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al and quality changes

검색결과 346건 처리시간 0.022초

송지호 해안 대수층 미생물 군집의 풍부도 및 다양성 (Abundance and Diversity of Microbial Communities in the Coastal Aquifers in Songji Lagoon, South Korea)

  • 이정윤;김동훈;전우현;문희선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8권5호
    • /
    • pp.12-24
    • /
    • 2023
  • The Songji lagoon is brackish environment with a mixture of saline and fresh water, and the interaction of groundwater-lagoon water creates a physicochemical gradient. Although som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hydro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ongji lagoon, microbial ecological studies have not yet been conduct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groundwater and surface water interaction on water quality as well as microbial community changes in the Songji Lagoon using 16S rRNA gene sequencing. Hydrochemical analyses show that samples were classified as 5 hydrochemical facies (HF) and hydrochemical facies evolution (HFE) revealed the intrusion phase was more dominant (57.9%) than the freshening phase (42.1%). Higher microbial diversity was found in freshwater in comparison to saline water samples. The microbial community at the phylum level shows the most dominance of Proteobacteria with an average of 37.3%, followed by Bacteroidota, Actinobacteria, and Patescibacteria. Heat map analyses of the top 18 genera showed that samples were clustered into 5 groups based on type, and Pseudoalteromonas could be used potential indicator for seawater intrusion.

Influence of freeze-dried acid whey addition on biogenic amines formation in a beef and deer dry fermented sausages without added nitrite

  • Kononiuk, Anna D.;Karwowska, Malgorzat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2호
    • /
    • pp.332-338
    • /
    • 2020
  • Objectiv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freeze-dried acid whey addition and the use a game meat (fallow deer) on a microbial content and the biogenic amines formation in dry fermented sausages. Methods: The experiment involved dry fermented sausages made in two variants from beef and from fallow deer. Each variant was divided into five groups: control (with a curing mixture), reference (with a sea salt), sample with a liquid acid whey and two samples with the addition of reconstituted freeze-dried acid whey in different concentrations. Changes in lactic acid bacteria (LAB), Enterobacteriaceae content and biogenic amines content were determined. Results: The microbial content changes suggest that addition of acid whey slightly affected LAB content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and reference sample, but the addition of freezedried acid whey resulted in a reduction of Enterobacteriaceae content in the sausages from fallow deer or a similar level in the beef sausages compared with the control and reference sample. Both changes in LAB and Enterobacteriaceae content were more evident in case of sausages made from fallow deer. Addition of acid whey (liquid and a higher amount of freezedried) and use of fallow deer meat to produce the sausages resulted in a significant reduction of total biogenic amines content. Conclusion: The addition of acid whey (liquid and higher amount of freeze-dried) resulted in a significant reduction of total biogenic amines content in dry fermented sausages made from fallow deer meat.

Electron Beam 조사가 고추장 분말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on Beam Irradiation on the Quality of Kochujang Powder)

  • 권훈;이정은;김정숙;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55-662
    • /
    • 2000
  • 전자선을 이용하여 고추장분말의 살균 방법으로 연구하고자 살균효과 및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감마 선과 비교 검토하였다. 고초장분말의 미생물 농도는 총세균이 105~106 CFU/g, 효모 및 곰 팡이는 낮은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대장균군은 음성으로 나타났다. 총세균은 5~7.5 kGy의 전자선 조사에 의해 1~2 log cycles 정도의 감균효과를 보였고, 10 kGy 조사구에서는 104 CFU/g 이하로 낮아져 미생물학적 품질개선 효과를 달성할 수 있었다. 전자선의 감균효과는 감마선과 거의 유사하였으며, 살균처리 후 실온에서 4개월 간 저장된 시료의 미생물 생육 전반적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총세균의 방사선감수성 (D10값)을 측정해 본 결과, 전자선은 2.88~3.02 kGy, 감마선은 3.57~3.59 kGy 범위로 에너지의 종류에 따라 다소 상이한 값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고추분말의 미생물학적 품질개선이 가능한 7.5~10 kGy 범 위의 전자선 조사는 기계적 색도, capsaicin, 지방산 조성 및 관능적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 지 않았다. 그러나 전자선 조사 후 저장 중 시료의 capsanthin 함량과 TBA가는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었으므로, 방사선 조사 시기는 사용하기 직전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감마선과 훈증처리가 저장 중 건고추의 미생물 생육, 과피 색도 및 흡광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Irradiation and Fumigation on Microbial Growth, Color and Absorption Properties of Dried Red Pepper during Storage)

