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ge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3초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수중의 다이아지논 및 중금속 제거 (Removal of Diazinon and Heavy Metals in Water by Benthic Macroinvertebrate)

  • 이화성;유건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7-67
    • /
    • 2012
  • The midge samples were undertaken at three streams, representing different surrounding environments, to investigate the contaminant exposure of midge. The content of heavy metals in midge collected in Singil stream were generally higher as a result of input to the industrial effluents with respect to other streams. Adsorption experiments were done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removing contaminants from water with midge. Diazinon and heavy metals were contaminant target compounds in this study. The removal rate of diazinon in water by midge was 60-75%. In the case of Cu, the removal rate was reached around 90% at the lower initial concentration of 1.87 and 0.81 ppm rather than 4.25 ppm. The reduction of concentration of Cr and Cd according to the lapse of time was similar to the Cu, but their removal rates were shown 50% and 60-74%, respectively. The removal rate of Zn by midge represented relatively high level with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No change in concentration of Cr and As with time were occurred at all experimental conditions. It accounts for the fact that the reduction of Cr and As could not be achieved through the adsorption process, using midge.

서울지방의 솔잎혹파리 분포조사 (The distribution of the Pine Gall-midge(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in Seoul district)

  • 고제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권
    • /
    • pp.55-58
    • /
    • 1965
  • 본문은 서울을 중심으로 한 주요교통로를 따라 솔칠혹파리의 피해선단지를 조사한 것이다. (1) 서울지방의 술잎혹파리 피해는 광주, 양수, 서파, 봉천, 고촌 등 동북방으로 널리 전파되어 있다. (2) 솔잎혹파리의 전파를 조장하는 인자로는 성충기의 향이 가장 관계가 깊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3) 솔잎혹파리 피해선단지의 유충기생봉 솔잎혹파리 좀벌의 기생율은 서파의 $13.6\%$를 제외하고는 매우 높았다.

  • PDF

진딧물류를 포식하는 혹파리, Aphidoletes aphidimyza(Roundani)(Diptera: Cecidomyiidae)의 복숭아혹진딧물 포식과 발육 (Development and Predation of a Aphidophagous Gall Midge, Aphidoletes aphidimyza (Roundani) (Diptera: Cecidomyiidae) on Myzus persicae Sulzer)

  • 최만영;이건휘;백채훈;김두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4-49
    • /
    • 2001
  • 진딧물류 천적 혹파리(Aphidoletes aphidimyza (Rondani))의 온도별 발육 및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포식특성을 실험실 및 온실 조건에서 조사하였다. 온도와 유충의 발육속도와의 상관 을 구하였으며 ((regression; development rate (y) : 0.013348x (temperature)-0.173022, F = 41.14, p<0.01)), 발육영점온도는 $13^{\circ}C$이었다. $\25pm$2$^{\circ}C$ 에서 유충 발육기간은 5.3일 이었고, 1세대기간은 29 일이었다. 복숭아혹진딧물 밀도에 따른 혹파리의 포식량은 arena(직경 9cm)당 복숭아혹진딧물 10마리일 때 4마리를 포식하여 포화상태를 나타냈다. 온실조건에서 진디혹파리의 진딧물 포식은 지체적밀도의존반응과 유사한 반응을 보였다.

  • PDF

솔잎혹파리 우화(羽化)와 아까시나무 개화시기(開花時期)의 관계(關係) (Relationships between the Flowering Time of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L.) and Emergence Period of Pin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 et I.))

  • 고제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3-47
    • /
    • 1975
  • 이것은 서울, 광릉(光陵), 전주(全州), 경주지방(慶州地方)에서 솔잎혹파리성충(成虫)의 우화시기(羽化時期)와 이의 표현표식(表現標識)으로 아까시나무의 개화시기(開花時期)를 조사(調査)한 것이다. 1. 솔잎혹파리성충(成虫)의 우화(羽化)는 그 지방(地方)의 아까시나무꽃의 개화(開花)가 시작되는 시기(時期)에 시작된다. 2. 솔잎혹파리성충(成虫)의 우화(羽化)는 그 지방(地方)의 아까시나무꽃의 만개(滿開)하는 시기(時期)에 그 최성기(最盛期)에 드러가며 주락기(淍落期)까지 계속(繼續)된다. 3. 솔잎혹파리성충(成虫)의 우화최성기(羽化最盛期)에 꽃이 만개(滿開)하는 식물(植物)은 아까시나무이외(以外)에 백당나무, 찔레나무, 꽃창포 등(等)이 있다.

