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wave extraction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3초

Microwave를 이용한 한약재 중의 잔류농약 추출 (Extrac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medical herbs by microwave)

  • 김택겸;김장억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60-67
    • /
    • 2000
  • 건조된 한약재 시료인 백삼, 홍삼, 지황, 당귀 및 시호 중에 잔류되어 있는 tolclofos-methyl 및 quintozene의 추출에 microwave 추출법을 이용하고자 Soxhlet 추출법과 추출효율을 비교하여 최적의 추출용매, 추출시간 및 power supply의 강도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다섯 가지 한약재 시료에 잔류되어 있는 tolclofos-methyl 및 quintozene을 microwave로 추출하기 위한 용매는 acetone이 가장 효율적이었다. 추출효율은 Soxhlet 7시간 추출과 microwave로 45 watts에서 1분에서 10분 동안 추출한 결과를 비교하였는데 microwave 추출시간을 $3{\sim}5$분으로 한 결과와 Soxhlet 법으로 7시간 추출한 결과는 거의 같게 나타났다. 시료의 종류에 따른 microwave의 추출특성은 인삼은 5분, 다른 한약재들은 3분의 추출에서 Soxhlet추출과 거의 같은 추출 효율을 나타내었다. 잔류분석시 불순물의 방해를 고려한 최적 추출효율을 나타내는 microwave power는 $45{\sim}90$watts로 나타났다. 따라서 tolclofos-methyl 및 quintozene이 잔류되어 있는 다섯 가지 한약재 시료에서의 microwave를 이용한 추출의 최적 조건은 power $45{\sim}90$ watts, 추출용매 acetone, 추출시간 $3{\sim}5$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방법을 이용한 작약의 유효성분 추출 및 생리활성 측정 (Development of Microwave Extraction Method for the Active Ingredients and Functional Constituents of Paeonia Root)

  • 이효진;장경원
    • 생약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157-162
    • /
    • 2021
  • The heat-mediated reflux apparatus extraction of Paeonia lactiflora Pall. has been widely used as a traditional extraction method. In this paper, the microwave apparatus extraction method of Paeonia Radix was performed and the active ingredients and functional constituents were compared with the reference extraction method. The most effective extraction condition of albiflorin using the microwave was 120℃ in 50% methanol, and paeoniflorin was maximally extracted at 60℃. The reduced level of paeoniflorin molecule at high-pressure and high-temperature extraction condition was caused by the molecular instability. Additionally, the microwave extraction of 50% methanol extracts at 150℃ showed the highest functional constituents determined by in vitro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polyphenol concentration, and tyrosinase inhibition assay. The microwave apparatus was adapted as a rapid, low-cost,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method to extract active ingredients and the practical extraction conditions of Paeonia Radix can be used in industrial applications.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용아초 기능성 성분의 마이크로웨이브 최적 추출조건 예측 (Prediction of Optimal Microwave Extraction Conditions for Functional Compounds from Agrimonia pilosa Ledeb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박종진;이원영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63-270
    • /
    • 2016
  • Background: In this study, microwave extraction was used, which is an effective method to extract useful bioactive substances as it requires low quantities of solvent and short time period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for Agrimonia pilosa Ledeb. Methods and Results: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ethanol concentration, microwave power, and extraction time, each of which had five level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 determine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for bioactive compounds,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employed. Contour maps were generated from polynomial equations. The optimal conditions were then assumed by superimposing these contour maps. Based on the resulting graph, the optimal microwave extraction conditions for Agrimonia pilosa Ledeb were determined as 42 - 48% ethanol concentration, 240 - 280W microwave power, and 13 - 20 min of extraction time. Conclusions: Ethanol concentr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icrowave extraction, in terms of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 as well a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Microwave power and extraction time influenc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but not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r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마이크로파 추출법을 이용한 방사선 조사 대두의 Hydrocarbons 분석 전처리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Pre-Treatment Conditions for Hydrocarbons Detection from Irradiated Soybean Using Microwave-Assiated Extraction)

  • 이정은;권중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12-621
    • /
    • 2013
  • 지질 함량이 많은 식품에 방사선 조사여부 판별방법으로 적용가능한 hydrocarbons법의 전처리 추출공정을 개선하고자, 추출시간을 효율화 하고 추출용매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법을 적용하였다. 국제 교역량이 가장 높은 농산물중 대두를 대상으로 방사선 조사(4 kGy)를 하여 hydrocarbons 분석에 대한 전처리 조건을 최적화하고자 하였다. 예측된 대두의 최적 추출범위는 extraction time 1.3-3.2분, microwave power 61-133 W로 나타났고, 예측된 범위에서 임의점을 설정하여 회귀식에 대입하여 최적값을 예측하였을 때 값은 microwave power와 extraction time이 각각 97 W과 2.2 분으로 확인되었다. 방사선조사 허가식품에 대해서 검지법의 분석결과의 정확성과 더불어 신속성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hydrocarbons검지법 적용이 가능한 대두를 대상으로 MAE (micarowave-assisted extraction) 추출법을 적용한다면, 식품공전상의 현행 추출전처리(12-24시간)에 따른 분석시간을 줄이고 추출공정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에 따른 곰취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작용의 변화 (Changes of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Ligularia fischeri Extracts with Different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 권영주;김공환;김현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32-337
    • /
    • 2002
  •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방법과 환류 냉각 추출방법을 비교한 결과, 물과 에탄올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경우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방법에 의하여 추출시간을 단축시키면서 환류 냉각 추출 방법에서와 같은 수준의 가용성 고형분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을 갖는 곰취 추출물을 얻을 수 있었다.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시 최적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는 120∼150 W 였고 추출시간은 4∼8분이 적당하였다. 추출에 사용한 용매들 가운데 에탄올, 메탄올 보다 물 그리고 물과 에탄올 또는 메탄올 혼합용매를 사용한 추출물의 가용성 고형분,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에 따른 참취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작용의 변화 (Changes of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ster scaber Thunb Extracts with Different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 김현구;권영주;김영언;남궁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88-93
    • /
    • 2004
  •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방법과 환류 냉각 추출방법을 비교한 결과, 물과 에탄올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경우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방법에 의하여 추출시간을 단축시키면서 환류 냉각 추출 방법에서와 같은 수준의 가용성 고형분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을 갖는 참취 추출물을 얻을 수 있었다.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시 최적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는 120∼150 W였고 추출시간은 4∼8분이 적당하였다. 추출에 사용한 용매들 가운데 에탄올, 메탄을 보다 물 그리고 물과 에탄을 또는 메탄을 혼합용매를 사용한 추출물의 가용성 고형분,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잔류 살충제 Imidacloprid 분석용 시료전처리 기술개발 (Development of the Sample Pretreatment Technique using Microwave for Analysis of Insecticide Imidacloprid Residues)

