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al quality

검색결과 1,417건 처리시간 0.034초

급식소에서 제공되는 생산품의 조리 후 보관방법 설정을 위한 품질 연구(I) (Studies on Holding Methods for Quality Assurance of Cooked Foods Served at Foodservice Institutions (I))

  • 김혜영;고성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31-639
    • /
    • 2003
  • In order to control the quality and safety of cooked foods, production and holding methods of foods should be carefully studied and applied to the foodservice industry. Therefore studies on microbiological, nutritional,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are essential in this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emical and microbial qualities of cooked foods during preparation and holding From the results, the following guidelines should be adhered to give effective quality control when holding foods after cooking in foodservice institutions, as well as to provide quality foods when selling cooked foods at commercial establishments. Sauteed and simmered foods such as sauteed chicken meat & vegetables and simmered pork in soy sauce satisfy the standard for microorganisms till 1-3 hours of room temp. holding, 6-18 hours at 60$^{\circ}C$ steam table, and 12-18 hours at 80$^{\circ}C$ heating tabl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Strawberries at Domestic Farms of South Korea

  • Kim, Won-Il;Jo, A-Ra;Kim, Se-Ri;Ryu, Song Hee;Nam, Ki-Woong;Yoon, Yohan;Yoon, Deok-Hoon;Oh, So-Yong;Nam, Myeong Hyeon;Ryu, Jae-Gee;Kim, Hwang-Yo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37-442
    • /
    • 2014
  • Foodborne illness due to the consumption of contaminated raw strawberries is a continuing food safety concern. This study investigated and evaluated contamination levels of bacteria on strawberries at farms stage to evaluate potential hazards associated with fresh strawberries. A total of 315 samples, 105 samples from 5 sampling sites (A to E) of 21 farms and 210 samples from 1 sampling site of 6 farms, was collected every month for four months and analyzed to enumerate aerobic bacterial counts, Coliforms/E. coli, Bacillus cereus and Staphylococcus aureus. In addition, the prevalence study of five pathogens (S. aureus, E. coli,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and Listeria monocytogenes) was performed on each sample. Aerobic bacterial counts ranged from 0.48 to 6.36 Log CFU/g, with the highest bacterial cell counts recorded for D and E sites. Coliforms were detected in 71 samples (22.5%) with a minimum of 0.48 cfu/g and a maximum of more than 4 Log CFU/g. B. cereus was detected in 98 samples (31.1%) among total samples analyzed. S. aureus was detected in 2 samples with a minimum of 0.48 Log CFU/g and a maximum of 1.38 Log CFU/g. E. coli,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and L. monocytogenes were not isolated from any of the samples.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strawberries determined in this study may be used as the fundamental data for microbiological risk assessment.

이산화염소수를 이용한 계사 내 깔짚의 미생물 수 저감화 (Microbial Inactivation of Chicken Cage Litter by Aqueous Chloride Dioxide)

  • 유동진;김현진;송현정;신윤지;채현석;송경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8-10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염소수를 이용한 계사 내 깔짚의 미생물 수 저감화를 통한 깔짚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용하기 전의 깔짚에는 coliform, E. coli, Listeria spp., yeasts and molds 및 total aerobic bacteria가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사용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미생물 수가 증가하였다. 500 ppm 이산화염소수를 이용한 살균처리에서는 coliform, E. coli, Listeria spp., yeasts and molds, total aerobic bacteria 및 Salmonella spp.의 균수가 모든 깔짚 시료에서 처리횟수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사용하지 않은 깔짚에서는 coliform, E. coli, Listeria spp., yeasts and molds 및 total aerobic bacteria 수가 각각 4.47, 1.29, 1.23, 3.24 및 5.2 log CFU/g로 감소하였고, 1주 및 5주 사용한 깔짚의 경우도 모든 미생물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이산화염소수를 이용한 계사 내 깔짚의 미생물 수 저감화 방법이 도계된 계육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항생제 대체제로서 미생물배양액 및 vitamin-C 급여가 육우의 증체 및 도체형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crobial feed Additive and vitamin-C as an Alternative to Antibiotic on Growth Performances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Meat Cows)

