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itary adaptation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8초

자기 정규화를 통한 도메인 불변 특징 학습 (Learning Domain Invariant Representation via Self-Rugularization)

  • 현재국;이찬용;김호성;유현정;고은진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82-391
    • /
    • 2021
  • Unsupervised domain adaptation often gives impressive solutions to handle domain shift of data. Most of current approaches assume that unlabeled target data to train is abundant. This assumption is not always true in practices. To tackle this issue, we propose a general solution to solve the domain gap minimization problem without any target data. Our method consists of two regularization steps. The first step is a pixel regularization by arbitrary style transfer. Recently, some methods bring style transfer algorithms to domain adaptation and domain generalization process. They use style transfer algorithms to remove texture bias in source domain data. We also use style transfer algorithms for removing texture bias, but our method depends on neither domain adaptation nor domain generalization paradigm. The second regularization step is a feature regularization by feature alignment. Adding a feature alignment loss term to the model loss, the model learns domain invariant representation more efficiently. We evaluate our regularization methods from several experiments both on small dataset and large dataset. From the experiments, we show that our model can learn domain invariant representation as much as unsupervised domain adaptation methods.

기후변화와 군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n Climate Change and Military Response Strategies)

  • 박찬영;김창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171-179
    • /
    • 2023
  • 인간에 의한 기후변화로 전 지구적 이상 기상현상이 발생해 재난이 증가하고 있다. 주요 선진국(군)은 극한기상 출몰에 따른 재난을 대비 중이다. 다만, 현재 방재계획·설비가 통계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빈도·강도법을 기준으로 시행되었는데, 잦아지는 극한기상에 따른 재난을 확률 근거 기반 대비로는 부족하다. 미군과 영국군은 가장 빨리 기후변화 및 재난양상 변화 위협 관련 연구 및 정책적 접근을 해왔고,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모두 고려하고 있다. 우리 군은 재난에 대한 인식을 '풍수해' 정도로 여기며, 기후변화 양상에 따른 극한기상과 재난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미국과 영국)의 재난관리시스템 구축과정을 살펴보고 기후위기와 극한기상이 출몰하는 상황에서 각 국(군)의 대응 정책을 문헌분석 기법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우리 군은 빈틈없는 안보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가능성과 회복탄력성에 초점을 둔 대응정책을 수립해야하며, 다음 세 가지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 첫째, 기후변화로 변화될 환경에 대비한 미래 한반도 작전 환경 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지속가능성을 위해 기후변화 '적응정책'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셋째,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 가능한 미래재난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군생활 적응 향상 프로그램이 전.의경의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 자아존중감, 군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Program Improving Adjustment to Military Life, on Stress, Depression, Idea of Suicide, Self-esteem, and Adjustment to Military Living in Auxiliary Police)

  • 김종임;윤혜선;한선옥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87-394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whether the program, improving adjustment to military life would have an effect on stress, depression, idea of suicide, adjustment to military living, and self-esteem in auxiliary police. Method: This quazi experimental study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 to May 30, 2007. Using convenience sampling, the researcher recruited 120 auxiliary police and randomly assigned each to either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n 8-week program to improv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Results: Anxiety, stress, depression, idea of suicide, self-esteem, and adjustment to military liv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ograms to improv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would improve psychological health and adaptation of military living in auxiliary police. Replication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 effects of this program and to identify the long-term maintenance effects of the program.

  • PDF

접적지역 복무 병사의 적응도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Adaptation of Service Personnel in the Entrance Region)

  • 박상혁;윤여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3호
    • /
    • pp.191-195
    • /
    • 2019
  • 우리나라는 정전으로 남북관계가 대치됨에 따라 남북의 MDL(군사분계선)을 기준으로 남북 간의 전쟁이 언제라도 촉발될 수 있는 위험한 상황에 처해 있다. 또한, 타 국가의 국경과는 달리 남북의 접경지역은 전쟁으로 촉발될 수 있는 생명의 위협을 느낄 수 있는 곳이 최전방 접적지역이다. 접적지역과 같은 특수한 지역에서 근무하는 병사들은 지역적 여건상 접근성이 용이하지 못하여 외출, 외박, 면회가 적은 실정이고, 근무 환경은 야밤에 넓은 숲과 적막함이 넘치고 적과 근접하여 언제 어떤 상황이 일어날지 모르기에 불안함과 외로움 그리고 불안함이 과중 되는 지역이다. 따라서 이곳에서 목숨을 내놓고 국방의 의무를 수행하는 병사들에게 관심을 갖고 병영생활을 안전하고 충실히 마칠 수 있도록 많은 도움이 필요할 것이며, 접적지역 복무병사들의 심리적 적응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자기존중감 및 통제소재가 병사의 군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매개 효과 (Effects of Self-esteem, Locus of Control to Military Life on Soldiers Adjusting: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 이주희 ;김정규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1권3호
    • /
    • pp.299-315
    • /
    • 2015
  • 본 연구는 군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된 자기존중감, 통제소재,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요인들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구조 모형을 검증함으로써 군 적응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소재 육군 소속 이병에서 병장까지의 현역 병사 447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자기 보고식 질문지를 통해서 자기존중감, 통제소재,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 방식, 군 적응이 측정되었다. 신뢰도 검사를 통해 각 척도의 신뢰도를 측정하였고, 변인 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다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자기존중감, 내적 통제와 같은 내적 특성이 각각 사회적 지지와 적극적 대처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적극적 대처, 사회적 지지가 군 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적 통제, 자기존중감이 사회적 지지와 적극적 대처를 통해 군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사회적 지지와 적극적 대처 방식이 내적 특성과 군 적응 사이의 매개 변인의 역할을 함을 밝힌 것이다. 본 연구는 개인의 내적 특성과 적응 간의 연구들에 제한점을 주는 것으로 사회적 지지 체계의 확립이나 대처 행동 훈련과 같은 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PDF