  • 김병근;;김동호;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8-53
    • /
    • 2005
  • 방사선 조사(5, 10 kGy)와 훈증처리$(MeBr,\;PH_3)$된 건고추의 저장조건(실온,4, 8개월)에 따른 미생물학적, 수분함량, 기계적 색도 및 흡광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처리군별 미생물 농도에서 무처리 시료의 총세균은 분말 고추 $4.8\times10^5\;CFU/g$, 통고추 $1.8\times10^2\;CFU/g$ 수준이었고, 효모 및 곰팡이는 분말 고추 $1.7\times10^5\;CFU/g$, 통고추 $5.0\times10^2\;CHU/g$수준으로 통고추에 비해 분말 고추가 높은 미생물 농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대장균군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특히, 화학 훈증제는 살균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5 kGy범위의 감마선 조사는 모든 미생물 농도를 $2\~3\;log$ cycle 이상 감소시킬 수 있었다. 건고추의 수분함량은 감마선과 훈증처리에 의해 거의 변화되지 않았으나 저장조건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건고추 과육 추출물의 흡광특성은 처리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과피의 명도(L)는 처리직후 10 kGy 조사군과 MeBr 처리군에서 적색도(a)와 황색도(b)는 감마선과 훈증처리군에서 각각 낮은 (p<0.05) 값을 보였으나 저장 4개월 이후에는 무처리군과 처리군간에 유의적이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기간은 시료의 색도변화에 유의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유산균(Lactobacillus fermentum) 함유 미생물제제의 크리핑 벤트그래스 밀도개선 효과 (Microbial Fertilizer Containing Lactobacillus fermentum Improved Creeping Bentgrass Density)

  • 조기웅;김영선;함선규;배은지;이재필;김두환;김우성;이긍주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4호
    • /
    • pp.322-332
    • /
    • 2017
  • 골프장 잔디 관리에서 미생물제제는 잔디의 생육 및 품질을 개선하고, 병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어왔다. 본 연구는 유산균(Lactobacillus fermentum)을 함유하는 미생물제제의 처리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무처리구(NF), 대조구(CF), 미생물제제 처리구(MFcL: microbial fertilizer containing L. fermentum; MFL: CF+MFcL $1.0g\;m^{-2}$; 2MFL: CF+ MFcL $2.0g\;m^{-2}$) 및 미생물제제 단독 처리구(OMF; MFcL $1.0g\;m^2$)로 설정하였다. 시험 종료 후 토양 화학성은 처리구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MFcL의 처리가 토양 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다. MFcL 처리 시 잔디의 시각적 품질, 잔디 예지물, 잔디 중 무기 성분 함량 및 흡수량은 대조구와 비슷하였다. 잔디 밀도는 MFcL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약 20% 정도 증가하였다. 이들 결과는 유산균을 함유하는 미생물제제의 처리는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밀도를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Electron Beam 조사가 고추 및 생강 분말의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on Beam Irradiation on Microbiological and Organoleptic Qualities of Powdered Red Pepper and Ginger)