  • PDF

솔잎혹파리에 대한 소나무류(類) 침엽내(針葉內)의 저항성인자(抵抗性因子) 조사(調査) (Potential Resistance Factors in Pine Needles to Pine Gall Midge)

  • 손두식;엄태진;서재덕;이상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244-250
    • /
    • 1996
  • 솔잎혹파리의 저항성인자(抵抗性因子)를 소나무, 해송, 버지니아소나무 및 해송${\times}$버지니아소나무에 대하여 조사(調査)하였다. 성충(成蟲)이 산란(産卵)을 위해 수종(樹種)의 선호성(選好性)과 침엽(針葉)에서 추출(抽出)된 방향물질(芳香物質)인 terpenoid와 phenolic compound에 대한 유충(幼蟲)의 생물학적(生物學的) 검정(檢定)을 실시(實施)하였다. 솔잎혹파리의 성충(成蟲)은 산란(産卵)을 위해서 수종(樹種)에 관계없이 전수종(全樹種)에 비산(飛散)하여 산란(産卵)을 하였으나 충영 형성율(形成率)은 버지니아소나무에는 0%, 해송${\times}$버지니아소나무는 9%, 소나무와 해송은 각각(各各) 25.6%, 22.2%이었다. 그러므로 솔잎혹파리는 버지니아소나무에는 산란(産卵)을 하나 유충(幼蟲)이 자라지 못하고 폐사(斃死)함으로 침엽내(針葉內)에는 솔잎혹파리에 대한 저항성물질(抵抗性物質)이 있는 것으로 추측(推測)되며 소나무류(類)에서 휘발(揮發)되는 terpenoid는 솔잎혹파리의 성충(成蟲)을 유인(誘引) 혹은 기피성물질(忌避性物質)이 아니었으며 또한 신초(新梢)에서 휘발생(揮發生)되는 terpenoids 및 송지(松脂)는 솔잎혹파리 유충(幼蟲)의 폐사(斃死)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솔잎혹파리의(幼蟲)을 사육(飼育)한 결과(結果)는 버지니아소나무 침엽(針葉)에서 추출(抽出)한 phenolic compounds, salicylic acid와 chitinase의 용액(溶液)위에서는 유충(幼蟲)의 폐사율(斃死率)이 각각(各各) 89%, 92%, 86%이나 소나무에서 추출(抽出)한 phenolic compounds와 gallic acid에서는 56%, 57%이었다. 그러므로 버지니아소나무의 침엽내(針葉內)에는 솔잎혹파리에 대한 저항성물질(抵抗性物質)이 함유(含有)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salicylic acid와 chitinase는 솔잎혹파리에 대한 저항성물질(抵抗性物質)로 추측된다.

  • PDF

Uptake efficiencies of PCB 153 in fathead minnows through food chain of sediment-midge-fish

  • Park, Kyungho;Peter G. Meier
    • 한국환경보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보건학회 2003년도 Challenges and Achievements in Environmental Health
    • /
    • pp.162-165
    • /
    • 2003
  • Uptake efficiencies of PCB 153 in fathead minnow through food chain of sediment-midge-fish were evaluated. Contaminated fish food, the midge Chironomus plumosus was prepared by exposing to sediments with PCB 153. We could harvest the midges with body PCB 153 levels of ∼ 1.0 mg/g and ∼ 10.0 mg/g, respectively, in 2 wk of exposure. PCB 153 level in fish fed with midge of 10.0 mg/g PCB 153 (high-dose group) reached its highest at 11.2 mg/g after 30 d of exposure. However, PCB level in fish fed with midge of 1.0 mg/g PCB 153 (low-dose group) kept increasing following first order rate kinetics until the end of exposure (38 d). When the fish food was changed to the uncontaminated ones, the fish body PCB levels were stabilized in ∼ 3 wk. The uptake efficiency in high-dose fish group was 37%, whereas low-dose group was 55%. Uptake efficiencies in fathead minnows were notably lower than that of pike (∼ 70%).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uptake efficiency of this PCB congener may depend on the amount of the PCB in diet.

  • PDF

솔잎혹파리 항공방제용 저독성 농약선발연구 (Studies on Selection of Less Toxic Insecticides for the Aerial Control of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 이형래;변병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01-206
    • /
    • 1994
  • 솔잎혹파리 방제는 포스팜 50% 액제를 수간 주입에 의해 수행되고 있으나 약제처리가 농작업이 많은 시기임으로 노동력의 부족으로 인한 실제 방제에 문제점이 있어 항고기를 이용한 약제방제가 필요하여 저독성 약제인 곤충발육저해제 중 Buprofezin 40% 액상 수화제가 선발되었고 10배, 30배, 50배로 희석하여 ULV로 살포한 결과 각각 72.4%, 57.6%, 8.4%의 방제효과를 얻어 항공방제용 약제 선발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진딧물류를 포식하는 혹파리, Aphidoletes aphidimyza(Roundani)(Diptera: Cecidomyiidae)의 복숭아혹진딧물 포식과 발육 (Development and Predation of a Aphidophagous Gall Midge, Aphidoletes aphidimyza (Roundani) (Diptera: Cecidomyiidae) on Myzus persicae Sulzer)

