보다 $Na^+$ 함량은 유의하게 낮았지만 $K^+$함량은 무기성분강화염군이 정제염군보다 유의하게 또는 대체로 높았다. 소변과 분변 중 미네랄함량은 다소간 차이가 있었지만 대변보다 소변으로 더 많이 배설된 것으로 나타났다. 간장의 경우 SHR은 $K^+$을 제외한 $Na^+$, $Ca^{++}$$Mg^{++}$ 함량은 무기성분강화 염군보다 대조군이 통계적으로 높았다(p<0.05). WKY에서 $Na^+$ 함량은 고염식군(A)이 가장 높았고, 신장에서 SHR의 $Na^+$ 함량은 정제염군이 무기성분강화염군보다 높았지만 WKY에서는 오히려 A군과 B군이 대조군보다 높았고, $K^+$ 함량은 저염식군(B)이 가장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톳유래의 저염식은 $Na^+$ 함량은 낮추고 $K^+$ 함량은 높이는 등의 체내 미네랄 대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혈압상승 억제작용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유아용 조제분유의 무기물 함량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ineral Contents of Commercial powdered infant formula)

  • 김민정;박은경;전미라;김영길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6호통권86호
    • /
    • pp.836-840
    • /
    • 2007
  • 시판되고 있는 11종의 영아용 조제분유(0${\sim}$5개월용, 6${\sim}$12개월용)의 열량 및 Ca, P, Na, K, Mg, Fe, Zn, Cu의 함량을 표시된 첨가수준을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조제분유 100g및 100 kcal내 무기물 함량과 무기물 함량의 비율 (Ca/P, Ca/Mg, Ca/Fe, Na/K 및 Zn/cu)을 제품별로 분석하고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 의거하여 적합성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말형 조제유 100 g당 각 무기질의 함량은 전반적으로 고제분유기준에 충족됨을 알 수 있었다. 100 kcal를 기준으로 영양소 적정량을 제시한 Codex 규격과 비교분석한 결과, Ca, P, K, Zn, Fe, Cu는 Codex 기준 함량을 모두 충족하였으나 Mg의 경우 국내제품 한 종류를 제외한 나머지 시료들이 전반적으로 Codex의 권장함량을 충족시켰다. 영아의 에너지 필요추정량을 기준으로 한국인 영양섭취기준과 비교, 분석한 결과, Ca, K, Mg, P, Na, Cu 및 Zn의 경우 비교적 충분섭취량에 근접하였으나, Fe의 경우 충분섭취량의 2842.8%를 함유하여 독성을 우려하였으나 상한섭취량을 벗어나지는 않았다. 6${\sim}$ll개월용 제품의 경우, Ca, P, K, 및 Cu이 각각충분섭취량을 함유하고, Fe와 Zn가 각각 권장섭취량이상을함유하고 있는 반면 Na이 충분섭취량의 약 「6.6% 정도 함유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무기물간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 Ca/P 비율의 경우, 평균 1.7${\pm}$0.15(0${\sim}$5개 월), 1.73±0.16(6${\sim}$ll개월), Ca/Mg의 경우, 평균 10.97${\pm}$2.40(0 ${\sim}$5개월), 12.87${\pm}$1.52(6${\sim}$ll개월), Ca/Fe의 경우, 평균 64.90${\pm}$9.98(0${\sim}$5개월), 80.10${\pm}$13.79(6${\sim}$ll개월)의 비운을 나타내었다. Na/K의 경우, 평균0.3${\pm}$0.1(0${\sim}$5개월)이며 6${\sim}$ll개월용의 경우 0.3으로 일관적인비율로 함유되었다. Zn/cu의 경우, 평균 9.58${\pm}$1.04(0${\sim}$5개월), 9.44${\pm}$1.05 6${\sim}$ll개월)으로 개월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유사한 비율을 나타내었다.

재배조건(이앙시기, 수확시기, 질소시비)별 쌀의 무기질 조성 비교 (Comparison of Mineral Contents of Three Rice Varieties under Different Cultural Practices)

