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line orientat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6초

신경발달치료 접근법을 기초한 옷 벗기 기술 훈련이 뇌성마비 아동의 신체중심선과 보호반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Approach Based Undressing Skill Training on the Midline Orientation and Protective Reac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이혜림;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1-49
    • /
    • 2016
  • 목적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에게 신경발달치료 접근법을 기초한 옷 벗기 기술 훈련에 따른 신체중심선과 보호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B시에 거주하는 만 3세 5개월 남아와 만 4세 5개월 여아로 뇌성마비 진단을 받았다. 본 연구는 단일대상연구 중 AB 디자인을 사용하였고, 기초선 기간(A) 2회, 중재 기간(B) 10회로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중재는 신경발달치료 접근에 기초한 옷 벗기 훈련을 실시하였고, 평가로 신체중심선은 Miller Assessment for Preschoolers(MAP)의 하위 항목인 Stepping 항목을 사용하였으며, 보호반응은 Quality Upper Extremity Skill Test(QUEST) 검사의 하위 항목인 보호반응 항목을 사용하였다. 결과 : 아동의 신체중심선은 기초선 기간과 비교하여 중재기간이 2표준편차 이상으로 감소하였다. 보호반응은 오른쪽과 왼쪽 모두 중재기간 평균점수가 기초선 평균점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뇌성마비 아동에게 신경발달치료접근법을 기초한 옷 벗기 기술 훈련이 신체중심선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앞으로 집단 연구를 통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상악 정중부 과잉치의 양상과 발거 후 병발증 치유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EATURES OF MESIODENS AND THE RESOLUTION RATE OF COMPLICATIONS AFTER THE EXTRACTION OF MESIODENS)

  • 전은민;김태완;김현정;남순현;김영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68-277
    • /
    • 2008
  • 상악 정중부 과잉치는 혼합치열기 및 영구치열기 아동에서 많은 병발증을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6년간 경북대학교 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상악 정중부 과잉치를 지닌 1171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상악 정중부 과잉치의 양상과 병발증을 조사하고 발거 후 병발증의 치유율에 관해 조사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1. 상악 정중부 과잉치를 발견하게 된 동기로는 다른 원인으로 상악 중절치부를 우연히 방사선사진 촬영한 경우 23.4%, 상악 정중부 과잉치의 맹출 16.1%, 충치 치료를 위해 상악 중절치부를 방사선사진 촬영한 경우 15.1%로 나타났다. 2. 상악 정중부 과잉치로 인한 병발증이 나타나지 않은 경우는 36.8%, 인접 영구전치의 맹출 지연을 야기한 경우가 34.4%, 정중 이개가 16.1%였다. 3. 상악 정중부 과잉치의 외과적 발거 시 인접 영구중절치의 치령은 치근길이의 1/2이상에서 2/3이하가 54.7%였다. 4. 상악 정중부 과잉치의 발거 후 정중 이개와 인접 상악 영구전치의 맹출 지연 치유율은 외과적 발거 시 인접치의 치령이 치근 길의 1/2이하인 경우 맹출 지연에서 65.27%로 유의성있게 높았으며(P<0.05), 정중 이개에서는 인접측절치와 중절치 간의 총생이 없는 경우에서 그 치유율이 68.23%로 유의성있게 높았다(P<0.05).

  • PDF

상악정중부 과잉치의 양태와 병발증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EATURES OF MESIODENS AND COMPLICATIONS)