직업군인 전역 전.후 사회적응 과정에 관한 고찰 (The Review on the Social Adaptation process of Professional Soldiers before and after Discharge)

  • 정재극;정두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4권6_1호
    • /
    • pp.139-145
    • /
    • 2014
  • 우리 군은 미래전에 대비하기 위해 첨단화된 무기와 교육훈련으로 세계 최강의 전투력을 가진 군대로 성장하였지만 이를 운용하는 군인의 정년은 늘지 않고 있다. 퇴직 후 30-40년 이상 사회생활을 해야 하지만 타 공무원 조직보다 상대적으로 정년이 짧은 직업군인들에 대해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군 생활을 하면서 다양한 경험과 능력을 사회생활에 접목하고자 하였지만 극소수를 제외하고는 사회에서 활용할 수 없다는 것에 상실감을 느끼고 있다. 직업군인이 인생의 전부인 것처럼 살아왔는데 어느 날 전역이라는 종점이 왔다. 그러나 그것은 인생 2막에 대한 시작일 뿐 아직도 군생활보다 더 긴 사회생활이 남아 있다. 이를 현명하고 치밀하게 준비하여 군생활의 아름다운 마무리와 올바른 사회적응과정을 거쳐 행복한 삶을 이어갈 수 있는 준비를 해야 한다.

군 병사의 군 생활스트레스와 군 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s of Relationship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Life Stress and Military Adjustment of Soldiers)

  • 김세원;신창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216-227
    • /
    • 2015
  • 본 연구는 군 병사의 군 생활스트레스와 군 생활적응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충남과 대전지역의 군 병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최종 453명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첫째, 군 병사의 계급과 병과에 따른 대인관계능력과 군 생활적응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군 생활스트레스가 높으면 대인관계능력은 낮아지고 군 생활적응도 힘들어지며, 군 병사의 대인관계능력이 높을수록 군 생활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군 생활스트레스와 군 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요인 중 개방성에서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군 병사의 군 생활스트레스를 조절하여 군생활적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인관계능력 중 개방성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복무부적응 병사의 군생활 패턴 (Military Life Pattern of Maladjusted Soldiers)

  • 이은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501-511
    • /
    • 2020
  • 본 연구는 복무 부적응 병사들의 군 생활 경험과 패턴을 발견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 장소는 A지역 복무 부적응 병사 치유 프로그램 진행장소이고, 연구 기간은 2016년 9월부터 2017년 12월까지였다. 복무 부적응 병사의 군생활 경험 패턴을 분석한 결과로 입대 초기 영역, 입대 중기 영역, 적응 실패 영역의 3개의 영역과, 5개의 문화적 주제, 12개의 범주, 29개의 속성으로 분류되었다. 영역별 문화적 주제는 '낯선 군 문화에 던져짐', '힘겨운 시간', '집단 속에서 혼자서 버티기', '지울 수 없는 군 생활의 고통', '고통스런 삶을 벗는 마지막 선택' 이었다. 결과적으로 복무 부적응 병사는 현 상황을 벗어나기위한 방법으로 자살을 시도하였지만, 입대 초기 군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적극적 도움이 필요한 시기가 있고, 적응 중기에 미숙한 사건 대처 방법에 대해 가이드가 필요하며, 적응 실패 영역에서 군에서의 삶을 비관하며 죽음을 선택하는 인식의 오류를 발견할 수 있도록 개별 맞춤형 전략과 정신보건전문가의 근접 도움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복무 부적응 병사를 돕기 위한 정신 간호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자살 예방사업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 기대한다.

국방규격작성 방법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orean Defense Specification Practice Standard Development Initiative)

  • 송재용;손승현;성인철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90-101
    • /
    • 2008
  • Korean defense specifications are the technical criteria of military products and major factor of acquisition system. Weapon systems and acquisition technique have been advanced dramatically after 1990's, but Korean defense specification practice standard has stayed after early 1980's except embedded software. The current status of current Korean defense specification practice standard and trend of related design and acquisition techniques like M&S, SBA, and digital manufacturing have been reviewed. This paper suggests that transfer to product, IT oriented specification structure, adaptation of digital product model and reinforcement of engineering management systems to establish a development initiative of Korean defense specification practice stand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