  • 안순용;조한근;이은영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2권2호
    • /
    • pp.121-129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extraction efficiency by microwave technique in comparison with sonication technique for extraction of insecticide residue in pear. In the analysis of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microwave for a pear spiked with imidacloprid, the extraction efficiency by microwave power of 300 W with extraction temperature of $80^{\circ}C$, heating time of 1 to 3 minute was shown to be similar with the extraction time 20 minutes by sonication. The optimal condition. in consideration of economical condition and treatment time, for microwave extraction of imidacloprid in the pear were 300 watts of power supply, $100^{\circ}C$ of extraction temperature, 1 minute of heating time and 10 mL of acetone volume. A new microwave vessel was developed to rapidly process the sample of the insecticide imidacloprid residues in the pear. This vessel was designed to include a reaction chamber and a filtration equipment, and a gathering chamber. The system could curtail a pretreatment time to 21 minutes than sonication and 7.9 minutes than the previous microwave vessel.

Microwave를 이용한 식물세포배양으로부터 paclitaxel 추출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of paclitaxel from plant cell cultures)

  • 현정은;김진현
    • KSBB Journal
    • /
    • 제23권4호
    • /
    • pp.281-28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식물세포배양액에서 회수한 식물세포인 biomass로부터 항암제 paclitaxel을 효율적으로 회수하기 위해, microwave를 이용한 추출 (MAE) 방법을 도입하여 기존의 유기용매 추출 (CSE) 방법과 추출효율을 비교하였다. CSE 방법에서 추출온도 25, $30^{\circ}C$에서는 추출시간 (3, 6, 10 min)에 대해 추출효율이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은 반면, 40, $50^{\circ}C$에서는 추출시간 10 min에서 paclitaxel 수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온도에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CSE 방법의 경우 총 4회의 추출로 식물세포 내 대부분의 paclitaxel을 회수 (>99%) 가능한 반면 MAE 방법의 경우 1회의 추출로 식물세포 내 대부분의 paclitaxel을 회수 (>99%) 가능하였다. MAE 방법이 CSE 방법보다 paclitaxel를 회수하는데 있어서 높은 추출효율, 공정시간 단축,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MAE 공정에서 최적의 biomass/methanol의 비율은 1/1 (w/v)임을 알 수 있었다.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인삼으로부터 유효성분의 추출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of Effective Constituents from Ginseng)

  • 이동원;박영신;김덕찬
    • 공업화학
    • /
    • 제16권3호
    • /
    • pp.427-433
    • /
    • 2005
  •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인삼으로부터 가용성 성분을 추출할 때의 용매(에탄올-물) 사용량, 고체 입자크기, 마이크로파 전력의 영향과 용매-인삼 혼합물의 마이크로파 가열 특성 및 팽윤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용매와 인삼의 비는 6 : 1(vol. of solvent to mass of ginseng)이 적당하였고 인삼 입자는 작을수록 추출률이 높았으나 슬러리를 여과하여 여분의 용매를 분리하기가 매우 곤란하였다. 마이크로파 전력은 세기가 클수록 추출 속도는 빨라지나 추출률은 투입되는 전체 에너지양에 영향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이크로파와 물중탕으로 가열한 인삼의 수분 흡수량으로부터 구한 질량기준 팽윤도는 마이크로파로 가열하였을 때 더 빠르게 일어났으며 이러한 결과가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추출이 종래의 추출방법에 비하여 추출률이 높고 속도가 빨라지게 되는 요인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Microwave Energy를 이용한 오염토양에서 Phenol의 추출 (Extraction of Phenol from the Contaminated Soil Using Microwave Energy)

  • 이기환;이태호;김윤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47-459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n efficient process far the elimination of phenol pollutant from soils. An microwave-assisted process (MAP) and a conventional Soxhlet extraction method (SEM) were employed to extract phenol from two types of soils. The effects of extraction methods, aged time of the spiked soil samples, extraction solvent and extraction time on the extraction performance were compared.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recoveries from standard soil spiked were at least 10% higher fer MAP than these f3r the conventional Soxhlet. The extraction time by MAP requires significantly shelter time (1 min) than 15 h of the conventional Soxhlet. The recoveries from non-contaminated soil spiked with phenol were also almost identical f3r above results. The reduction of the extraction times with efficiency higher than that afforded by the conventional Soxhlet technique supports the suitability of the MAP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