  • 황혜림;김경희;이정;정종태;이재철;최종진;천종필;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21-726
    • /
    • 2009
  • 재배조건별(이앙시기, 수확시기, 질소시비수준)에 따른 쌀의 무기질 조성의 차이를 분석 비교하기 위하여 3가지 품종(조생흑찰, 흑진주벼, 동진찰벼)의 Ca, Na, Mg, Na, P, Fe, Mn, Zn 함량을 분석하였다. 이앙시기에 따른 조생흑찰의 무기질 조성은 이앙시기가 늦어질수록 무기질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이앙시기에 따른 Mg/K 함량비의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수확시기에 따른 조생흑찰의 무기질 조성은 수확시기 60일에 최대값을 보였고, 수확시기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질소시비에 따른 조생흑찰의 무기질 조성은 질소시비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13.5 kg/a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Mg/K 함량비는 질소시비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이앙시기에 따른 흑진주벼의 무기질 조성은 Ca, K, Mg, Na, P, Zn이 5월 15일, 5월 25일에 비교적 높은 값을 보였으나 이앙시기에 따른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고, 흑진주벼의 수확시기와 질소시비수준에 따른 무기질 조성의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질소시비수준이 증가할수록 흑진주벼의 Mg/K 함량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앙시기별 동진찰벼의 무기질 조성에서, 이앙시기가 5월 25일과 6월 14일에서 대부분의 무기질 함량이 증가하였고, Mg/K 함량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수확시기에 따른 동진찰벼의 무기질 함량은 60일과 70일에 높은 값을 보여 전반적으로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Mg/K 함량비는 30일과 40일에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질소시비수준에 따른 동진찰벼의 무기질 조성은 질소시비수준이 증가할수록 Ca의 함량이 증가하였고, Ca을 제외한 다른 무기질은 시비수준에 따른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Mg/K 함량비는 조생흑찰, 흑진주벼와는 달리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쌀은 품종과 재배조건 및 토양의 영양 이용성에 상당히 의존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뽕잎강정의 일반성분, 무기질 함량 및 Texture 특성에 관한 연구

  • 여정숙;김애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35-145
    • /
    • 2001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nalyze chemical composition, minerals and texture characteristics of Pongnipgangjung in various volumes of adding Pongnip powder. With increasing Pongnip powder level, moisture, total nitrogen,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cont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a, P, K and Mg contents of Pongnip powder 1%, 3%, 4% was higher than Pongnip flour free group. According to rheometer evaluatuion, Pongnipgangjung added Pongnip powder 1% showed higher level of hardness than Pongnip powder 3%, 4% and free group. In sensory evaluation, the results of preference are in the following order Pongnipgangjung added Pongnip powder 1%, 3%, 4% and free group.

  • PDF

NUTRIENT CHARACTERISTICS OF SOME LOCALLY AVAILABLE FEED RESOURCES IN FIJI

  • Ochetim,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5권1호
    • /
    • pp.97-100
    • /
    • 1992
  • Locally available milk mix, coconut meal, cassava root meal, cassava leaf meal, maize, meat meal, fish meal, rice bran, rice polishings, wallow, molasses and coral sand in Fiji were analysed for proximate components, gross energy and mineral contents. The results obtained indicated typical and variable amounts of nutrients in these materials. On the basis of their nutrient contents, the potential usefulness and weaknesses of the various feed materials are discussed with specific reference to the formulations of diets for livestock and poultry in Fiji based on these locally available feed materials.

지상층용 저시멘트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특성에 관한 기초적 연구 (Fundamental Study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Low Cement Concrete for Typical Floor)

  • 송영찬;김용로;민충식;송용원;박종호;정용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46-47
    • /
    • 2013
  • In this research, it is investigated strength development by replacement ratio of mineral admixture contents, types of superplastisizer and strength improvement material contents based on industrial byproduct to expand use of low cement concrete for typical floor.

  • PDF

석탄회 시용이 논 토양수중의 중금속성분 용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ly Ash on Heavy Metal Contents in Percolated Water of Paddy Soil)

  • 김용웅;윤정한;신방섭;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36-242
    • /
    • 1996
  • 논토양에 무연탄회와 유연탄회를 토양무게의 0%, 15%, 30%로 pot에 첨가하고 수도를 재배하면서 침투수 중 중금속의 용탈량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침출수 중의 철의 용탈은 재배 후기에 높았으며 수도 재배로 철의 용탈은 증가되나 석탄회 처리간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침투수중의 Mn의 용탈량은 재배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으로 재배구의 용탈량이 높았으며 석탄회 처리간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아연의 용탈은 수도 재배 20-25일 경이 가장 높았고 그 이후는 감소되는 경향으로 석탄회 시용으로 용탈량이 증가되지는 않았다. Cu의 침투수중 용탈량은 재배와 더불어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석탄회 시용으로 Cu의 용탈량은 증가되지 않았으며 수도재배의 영향도 뚜렷하지 않았다. 침투수중 Pb의 용탈은 재배와 더불어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며 석탄회 처리로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고 7월 중순 이후는 거의 용탈이 되지 않았다. 침투수 중의 Cd 용탈량은 재배 15일 경에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 감소하여 재배 40일 이후 거의 용탈되지 않는 경향이었으며 석탄회 처리의 영향은 크지 않았다. 석탄회를 처리한 수도재배 조건하에서 투수중 중금속의 용탈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우려할 양은 아니었다. 이것은 원래 석탄회 중의 중금속 함량이 낮았고, 또 토양의 pH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중금속의 용해도가 감소되어 가용성 중금 속의 침출량이 적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몽골 촉트체치 지역의 동 광화작용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Copper Mineralization in Tsogttsetsii Area, Mongolia)

