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grants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9초

브렉시트 캠페인 기간 동안 영어 미디어에 나타난 이민자들 (Migrant Representation in the English-language Media during the Brexit Campaign)

  • 이재승
    • 비교문화연구
    • /
    • 제45권
    • /
    • pp.325-348
    • /
    • 2016
  • 본 논문은 브렉시트 캠페인 기간 동안 영어권 국가, 영국, 미국, 캐나다, 그리고 호주의 미디어에서 이민자들이 어떻게 표현되는지 살펴본다. 코퍼스 지원 담화연구의 틀을 사용한 본 연구는 브렉시트 국민투표 캠페인이 시작된 날부터 국민투표가 실시되기 전 날까지(2016년 4월 15일-6월 22일) 검색기간으로 설정하고, 검색어 'Brexit'가 포함된 모든 기사를 수집하여 브렉시트 캠페인 코퍼스를 구축하였다. 수집된 코퍼스 자료를 통해서 이민자를 나타내는 어휘들, IMMIGRANT, MIGRANT, 그리고 REFUGEE의 빈도를 관찰하고, 이 어휘들과 함께 나타나는 연어를 분석하였다. 또한 세 어휘의 연어들을 사회적 행위자 범주에 따라 분류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IMMIGRANT의 연어는 법적 상태 및 출신지역 어휘들과 연관성이 있고, MIGRANT는 경제적인 용어들과 주로 연어 관계에 있으며, REFUGEE는 큰 수를 나타내는 어휘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민자들은 기능범주, 유형범주, 그리고 평가범주를 통해서 묘사되며, 특히 영국과 미국의 미디어에서 이민자들이 부정적으로 그려지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특정 현상 및 특정 집단의 사람들을 가리킬 때 특정 어휘가 사용되며, 코퍼스 지원 언어분석이 해당 사회의 사회 문화 정치적 상황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습권 실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학부모, 교사 등 관계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upport Policy for the Realization of Right to Learn of Youth Migrants in Korea: Focusing on Parents, Teachers and Experts)

  • 김현진;노기섭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533-538
    • /
    • 2021
  • 본 연구는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습권 보장과 관련하여 교육 관련 종사자와 학부모의 인식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교 교육기회와 적응 실태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 수집 및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초기정착, 기본권으로서 사회보장 지원, 학습권 보장, 심리지원의 4개의 범주와 7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첫째,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습지원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 둘째, 학교 부적응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교육과정 구성, 셋째, 개별 맞춤형 지원 제도 수립, 넷째, 정보제공 등 지원 제도의 적극적인 홍보, 마지막, 심리적 안정을 위하여 제도의 다변화를 제안하였다.

이민자 공동체의 공간적 경관 (Spatial Landscape of Immigrant Communities in Seoul)

  • 이자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383-395
    • /
    • 2021
  • 도시 경관의 다양성은 건축물과 가로패턴, 그리고 사람들의 인문적 특성 이른바 언어와 색과 움직임 등의 동태적 특성에 의해 정립된다. 한국의 해외이주민의 증가와 함께 지역사회의 행정과 국토정책상 새로운 지침이 필요하다. 2000년대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외국인 이주민에 대해 행정, 사회학적, 그리고 지리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각 국가별 민족별 상이한 문화와 생활양식이 기존 주류사회와 어떠한 통합 과정을 거치고 안전하고 건강한 공간성을 구축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밀한 실험은 미흡한 상황이다. 통계적 데이터의 결핍된 부분과 소수 비율의 외국인 거주자에 대한 대표성을 파악하기에 한계가 있다. 지역사회의 통합적 전략에 대한 핵심요소를 지표화하기 위해서 외국인 이주자들의 거주지 행태와 공간적 특성이 우선 파악되어야 한다. 통계적으로 계량화하기 어려운 소수의 공동체에 관한 공간적 요소를 분석을 위해 경관적 접근을 실험해보고자 한다.