  • 남인식;한창수;안종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23-534
    • /
    • 2015
  • 본 연구는 미생물제제의 일종인 yeast culture 및 코팅 처리된 vitamin-C의 첨가 급여를 통해 비육 말기 Holstein 거세우의 증체 및 도체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평균체중이 $714{\pm}13.60kg$인 18개월령 Holstein 거세우 24두를 공시동물로 이용하였으며 각각 8두씩 3개 시험구로(대조구, MC급여구, CVC급여구) 완전임의 배치하여 출하 전 3개월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MC급여구는 yeast culture를 일일 30 g, 코팅 처리된 vitamin-C는 일일 10 g씩 매일 아침 사료급여 시 top dressing형태로 급여하였다. 일당증체량은 MC급여구가 가장 높았으며 사료요구율은 MC급여구와 CVC급여구에서 가장 낮았다. 등지방두께, 배체장근 및 육량은 시험구간 유의차가 없었다. 지육중량과 성숙도는 MC급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지방색은 CVC급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출하 3개월 전 Holstein 거세우에게 항생제 대체제로 미생물제제인 yeast culture 또는 코팅 처리된 vitamin-C의 급여는 육질에는 큰 효과가 없으나 육량, 지육중량, 사료요구율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미생물제제와 vitamin-C를 함께 급여하면 더욱 좋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두유의 마이크로파 고온단시간 살균시 살균효과 및 이화학적 성분 변화 (Pasteurization Efficiency and Physico-chemical Changes of Soymilk HTST Pasteurized Using Microwaves)

  • 김석신;이주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196-1202
    • /
    • 1999
  •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두유의 HTST저온살균시 미생물의 사멸효과와 이화학적 성분 변화를 상법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때 HTST($90^{\circ}C$, 21초)법으로 살균하되 열수만을 이용한 경우(MP0)와 마이크로파로 온도를 올린 후 열수에서 holding한 경우(MP1)와 마이크로파만을 활용한 경우(MP2)의 세가지 경우로 구분하여 살균전후 변화를 비교해 보았다. 총균수의 경우 세가지 HTST살균법 모두 살균후 초기수의 4 log정도 감소하는 살균효과를 보여주었고 살균효과는 MP0>MP1>MP2의 순서를 보였다. 대장균과 저온성세균 및 phosphatase activity의 경우 세가지 HTST살균법 모두 살균후 우유의 배양실험에서 집락이 확인되지 않거나 살균후 음성(negative)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가지 살균방법 모두 80%이상의 trypsin 잔존율을 보여 trypsin inhibitor가 효과적으로 불활성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불활성화 효과는 MP0>MP1>MP2의 순서를 보였다. 두유의 pH와 적정산도, 점도 및 비타민 $B_2$의 경우 살균전후 큰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살균방법별로도 차이가 없었다. 이로부터 마이크로파로 승온시킨 후 holding하는 병용법(MP1)이나 마이크로파 단독처리(MP2)를 활용할 경우 통상적 HTST방법(MP0)보다 우수하거나 대등한 살균효과 및 이화학적 품질보존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른 액상식품의 살균연구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Electron Beam 조사가 고추장 분말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on Beam Irradiation on the Quality of Kochujang Powder)

  • 권훈;이정은;김정숙;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55-662
    • /
    • 2000
  • 전자선을 이용하여 고추장분말의 살균 방법으로 연구하고자 살균효과 및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감마 선과 비교 검토하였다. 고초장분말의 미생물 농도는 총세균이 105~106 CFU/g, 효모 및 곰 팡이는 낮은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대장균군은 음성으로 나타났다. 총세균은 5~7.5 kGy의 전자선 조사에 의해 1~2 log cycles 정도의 감균효과를 보였고, 10 kGy 조사구에서는 104 CFU/g 이하로 낮아져 미생물학적 품질개선 효과를 달성할 수 있었다. 전자선의 감균효과는 감마선과 거의 유사하였으며, 살균처리 후 실온에서 4개월 간 저장된 시료의 미생물 생육 전반적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총세균의 방사선감수성 (D10값)을 측정해 본 결과, 전자선은 2.88~3.02 kGy, 감마선은 3.57~3.59 kGy 범위로 에너지의 종류에 따라 다소 상이한 값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고추분말의 미생물학적 품질개선이 가능한 7.5~10 kGy 범 위의 전자선 조사는 기계적 색도, capsaicin, 지방산 조성 및 관능적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 지 않았다. 그러나 전자선 조사 후 저장 중 시료의 capsanthin 함량과 TBA가는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었으므로, 방사선 조사 시기는 사용하기 직전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감마선과 훈증처리가 저장 중 건고추의 미생물 생육, 과피 색도 및 흡광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Irradiation and Fumigation on Microbial Growth, Color and Absorption Properties of Dried Red Pepper during Storage)