  • 이정은;권오진;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80-386
    • /
    • 2000
  • 향신료의 살균기법을 연구할 목적으로 전자선(electron beam) 이용하여 고추 및 생강 분말의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감마선과 비교 평가하였다. 사용된 시료의 총세균은 $10^5{\sim}10^6\;CFU/g$, 효모 및 곰팡이는 $0{\sim}10^3$의 수준이었고, 대장균군은 $0{\sim}10^2\;CFU/g$ 정도로 혼입되어 있었다. 전자선 조사(5 kGy)는 일반세균을 $2{\sim}3\;log$ cycles 정도 감소시킬 수 있었고, 대장균군은 2.5 kGy 조사에서도 검출되지 않았다. 초기 미생물 농도를 90% 사멸시키는데 필요한 조사선량$(D_{10}\;value)$을 계산하여 보았을 때, 고추분발의 경우 전자선 $1.50{\sim}1.54\;kGy$, 감마선 $1.68{\sim}1.80\;kGy$ 범위였고, 생강분말에서는 전자선 $1.30{\sim}2.27\;kGy$, 감마선 $1.45{\sim}2.77\;kGy$로 시료의 미생물 농도와 에너지의 종류에 따라 다소 상이한 방사선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살균처리 후 실온에서 4개월 간 저장된 시료의 미생물 농도는 처리구간에 큰 차이 없이 증식현상을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시료의 기계적 색도(Hunter's color)는 방사선 조사에 의한 영향은 거의 없었고, 4개월 저장에 따른 영향은 크게 나타났다 향신료의 색깔 및 냄새에 대한 관능검사에서 살균선량의 전자선 조사는 고추 및 생강 분말의 관능적 품질에 대하여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 of Ground Chopi (Zanthoxylum piperitum) on Physicochemical Traits and Microbial Community of Chicken Summer Sausage during Manufacture

  • Utama, Dicky Tri;Park, Jongbin;Kim, Dong Soo;Kim, Eun Bae;Lee, Sung K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936-949
    • /
    • 2018
  • Changes in microbial community and physicochemical traits of chicken summer sausage made from spent layer thigh added with different level (0%, 0.1%, 0.3%, and 0.5% w/w) of ground chopi (Zanthoxylum piperitum) during manufacture were analyzed. The microbial community was profiled and analyzed by sequencing 16S rRNA gene using Illumina MiSeq. Samples were taken from raw sausage batter, after 15 h of fermentation, 8 h of cooking including cooling down, and 7 d of drying. The final pH of the sausage was reduced by the addition of ground chopi. However, no clear effect on water activity was observed. Ground chopi inhibited the development of red curing color after fermentation as it exhibited antimicrobial effect. However, the effect on species richness and microbial composition after cooking was unclear. Ground chopi delayed lipid oxidation during manufacture and the effect was dependent on the addition level. Fermentation reduced the species richness with a dominancy of lactic acid bacteria. The profile of microbiota in the raw batter was different from other stages, while the closest relationship was observed after cooking and drying. Proteobacteria was predominant, followed by Firmicutes and Bacteroidetes in raw samples. Firmicutes became dominating after fermentation and so forth, whereas other predominant phylum decreased. At genus level, unclassified Lactobacillales was the most abundant group found after fermentation and so forth. Therefore, the overall microbial composition aspects were mainly controlled during fermentation by the abundance of lactic acid bacteria, while bacterial counts and lipid oxidation were controlled by cooking and the addition of ground chopi.

포장 조건에 따른 피망의 저장 중 품질 특성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ll Pepper Packaged with Different Films)

  • 박우포;조성환;김철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1-135
    • /
    • 2003
  • 피망에 대한 MA 저장에 적합한 포장재를 선발하기 위하여 기체에 대한 투과도가 다른 cast polypropylene (CPP),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polyolefin (MPD), polyolefin(PD961) 및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포장재로 피망을 포장하고 1$0^{\circ}C$에서 저장하면서 품질 변화를 고찰하였다. 저장 기간 중 포장 내부의 산소 농도는 4주까지 대체적으로 감소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기체에 대한 투과성이 낮은 CPP로 포장한 시험구는 저장 4주에 산소의 농도가 10.4%,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4.5%로 다른 시험구에 비하여 산소의 농도는 낮고,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높았다. 저장 기간 중 피망의 중량 감소율은 LLDPE로 포장한 시험구가 가장 현저하였으며 다른 포장재로 포장한 시험구는 저장 5주까지도 1.5% 미만이었다. 다른 시험구에 비하여 CPP로 포장한 시험구의 총균수, 효모 및 곰팡이수가 많았는데, 저장 3주 이후에 그 차이가 현저하였다. 피망의저장 중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대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저장 4주가지 PD961과 MPD로 포장한 시험구가 다른 시험구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감마선조사에 의한 양송이버섯의 미생물적 품질안정 (Microbiological Quality Stability of Fresh mushroom (Agaricus bisporus) by Gamma Irradiation)