국내 농촌 이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국·내외 연구 동향 분석 - 계량서지학적 방법론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Internal and External Research Trend on the Issues of Rural Migrant's Social Integration - Focused on Bibliometric Method -)

  • 김두원;남진보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35-44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driver change of recent research in relation to rural and migrant and draw overarching issues as well as to provide implications to contribute to migrants' social integration in Korean rural areas. As for th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data through quantitative bibliographic analysis (quantitative data) and research keywords by period were derived. To address the aim this study employed bibliometric analysis utilising netwok mapping interface analysis by VOSviewer and topic modeling analysis by Netminer. The findings were revealed that firstly mental health issues in abroad research and employment and discrimination in domestic research both derived from migrant mobility constituted staple key issues, secondly internal and external research differed two issues in health and violence where Korea has overlooked the issues seriously.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implications which are about first, health and violence-related sections for migrants should be specified into domestic law, second domestic-focused MIPEX index should be developed in which the two issues are over-weighted and last such newly emerging approach 'inclusive formation of social psychological mechanisms should be widely spread. Concluding remark is that delivering the implications can be foster to migrants' integration in rural area underlining that this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migrants' quality of life.

HIV/AIDS에 대한 한국정부의 이주정책 -동아시아의 이주민 도입국과 이주민 송출국과의 비교- (The Korean Government's Migration Policy on HIV/AIDS - Comparing with Migrant-Receiving and Migrant-Sending Countries in East Asia -)

  • 이정환;이성용
    • 국제지역연구
    • /
    • 제13권1호
    • /
    • pp.17-38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이주민과 HIV/AIDS에 대한 한국정부의 정책과 대응방식 및 이것들의 법적인 근거를 밝히고 그러한 법과 규제가 HIV/AIDS의 확산을 방지하는 데 지니는 효과성을 검토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 연구는 광범위한 문헌연구와 한국, 일본, 대만, 홍콩, 중국, 몽골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들의 관련 정부 당국자, 전문가, 비정부조직 지도자들을 상대로 심층면접을 실시했다. 연구의 결과는 한국이 HIV감염 외국인의 입국과 체류를 어떻게든지 금지시키는 매우 엄격한 정책을 유지하고 강력한 규칙과 규제를 시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관련해 이 연구는 이러한 한국정부의 이주민 HIV/AIDS정책이 제기할 수 있는 논란과 문제를 공중보건과 인권의 측면에서 논의한다.

결혼이주여성 관점에서의 다문화가정 여가생활 (The Leisure of Multi-Cultural Family in Marriage Migrant Women's View)

  • 차성란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5권1호
    • /
    • pp.51-70
    • /
    • 2011
  •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leisure life on multi-cultural family from a view of marriage migrants women.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of 24 marriage migrants women who came from 7 countries such as Vietnam, China, Japan etc. They are living in Daejeon city, Okcheon gun(Chungbuk), Gumi city(Gyungbuk) and the length of residence is ranging from 4 and half month to 13 years and 6 months. Data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method.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dividual and family leisure of marriage migrant women had positive effects on adaptation of her family life. Especially, in the early marriage stage, family leisure contributed women's emotional stability. Second, time was the most limiting constraints in family leisure of multi-cultural family. Third, early in the marriage, marriage migrant women who is not fluent in Korean language, customs, and courtesy hinders them from joining their family leisure. Fourth, leisure may seem to contribute to family life satisfaction, but marital relationships and household economy has to be settled beforehand.

  • PDF

도시근교 농촌경관에 대한 거주민별 주관적 인식 비교 - 귀농·귀촌인의 특성을 고려한 경관관리 방안모색 - (Comparing subjective landscape perceptions between the native and non-native residents in suburban rural area - Searching for a landscape managemen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to rural migrants -)

  • 이차희
    • 농촌계획
    • /
    • 제26권3호
    • /
    • pp.13-24
    • /
    • 2020
  • As the importance of rural landscapes has recently emerged due to an increase in number of urban to rural migrants into suburban area in Korea, this study empirically grasps the differences in subjective landscapes perceptions between native and non-native residents. and tried to explore new landscape management possibilities through the role of each residents group. To this en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photo-elicitation with walking', the residents' landscape perception objects, perception factors, and perceived feelings are derived, and then th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landscapes perception between native and non-native residents group were analyzed. As a result, native residents perceived everyday landscapes relatively meaningfully and provided abundant information in all aspects, while non-native residents mainly recognized characteristic landscapes and responded more sensitively to visual and environmental perception factors than the natives. Non-native residents also showed strong willingness to improve the degraded landscape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a basis for exploring the role of residents in rural landscape planning and management in the future.

