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icro climate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19초

울릉도 너도밤나무림의 미세지형별 생태적 특성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by Micro-Topographies of Beech forest in Ulleung Island)

  • 한상학;윤충원;송주현;김호진;이정은;윤이슬;유윤서;이상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86-694
    • /
    • 2019
  • 본 연구는 울릉도 너도밤나무림의 동태변화를 통한 유지기작을 연구하기 위하여 알봉분지에서 성인봉 사이 소능선부, 사면상부 및 계곡부를 포함한 너도밤나무가 우점하는 임분 1ha(20m×20m, 25개소)를 대상으로 흉고직경급 분포, 중요치, 종조성 분석을 통해 미세지형별 너도밤나무림의 임분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너도밤나무림 전체에서 흉고직경급 10cm 미만에서는 소능선부와 사면상부가 계곡부에 비하여 개체수가 많이 나타났으며, 흉고직경급 10-25cm에서는 소능선부의 개체수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흉고직경급 25-45cm에서는 사면상부, 45cm 이상의 계곡부의 개체수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모든 지형에서 흉고직경급 10cm 미만의 너도밤나무가 다수 분포하고 있는 것은 종자번식이 아닌 영양번식 또는 교란에 의한 맹아갱신인 것으로 판단된다. 지표종 분석결과 소능선부에서는 솔송나무, 만병초, 호자덩굴, 섬벚나무, 마가목, 큰두루미꽃 등 8종이, 계곡부에서는 풍게나무, 관중, 난티나무, 섬노루귀, 말오줌나무, 큰연영초, 공작고사리, 황벽나무 8종이 유이하게 나타났다.

복합 환경제어형 새송이 버섯 시설재배의 기술개발 (Technical Development of Environment Control Complex of Micro-climatic Factors for Oyster Mushroom Cultivated in Protected Environment)

  • 서원명;윤용철;김응규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121-124
    • /
    • 2002
  • 국내 느타리버섯 재배 농가 중 64%가 부업형이고, 재배사 한 동의 규모도 $40{\sim}70$평 정도로 다양할 뿐만 아니라 농가당 재배규모가 적어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중 간이식 재배사가 70%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버섯의 가격이 가장 비싼 여름철에는 재배를 할 수 없는 실정이다. 또한 지역별, 규모별로 환경조절 설비에 대한 적정기준 뿐만 아니라 재배사 관리지침 둥도 전무한 상태이고, 오직 재배와 환경조절 설비는 경험에 의 존하고 있었다. 재배사를 신축할 경우에도 전문시공업체가 거의 전무한 상태였다. 앞으로 연중재배 시스템을 도입하여 고품질 버섯을 재배하여 국제경쟁력을 높이려면, 이러한 문제점들이 우선 선결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Impact of Supertall Density on City Systems

  • Price, Bill;Bickerdyke, Andrew;Borchers, Meike;Gabbitas, Tim;Hailey, Lee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327-332
    • /
    • 2017
  • This paper discusses several topics associated with the densification caused by supertall buildings and their impact on city systems. The paper covers five key areas where a supertall tower creates a concentration of needs and effects. First, the paper comments on population shifts towards the city and how they affect carbon footprint, utilities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effect of single- and mixed-use towers is discussed in the context of population density. The second section brings the issues of transit, accessibility and master planning into focus. The use and criticality of public transport, cycling and walking is described. Servicing and deliveries using freight consolidation and shared systems is also discussed along with their contribution to the culture of sustainable travel. In the third section the paper reflects on supertall buildings' below-ground utilities and drainage provision, particularly the challenges faced in established city infrastructures. The utilities issues associated with supertall concentration (in land-use terms) compared to equivalent low-rise distribution is also commented on in the context of surface water runoff. In the fourth section, the topic of supertall sustainability is discussed and how city systems need to respond to create desirable and affordable space for occupiers. The changing need for vertical communities, 'stacked neighbourhoods' and the notion of a micro-city is described. Finally, the paper considers the energy consumption and resilience of supertall buildings in the context of basic geometry, façade design, climate and mixed-use benefits as they impact city systems.

L-PBF 공정 처리된 Fe-Si 합금의 열처리 조건에 따른 미세조직 및 기계적 특성 (Mechanical Property and Microstructure of the Annealed Fe-Si Alloy Manufactured by Laser-Powder Bed Fusion)

  • 박준영;곽민석;정상국;김형섭;김정기
    • 소성∙가공
    • /
    • 제32권2호
    • /
    • pp.67-73
    • /
    • 2023
  • To overcome a climate change, manufacturing complex-shaped electric mobility parts become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for enhancing a performance of motor with reducing their weight. Therefore, development of laser-based additive manufacturing shed on light due to their flexible manufacturing capacity that can be suitable to solve the poor formability of Fe-Si alloys for electric mobility parts. Although there are several studies existed to optimize the performance of additively manufactured Fe-Si alloys, the post-annealing effect was not well investigated yet though this is important to control the tex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dditively manufactured parts. In the present work, annealing effect on the mechanical property and microstructure of additively manufactured Fe-4.5Si alloy was investigated. Because of the ordered phase initiation after annealing, the hardness of additively manufactured Fe-4.5Si alloy increased up to 1173 K while a hardness drop occurs at the 1273 K condition due to the micro-crack initiation.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esult represents the 1173 K-5 h sample is an optimal condition to maximize the mechanical property of additively manufactured alloy without micro-cracks.