  • 김병근;;김동호;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8-53
    • /
    • 2005
  • 방사선 조사(5, 10 kGy)와 훈증처리$(MeBr,\;PH_3)$된 건고추의 저장조건(실온,4, 8개월)에 따른 미생물학적, 수분함량, 기계적 색도 및 흡광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처리군별 미생물 농도에서 무처리 시료의 총세균은 분말 고추 $4.8\times10^5\;CFU/g$, 통고추 $1.8\times10^2\;CFU/g$ 수준이었고, 효모 및 곰팡이는 분말 고추 $1.7\times10^5\;CFU/g$, 통고추 $5.0\times10^2\;CHU/g$수준으로 통고추에 비해 분말 고추가 높은 미생물 농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대장균군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특히, 화학 훈증제는 살균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5 kGy범위의 감마선 조사는 모든 미생물 농도를 $2\~3\;log$ cycle 이상 감소시킬 수 있었다. 건고추의 수분함량은 감마선과 훈증처리에 의해 거의 변화되지 않았으나 저장조건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건고추 과육 추출물의 흡광특성은 처리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과피의 명도(L)는 처리직후 10 kGy 조사군과 MeBr 처리군에서 적색도(a)와 황색도(b)는 감마선과 훈증처리군에서 각각 낮은 (p<0.05) 값을 보였으나 저장 4개월 이후에는 무처리군과 처리군간에 유의적이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기간은 시료의 색도변화에 유의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 및 저장온도에 따른 미생물농약 및 친환경 유기농자재 유효미생물의 밀도변동 (Population Dynamics of Effective Microorganisms in Microbial Pesticides and Environmental-friendly Organic Materials According to Storing Period and Temperature)

  • 김용기;홍성준;지형진;심창기;박종호;한은정;안난희;이승돈;유재홍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5-60
    • /
    • 2011
  • 친환경농자재의 품질관리와 관련하여 친환경 실천 농가를 대상으로 친환경농자재 선택사유, 사용방법, 선택기준, 선호 제형을 조사한 결과, 선택사유는 토양개량>병해충방제>생육촉진 순으로 나타났고, 사용방법은 구입즉시 사용하는 농가는 22.7%인 반면 보관하면서 사용하는 농가가 77.3%이었다. 시판 유통 중인 친환경제제 17종을 구입하여 구입 즉시 제제 중 미생물 농도를 조사한 결과, 친환경유가농자재(미생물제제, 토양미생물제, 친환경유기농자재) 2종은 보증 미생물 밀도가 기준치 이하로 품절 관리측면에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미생물농약으로 등록되어 사용되는 제품 중 미생물 밀도는 비교적 안정적이었다. 시판 유통 중인 친환경제제 17종을 6개월간 온도별로 저장하면서 제제 중 보증 미생물 농도를 조사한 결과, $4^{\circ}C$에 저장할 때에는 미생물농약은 1종의 액상제형 미생물제만이 기준치 이하였으며, 친환경유기농자내 8종 중 4종이 기준치 이하였다. 온도의 변화가 큰 실온에 저장할 때에는 전환경농자재는 7종 중 5종이, 미생물농약은 9종 중 4종이 기준치 이하로 나타나 $4^{\circ}C$$25^{\circ}C$의 정온 조건에 보관할 때보다는 온도가 변화되는 조건에 저장할 때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미생물제제의 저장온도에 따른 미생물의 변화는 저온($5^{\circ}C$) > $25^{\circ}C$(정온) > 변온(실온) 순으로 안정적이었으며, 제형에 따른 저장성은 입제 > 액상수화제 > 액상제 순으로 우수하였다.