최근 인구이동 추세의 변동 (Measuring the changes in the trend of urban and rural migration in Korea)

  • 김남일
    • 응용통계연구
    • /
    • 제11권2호
    • /
    • pp.221-232
    • /
    • 1998
  • 인구총조사의 인구 이동 추정 방법에 의하면 행정구역 개편은 이동인구 추정치에 영향을 주어 그 추세 파악을 어렵게 한다. 1995년 대규모 행정구역 개편이 있었음에도 인구총조사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비가 없었다. 따라서 이 논문은 행정구역 재편이 인구이동의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간접적으로 추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최근 인구 이동 추세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고 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19995년 기간의 행정구역 개편은 대체로 총이동을 다소 감소시켰으며 이동형태별 인구이동에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1985-90년∼1990-95년 기간 인구이동의 추세를 보면 행정 구역 개편의 영향을 제거하였을 때 총이동수는 단순 조사결과보다 2% 포인트 더 높은 8.5%가 증가하였고 이동형태별로는 농촌 도시간의 인구 이동에서 군부의 순전출이 대폭 감소하였다. 또한 군부 순전출 인구의 감소추세는 일부 한정된 지역이 아닌 전국적인 현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raving Jobs? Revisiting Labor and Educational Migration from Uzbekistan to Japan and South Korea

  • DADABAEV, TIMUR;SOIPOV, JASUR
    • Acta Via Serica
    • /
    • 제5권2호
    • /
    • pp.111-140
    • /
    • 2020
  • This paper focuses on the emerging patterns of educational mobility and unskilled labor migration from Uzbekistan to Japan and South Korea. Labor migration and educational mobility are becoming the next "horizon" in the expanded relationship between East and Central Asia, powered by several factors, including the efforts by Japan and South Korea to build "original" people-oriented policy engagements with the region and the demand from Central Asian states, such as Uzbekistan, to provide more labor opportunities to their young and growing populations. This paper presents the initial findings of a pilot survey that explores and occasionally compares the experiences of Uzbek migrants to Japan and South Korea, using datasets of face-to-face interviews related to various aspects of life in Japan and South Korea.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face to face and online (Telegram, Skype, etc.) with 66 migrants and Japanese language school students (whom this paper treats as labor migrants masquerading as students) in Japan from November 2019 to January 2020 as well as online with 30 laborers and students in South Korea from August to September 2020.

The Influence of Whiteness on Social and Professional Integration: The Case of Highly Skilled Europeans in Japan

  • Miladinovic, Adrijana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9권2호
    • /
    • pp.84-103
    • /
    • 2020
  • Spurred by the ongoing globalization, an increase in mobility has diversified migrant categories and strengthened intercultural rapport. Alongside the "traditional" migrants, "White" (Caucasian) individuals are coming into greater focus of migration studies as "lifestyle migrants". Although White migrations are not a new phenomenon, the deep-seated idea of White supremacy continue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temporary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warding Whites across communities a "cosmopolitan" status of highly educated cultural elites. As such, the focus of this research is on highly skilled White European migrants, on their subjective experiences of integration in Japan, and whether they perceive Whiteness as an obstacle or an advantage in this process, if integration is desired at all. To discern the connection between race and integration,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non-White majority society of Japan as it has established racial hierarchies according to the Western models, consequently influencing the status of its contemporary White immigrants. Privileged, yet singled out as racial and cultural role models, White Europeans' integration seemingly becomes nearly impossible. The data obtained in fifteen semi-structured interviews confirms that Whiteness grants advantages when entering the Japanese job market, but remains an obstacle in everyday community integration. European professionals do not feel accepted and abandon efforts to integrate, if such were made, retreating into "cosmopolitan islets" wherein they renegotiate their White European ident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