Size distributions of 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and associated trace metals in the multi-industrial city of Ulsan, Korea

  • Kwon, Hye-Ok;Park, Min-Kyu;Kim, Seong-Joon;Choi, Jinsoo;Oh, Jun;Ahn, Joon-Young;Choi, Sung-Deuk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331-338
    • /
    • 2019
  • Particulate matter (PM) was collected using micro-orifice uniform deposit impactors from a residential (RES) site and an industrial (IND) site in Ulsan, South Korea, in September-October 2014. The PM samples were measured based on their size distributions (11 stages), ranging from $0.06{\mu}m$ to over $18.0{\mu}m$. Nine trace metals (As, Se, Cr, V, Cd, Pb, Ba, Sb, and Zn) associated with PM were analyzed. The PM samples exhibited weak bimodal distributions irrespective of sampling sites and events, and the mean concentrations of total PM (TPM) measured at the IND site ($56.7{\mu}g/m^3$) was higher than that measured at the RES site ($38.2{\mu}g/m^3$). The IND site also showed higher levels of nine trace metals, reflecting the influence of industrial activities and traffic emissions. At both sites, four trace metals (Ba, Zn, V, and Cr) contributed to over 80% of the total concentrations in TPM. The modality of individual trace metals was not strong except for Zn; however, the nine trace metals in $PM_{2.5}$ and $PM_{10}$ accounted for approximately 50% and 90% of the total concentrations in TPM, respectively.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size distributions of PM and trace metals are important to understand how respirable PM affects public health.

울진 소광리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내 금강소나무 고사지역의 지형 환경 특성 분석 (Topographic and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Dieback Areas in Sogwang-Ri, Uljin)

  • 김재범;김은숙;임종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18
    • /
    • 2017
  • 소나무는 우리나라에서 생태적, 사회 문화적으로 가장 중요한 수종으로 보호 이용되어 온 수종이다. 그러나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내 금강소나무 고사가 발생하고 있어 명확한 원인 구명 및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금강소나무의 고사 원인 구명을 위해 시계열 항공영상을 이용하여 금강소나무 고사 발생 전수 조사를 실시하고 고사발생 지역에 대한 지형환경특성을 분석하여, 소나무 고사의 위치적 특성 및 이에 따른 기상 요인과의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2,600ha 연구 대상지 내에서 약 1,956본의 금강소나무 고사목이 추출되었다. 소나무의 고사는 소나무 생육지역에 비해 고도가 높고, 일사량이 많고, 지형습윤지수가 낮은 지역, 남 남서사면, 능선 부위, 풍노출도가 높은 지역에 집중되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역은 지형조건에 따라 영향을 받는 미기상 특성에 따라 고온과 건조 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으로 분류되는 지역이다. 기후변화에 따라 고온 건조 스트레스가 전반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취약지역을 중심으로 스트레스의 임계치를 넘으면서 고사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지형환경 특성을 바탕으로 MaxEnt 모형을 이용하여 소나무 고사 발생 위험 지도를 제작하였으며, 이는 향후 소나무 보호 관리 대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

태양광 전원과 Li 배터리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그리드의 운영특성 해석 (Analysis of Micro-grid Operations Including PV Source and Li Battery)

  • 김덕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692-4697
    • /
    • 2014
  • 태양광 전원은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지역의 위치와 날씨 그리고 기후 등에 매우 큰 영향을 받으며, 전원으로서의 사용시간의 제한과 출력의 불확실성이라는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태양광 전원의 불확실성을 가능한 줄이기 위해, 태양광 전원의 출력에 대한 오랜 기간 동안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출력의 평균값을 산출해 내었다. 태양광 전원의 출력의 평균값은 태양광 전원에 직접 연결되어 그리드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Li 에너지 저장장치의 적정 용량산정과 운용방식에 꼭 필요한 데이터이며, 이로부터 Li 배터리의 충방전모드에 의해 그리드에 일정한 출력의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태양광 전원과 Li 배터리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악조건의 그리드 운전상태에서의 동작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Li 배터리의 충전율이 100%에서 10%로 단시간에 감소될 정도의 과부하 상태에 대해 태양광 전원과 Li 배터리의 운용특성을 분석하고 Li 배터리 셀 단위의 출력 및 온도특성을 해석하였다.