  • 이윤석;김정욱;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75-283
    • /
    • 1999
  • 저자는 1996년 4월부터 1998년 7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상악정중부 과잉치를 지닌 혼합치열기 및 영구치열기 아동 152명을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환아의 연령, 성별과 상악정중부 과잉치의 보유수, 맹출여부, 치관 형태, 위치, 치관 방향과 병발증을 조사하고 상악정중부 과잉치의 양태와 병발증의 상관관계를 chi-square analysis를 이용해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악정중부 과잉치로 인한 병발증이 나타나지 않은 경우가 31.6%, 인접 영구전치의 맹출 지연을 야기한 경우가 33.6%, 정중이개가 22.4%, 회전이 8.6%, 전위가 3.3%, 총생이 0.7%이었다. 2. 8.5세 이상 군에 비해 8.5세 미만 군에서 병발증 발생 빈도가 유의성 있게 높았으며(P<0.05), 상악정중부 과잉치가 설측에 위치한 경우에 비해 협측이나 치궁내 위치한 경우에 병발증 발생 빈도가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1). 또 결절형인 경우에 병발증 발생 빈도가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5). 3. 병발증이 나타난 10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8.5세 미만 군에서 맹출지연의 빈도가, 8.5세 이상 군인 경우에는 부정교합의 빈도가 유의성 있게 높았고(P<0.05), 상악정중부에 위치하는 경우 부정교합의 빈도가, 편위된 경우에는 맹출지연의 빈도가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1).

  • PDF

다양한 부위의 재건에 있어 유리복직근 피판술의 이용 (Free Rectus Muscle or Myocutaneous Flap for Reconstruction on the Various Sites)

  • 안기영;이재욱;한동길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5권1호
    • /
    • pp.80-91
    • /
    • 1996
  • A free rectus abdominis flap can include a variable amount of muscle length depending on recipient site requirements. There is also great flexibility in flap design in terms of size, orientation of its axis, and the level of its location over the muscle. It is safe to design the skin island across the midline. Though skin islands designed over the most inferior portion of the abdomen have not always proved reliable when based on the superior epigastric artery, free flaps based on the inferior pedicle can be successfully designed in this area. As free flap based on the inferior epigastric vessels, this flap has been useful for large head and neck defects following ablative procedures, for facial contour restoration as a buried flap, for upper extremity defects, for lower extremity defects such as coverage of grade III tibial fractures and for breast reconstruction. A free rectus abdominis muscle or myocutaneus flap was used in 8 patients. The operations were performed between Sep. of 1994 and April of 1996. The patients were tongue cancer 1 case, chronic facial palsy 1 case, unilateral breast reconstruction 1 case, upper and lower extremity injury 5 cases. The free rectus abdominis muscle flaps were 4 cases and the free myocutaneous flaps were 4 cases. There was no failure of the flap, except one partial necrosis. One case of the skin grafts on the muscle flap was regrafted. One case of reoperation due to venous thrombosis was performed. In tongue cancer patient, a orocutaneous fistula was occurred, but conservative treatment and secondandry skin graft were done. In conclusion, a free rectus abdominis flap has many advantages such as a long and constant pedicle, easy dissection, enough soft tissue available, scar on the donor site to be hiddened, no need for changing position. So we think that this flap is the most useful one for small or moderate sized defects on the various sites.

  • PDF

젖소 흉부결합체 송아지 1례 (Conjoined twins in Holstein calf : a case of thoracopagus siamese calf)

  • 허태영;강석진;최창용;정영훈;조용일;류일선;손동수;김현섭;서국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63-66
    • /
    • 2006
  • This case was found in Holstein cow suffering from dystocia. The twin calves in uterus were dead and removed by fetotomy. Gross anatomical analysis of thoracopagus siamese calf was carried out. Two normal heads were present on two necks, however, the twins were fused in the thoracic region. There were four forelimbs and an abnormal orientation of ribs. Two separate vertebral columns along the length of the animal ended with two tails. A single pericardium lay on the midline when opening the thorax. However, there were two almost completely hearts within the pericardial sac. Two heart were joined by a common cavernous venous sinuous. There were two sets of lungs. Each twins had a separate esophagus that entered a separated stomach. A large liver was fused and connected into two duodenums. The pelvis, large intestines and urinary tracts were separated. The twins are female and have a full complement of li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