  • 최만영;이건휘;백채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5-45
    • /
    • 2001
  • 진딧물류 천적 혹파리(Aphidoletes aphidimyza (Rondani))의 온도별 발육 및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포식특성을 실험실 및 온실 조건에서 조사하였다. 온도와 유충의 발육속도와의 상관 을 구하였으며 ((regression; development rate (y) : 0.013348x (temperature)-0.173022, F = 41.14, p<0.01)), 발육영점온도는 $13^{\circ}C$이었다. $\25pm$2$^{\circ}C$ 에서 유충 발육기간은 5.3일 이었고, 1세대기간은 29 일이었다. 복숭아혹진딧물 밀도에 따른 혹파리의 포식량은 arena(직경 9cm)당 복숭아혹진딧물 10마리일 때 4마리를 포식하여 포화상태를 나타냈다. 온실조건에서 진디혹파리의 진딧물 포식은 지체적밀도의존반응과 유사한 반응을 보였다.

솔잎 혹파리의 병원미생물에 관한 조사연구 I. 특히 가잠경화병과 관련하여 (Studies on the Investigation of Microbial Pathogens of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e I. Pathogenecity of Silkworm Muscardine to Pine Needle Gall Midge)

  • 강석권;조용섭;박호용;고성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2-38
    • /
    • 1982
  • 본시험은 솔잎혹파리의 미생물학적 방제대책의 일관으로서 미생물의 분리동정과 병원성을 연구 조사하고자 행하여졌다. 1. 솔잎혹파리의 유충에서 분리동정 된 균은 Verticillium psalliotae, Aureobdsidium pullulansa, Streptomyces sp., Aspergillus sp.(2종), Ascochyt, sp.의 6종이었으며 6종 전부가 병원성이 있었다. 2. 추기 양잠농가로부터 Spicaria pracina, Isaria farinosa, Oospora destructor, Aspergillus oryzae, A. flavus의 5종의 누에 경화병균을 분리 동정하여, 솔잎혹파리유충에 대한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5종 전부가 강력한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3. 솔잎혹파리 유충에서는 29종의 colony가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Bacillus 계통이 11, coccus 계통이 9개로 구분되었으며, 현재 병원성검정은 진행 중에 있으나 No.4와 No.9-1균주는 병원성이 인정되었다.

  • PDF

소나무류(類) 침엽내(針葉內)에 함유(含有)된 phenolic compounds 중 솔잎혹파리의 저항성(抵抗性) 물질(物質) 조사(調査) (A study on Resistant Substance to Pine Needle Gall Midge Among Phenolic Compounds in Pine Needles)

  • 손두식;엄태진;서재덕;이상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372-380
    • /
    • 1996
  • 솔잎혹파리에 대한 저항성인자(抵抗性因子)를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솔잎혹파리의 감수성수종(感受性樹種)과 저항성수종(抵抗性樹種)에 대하여 침엽내(針葉內) phenolic compound의 계절적(季節的)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였다. 침엽내(針葉內)에 존재(存在)하는 free phenolic compounds와 water soluble phenolic compounds는 수종간(樹種間) 계절별(季節別)로 변이(變異)가 있었고 catechol과 vanilic acid 및 syringic acid는 수종간(樹種間)에는 큰 차이(差異)가 없으나 성분량(成分量)에는 계절별(季節別)로 변이(變異)가 있었다. 그러나 솔잎혹파리 유충(幼蟲)의 부화기(孵化期)인 5, 6월(月)에 침엽내(針葉內)에 함유(含有)되어 있는 salicylic acid는 버지니아소나무는 140ppm, 해송에서 35ppm, 해송${\times}$버지니아소나무 72ppm이고 소나무에서는 극소량만이 나타나고 있어 salicylic acid는 감수성수종(感受性樹種)에는 극소량 함유(含有)하고 저항성수종(抵抗性樹種)에는 상당량 함유(含有)하고 있었다. 솔잎혹파리에 대한 소나무류(類) 침엽(針葉)의 저항성인자(抵抗性因子) 조사(調査)에서 밝혀진바와 같이 salicylic acid와 버지니아소나무의 침엽(針葉)에서 추출(抽出)된 phenolic compounds용액(溶液)위에서 배양(培養)한 유충(幼蟲)은 폐사율(斃死率)이 높았고 또한 버지니아소나무에서는 충영이 전혀 형성되지 않은 것과 본조사(本調査)의 침엽내(針葉內)에 함유(含有)하고 있는 salicylic acid와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結果)에서 salicylic acid는 솔잎혹파리의 저항성물질(抵抗性物質)로 추정(推定)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