농업생태계에서 농경지유형에 따른 C4식물의 출현과 분포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C4 Plants under Diverse Agricultural Field Types in Korea)

  • 조광진;오영주;강기경;한민수;나영은;김미란;최락중;김명현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5-101
    • /
    • 2013
  • 본 연구는 논, 밭, 과수원, 도로변에 생육하고 있는 식물상을 조사하여 $C_4$식물의 분포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현장조사는 2002년부터 2006년까지 5년간 수행되었다. 그 결과, 총 74과 231속 352종이 확인되었으며, 쌍자엽식물 255종, 단자엽식물 89종, 양치식물 8종으로 분류되었다. 농경지유형별로는 논에서 55과 203종, 밭에서 49과 218종, 과수원에서 44과 115종, 도로변에서 48과 202종이 출현하였다. 본 조사를 통하여 논은 쑥과 고마리, 밭과 도로변은 쑥과 개망초, 과수원은 닭의장풀과 바랭이로 대표되며 농업생태계에서 출현율이 가장 높은 식물은 쑥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출현식물 중 $C_4$식물은 8과 25속 38종으로 확인되었으며, 논, 과수원, 도로변에서는 $C_4$ 단자엽식물의 출현율이 높았으며 밭에서는 다른 농경지유형에 비해 쌍자엽식물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이러한 $C_4$식물의 출현율 차이는 고온 건조한 우리나라 밭 주변 식물서식환경을 반영하고 있으며, 논과 과수원은 상대적으로 습윤한 미기후조건에서 건조조건이 아니라 온도조건에 의해 $C_4$ 단자엽식물이 분포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농업생태계를 대표하는 $C_4$식물 중 단자엽식물은 바랭이와 닭의장풀이며 쌍자엽식물은 개비름과 명아주로 확인되었다. 본 조사에서 총 47종의 귀화식물이 확인되었으며 토양의 수분환경조건이 상대적으로 건조한 밭과 도로변에서 많은 귀화식물이 출현하였다. 귀화식물 가운데 $C_4$ 식물은 비름속의 개비름과 털비름 2종으로 나타났으며, 단자엽식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유형에 따른 대표적인 $C_4$식물의 분포특성이 확인되었으며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의 상승으로 고온에 적응성이 높은 $C_4$식물의 새로운 유입과 이미 유입된 종 가운데 농업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래식물의 확산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미지형과 바람이 덕유산 가문비나무(Picea jezoensis)의 수관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cro-topography on the crown growth of Picea jezoensis under different wind conditions on Mt. Deokyu, Korea)

  • 한아름;정종빈;박필선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77-285
    • /
    • 2019
  • 아고산 지역에서 지형은 바람과 일사, 토양수분함량 등에 영향을 주며 식물의 생장과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아고산 지역에서 바람막이 지형이 가문비나무의 수관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서식지를 사면과 미지형에 따라 구분하고, 수고와 수관생장을 조사하였다. 아고산 지역의 가문비 나무는 서식지 내 바람의 영향과 미지형에 따라 수고 생장과 수관 생장이 다르게 나타났다. 바람맞이 사면에서 수고 생장과 수관생장률이 낮았고, 바람맞이 사면의 홀로 돋아져 바람과 같은 외부 환경에 노출된 미지형에서 자라는 나무는 바람의지 사면의 주변식생과 함께 자라는 나무보다 수관 생장이 절반 수준으로 낮았다. 바람의 영향이 강한 곳에서는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수관 생장이 억제되어 수관이 깃발형으로 발달하였다. 바람맞이 사면에서도 바람에 노출된 미지형 1 유형은 바람막이 역할을 하는 지피물이 존재하는 미지형 3 유형에 비해 수관의 기형이 심하였다. 본 연구는 바람이 심한 아고산 지역의 지형과 생장의 관계를 분석하여 가문비나무의 분포와 생장에서 바람막이 지형의 역할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아고산 서식지 관리와 복원을 위해서 바람의 영향을 고려한 사면과 지형별 분포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The Comparison of Two Strains of Fibrocapsa japonica (Raphidophyceae) in New Zealand and Japan

  • Cho Eun Seob;Rhodes Lesley L.;Kim Hak Gyoo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권1호
    • /
    • pp.58-65
    • /
    • 1999
  • Fibrocapsa japonica (Raphidophyceae) is regarded as a harmful algal bloom organism in Japanese waters, where it has been linked to fish kills. Fibrocapsa is a common species in New Zealand coastal waters, particularly in the Hauraki Gulf, where it has regularly bloomed in the spring under E1 Nino climate conditions for the past six years. The New Zealand isolate had 1.4 times more total polyunsaturated acids than the Japanese isolate under the same growth conditions, suggesting that eicosapentaenoic acid in particular coold be used as a discriminating chemotaxonomic marker. The molecular probes tested showed no differential binding of the raphidophytes to lectins, but oligonucleotide probes targeted F. japonica ribosomal RNA bound specifically to both isolates. Neither strain was toxic in mouse or neuroblastoma bioassays. There is no evidence that the New Zealand F. japonica isolates investigated to date produce ichthyotoxi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