Effect of Partial Replacement of Wheat Flour with High Quality Cassava Flour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tioxidant Activity, Sensory Quality, and Microbial Quality of Bread

  • Eleazu, Chinedum;Eleazu, Kate;Aniedu, Chinyere;Amajor, John;Ikpeama, Ahamefula;Ebenzer, Ik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9권2호
    • /
    • pp.115-123
    • /
    • 2014
  • In the current study, wheat flour was mixed with high quality cassava flour (HQCF) in several ratios: 90:10, 80:20, 70:30, and 60:40, and used to prepare 10%, 20%, 30%, and 40% National Root Crops Research Institute (NRCRI) cassava bread, respectively. 100% wheat bread was prepared as a control (100% wheat bread). Five bread samples were prepared per group. Antioxidant assays [i.e.,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DPPH) scavenging assay, reducing power assay] revealed that the bread samples had considerable antioxidant capacities. Substitution of wheat flour with HQCF at various concentrations resulted in dose dependent decreases in the mineral and protein contents of the resulting bread samples. The crude fiber content of the bread samples was minimal, while the carbohydrate content of the bread samples ranged from 43.86% to 48.64%. A 20% substitution of wheat flour with HQCF yielded bread samples with a general acceptability that was comparable to that of 100% wheat bread. The mean bacteria counts of the bread samples ranged from $2.0{\times}10^3CFU/mL$ to $1.4{\times}10^4CFU/mL$, while the fungal counts ranged from 0 CFU/mL to $3{\times}10^3CFU/mL$.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PPH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e reducing powers of the bread samples ($R^2=0.871$)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PPH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e flavonoid contents of the bread samples ($R^2=0.487$). The higher microbial load of the NRCRI cassava bread samples indicates that these bread samples may have a shorter shelf life than the 100% wheat bread.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otal flavonoid content and reducing power ($R^2=0.750$) suggests that the flavonoids present in the lipophilic fractions of the bread samples could be responsible for the reductive capacities of the bread samples.

Microbial Diversity of Commercial Makgeolli and Its Influence on the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Rice Sourdough, Jeung-Pyun

  • Park, Jaehyung;Seo, Ji Sun;Kim, Seul-Ah;Shin, So-Yeon;Park, Jong-Hyun;Han, Nam 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0호
    • /
    • pp.1736-1743
    • /
    • 2017
  • Sourdough is made by fermentation of dough by lactic acid bacteria (LAB) and yeast to improve bread properties like volume, flavor, and texture. A Korean traditional sourdough was made by fermenting rice flour with rice wine (makgeolli) and used to make sponge-like bread (jeung-pyu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crobial diversity of makgeolli products and their influence on the organoleptic quality of jeung-pyun. Three commercial makgeolli were tested for jeung-pyun production, with each product exhibiting varied dough swelling rates and organoleptic qualities, and among them, J-product was ranked highest in texture and taste. Microbial analysis of the three makgeolli also showed a big difference in their population and diversity. J-product had the highest LAB and yeast counts, and the predominant species were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brevis, Leuconostoc pseudomenteroide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Using J-product, sourdough was fermented at $25^{\circ}C$, $30^{\circ}C$, and $35^{\circ}C$, and the microbial growth in and textural properties of jeung-pyun were examined by instrumental and sensory tests. At high temperature ($35^{\circ}C$), the rates of dough swelling and acidification were fast due to rapid microbial growth mainly caused by LAB, resulting in a short leavening time and soft and sour jeung-pyun. Sensory tests showed consumer preference for the soft and mild-sour jeung-pyun. This study shows that LAB in makgeolli play key roles in production of jeung-pyun, influencing the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For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jeung-pyun, development of LAB starters with high gas productivity and low acidity and establishment of an optimal fermentation procedure for rice dough are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