  • 오트곤-에르덴 다바수렌;이범한;김인준;류충렬;허철호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3-34
    • /
    • 2016
  • 반암동 광화작용이 수반된 관입암체로 이루어진 촉트체치 지역은 몽골 남부 중앙아시아 조산대의 구르반사이한 호상열도 지형에 위치한다. 이러한 촉트체치 지역에서 예비조사를 수행하였다. 촉트체치 지역의 동 광화작용은 페름기에 관입한 알칼리 화강암과 관련된 반암동 광상이다. 공작석이 산출되는 알칼리 화강암 지역에서 프로필리틱 변질대가 넓게 분포한다. 편광현미경에서 확인된 광석광물은 자철석, 황철석, 반동석이다. 프로필리틱 변질대 시료에서는 석영, 견운모, 녹니석, 녹렴석 등이 관찰되었다. XRD와 SEM-EDS 분석 결과 동 광물은 주로 공작석과 적동석으로 이루어진다. 공작석 산출지에서 채취한 시료의 평균 동 함량은 759 ppm이고 최대 동 함량은 6190 ppm이다. 촉트체치 지역의 광화작용 특성은 촉트체치 지역으로부터 남쪽으로 56 km 떨어진 오유 톨고이 동-금(-몰리브덴) 광상 및 북동쪽으로 120 km 떨어진 차간 수바르가 동-몰리브덴 광상과 유사하다. 조사지역의 지질, 지구조 환경, 암상, 광물, 변질 등이 다른 반암동 광상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촉트체치 동 광화 지역에 대해 지하 광체 확인을 위한 IP 탐사를 포함한 추가 광물자원 탐사가 필요하다.

해조류 NDF에 결합된 주요 무기질(Ca, P, Mg)의 함량 분석 및 추정 이용률 (Estimated Availability and Major Minerals (Ca, P and Mg) Contents Bou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of Seaweeds)

  • 곽연화;배승철;김대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1073-1077
    • /
    • 2010
  • 해조류는 다당류인 수용성 식이섬유와 무기질의 공급원으로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이나 단위 동물에 있어서는 해조류의 세포벽물질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를 갖고 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에 결합된 무기질은 인체 내 소화가 대부분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조류의 무기질 함량을 측정하고, 해조류 다당류인 세포벽 물질(NDF, netural detergent fiber)에 결합된 다량 무기질인 Ca, P, Mg을 측정하여, 원래 해조류에 함유되어 있던 무기질 함량에서 NDF에 결합된 무기질의 함량을 감한 후 계산하여 실질적인 해조류의 무기질 추정 이용률을 산정하였다. Ca과 Mg의 경우, NDF에 결합된 무기질의 평균 함량은 각각 77.59, 45.62 mg/100 g NDF로 모두 96% 이상의 높은 추정 이용률을 보였고, P의 경우에는 NDF에 결합된 무기질의 함량이 많아 그 추정 이용률은 73.24%로 비교적 낮았다. P의 경우, NDF에 결합된 함량이 비교적 높았지만 70% 이상이 실질적으로 소화되어 이용가능하며, Ca과 Mg은 모두 96% 이상의 높은 추정 이용률을 보여 대부분의 무기질이 실질적으로 소화되어 이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해조 다당류인 수용성 식이섬유와 무기질의 급원으로 알려진 해조류는 인체 내의 소화율을 고려한다고 하더라도 무기질의 높은 이용률을 보일 것으로 판단되어 무기질의 급원으로 그 이용이 기대된다. 더욱이 해조류는 한국인에게 부족한 영양소로 주목 받는 Ca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동시에 그 추정 이용률이 90% 이상으로 높아 Ca의 공급원으로써 해조류의 이용을 기대하며, 추후 추정 이용률을 토대로 소화율을 고려한 무기질의 생체이용률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