  • 변명우;권중호;조한옥;차보숙;강세식;김중만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1-26
    • /
    • 1990
  • 양송이의 감마선조사와 저장에 따른 미생물 생육새험에서 일반세균은 조사 직후 조사선량의 증가와 더불어 2~4 log cyles 정도의 격감을 가져왔으며, 저장 중 생육억제효과로 뚜렷하여 2~3kGy 조사구는 $9\;{\pm}\;1^{\circ}C$ 저장에서 비조사구에 비해 2주 이상 일반세균의 생육을 억제시킬 수 있었다. 효모 및 곰팡이의 생육변화는 저장초기 $10^{3}~10^{4}\;CFU/g$ 정도 오염된 것이 비조사구에서는 계속 증식하여 저장 4이경부터 외관상 버섯표면에 청회색의 포자가 형성되고 버섯균사인 솜털곰팡이가 버섯을 덮기 시작하였으나 2~3 kGy 조사구에서 저장 20일까지도 저장초기의 오염도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외관상 곰팡이의 포자형성이 없었다. 대장균군은 저장초기 $10^3\;CFU/g$ 정도로 높게 오염되어 있었으나 2kGy 이상 조사로서 완전 사멸되어 식품위생적 측면에서도 감마선조사가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감마선 조사는 양송이의 미생물상(microflora)에 대한 질적, 양적 변화를 가져옴으로써 버섯의 전반적인 저장성을 향상시켰다.

  • PDF

포장 조건에 따른 방울토마토의 저장 중 품질 특성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rry Tomato Packaged with Different Films)

  • 박우포;조성환;김철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1-125
    • /
    • 2002
  • 방울토마토의 포장에 적합한 필름을 선택하기 위하여 기체 투과도가 다른 여러 가지 필름으로 방울토마토를 포장하고 저장하면서 포장내 기체 농도, 총균수, 효모 및 곰팡이 수, 중량 감소율, 부패율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CPP와 PD961로 포장한 시험 구는 저장 기간 동안 계속 적으로 산소와 이산화탄소 농도가 계속적으로 변화하였으나 다른 포장재로 포장한 시험구는 저장 10일 경에 대체적으로 평형에 도달하였다. 저장 기간 중 중량 감소율은 PY85로 포장한 시험구가 가장 현저하였으며 다른 포장재로 포장한 시험구는 저장 20일까지도 1% 부근이었다. 포장 직후의 총 균 수는 $10^4$ CFU/g 부근이었으며, 이들은 대부분 곰팡이나 효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대체적으로 미생물의 수는 증가하였다. CPP로 포장한 시험구는 저장 5일에는 총균수, 효모 및 곰팡이 수가 가장 적었으나 10일 이후에는 가장 많았으며, 저장 20일에는 총균수가 $10^{8}$ CFU/g이었으며, 효모 및 곰팡이 수는 $10^{7.97}$ CFU/g 이었다. 저장 기간 중 pH는 대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총산 및 가용성 고형물은 큰 변화가 없으나 대체적으로 감소하였다. 단지 PY85로 포장한 시험구는 저장 기간동안 지속적으로 총산과 가용성 고형물이 증가하였다. 저장 5일 이후에는MPD와 PY85를 제외한 시험구에서 부패가 발생하기 시작하였으며, CPP와 PD961로 포장한 시험구의 부패율이 대체적으로 높았다. MPD는 저장 20일에도 5.3%의 가장 낮은 부패율을 보였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