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yl methacrylate

검색결과 586건 처리시간 0.029초

불소함유 아크릴계공중합체에서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함량에 따른 물리적 특성 변화 (The Effects of the Content of Hydroxyethyl Methacrylate in Fluorine-containing Acrylate Copolymers on Physical Properties)

  • 김기상;심상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502-508
    • /
    • 2018
  • 코팅, 발수 및 접착특성이 우수한 불소함유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설계, 제조하였다. 공중합체용 모노머로 methyl methacrylate(MMA), 2,2,2-trifluoroethyl acrylate(FMA) 그리고 2-hydroxyethyl methacrylate(HEMA)를 사용하여 괴상 중합 및 유화 중합으로 반응하여 > 95 %이상 고수율로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1H-NMR$로 화학구조를 확인하였고 DSC와 DMA로 물성분석을 한 결과, FMA의 함량이 5 %에서 10 %로 증가함에 따라 유리전이온도는 $3^{\circ}C$ 감소하였으며 HEMA의 경우에는 감소폭이 $2{\sim}8^{\circ}C$로 나타났다. Instron 및 TGA를 이용한 분석에서는 FMA 혹은 HEMA 함량이 10 % 증가함에 따라 괴상 및 유화 중합체 모두에서 인장강도는 29 MPa에서 22 MPa로 감소하였고 Td는 $200^{\circ}C$에서 $180^{\circ}C$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접촉각은 친수성인 HEMA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Glycerol dimethacrylate를 포함한 고습윤성 안의료용 고분자의 중합 및 특성 (Polymeriz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phthalmic Polymer Containing Glycerol dimethacrylate with High Wettability)

  • 조선아;김태훈;성아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283-289
    • /
    • 2011
  • 본 연구는 glycerol dimethacrylate를 교차결합제인 EGDM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와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MMA(methyl methacrylate), MA(methacrylic acid) 그리고 개시제인 AIBN(azobisisobutyronitrile)과 함께 공중합 하였다. 생성된 고분자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함수율 22~32%, 굴절률 1.442~1.463, 가시광선 투과율 90.0~90.5% 그리고 접촉각의 경우 56~$65^{\circ}$ 범위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또한 sessile drop method에 의한 공중합체의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 glycerol dimethacrylate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9.89~$18.99^{\circ}$ 감소한 결과를 보였다. 본 실험결과로 볼 때 생성된 공중합체는 습윤성이 높은 안의료용 렌즈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reparation of Ultra Fine Poly(methyl methacrylate) Microspheres in Methanol-enriched Aqueous Medium

  • Shim, Sang-Eun;Kim, Kijung;Sejin Oh;Soonja Choe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240-245
    • /
    • 2004
  • Monodisperse PMMA micro spheres are prepared by means of a simple soap-free emulsion polymerization in methanol-enriched aqueous medium in a single step process. The size and uniformity of the microspheres are dependent on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In a stable system, the uniformity is improved with the polymerization time. The most uniform and stable micro spheres are obtained under mild agitation speed of 100 rpm at 70$^{\circ}C$. The monodisperse PMMA microspheres in the size range of 1.4-2.0 $\mu\textrm{m}$ having less than 5% size variation are successfully achieved with varying concentrations of monomer and initiator. As the monomer and initiator concentrations increase, the larger micro spheres with enhanced uniformity are obtained. However, the decreased amount of water induces the polydisperse PMMA particles due to the generation of secondary particles.

Fabrication of Polymeric Hollow Spheres Having Macropores by a Quenching and Sublimation Process

  • Im, Sang-Hyuk;Park, O-Ok;Kwon, Moo-Hyun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1권6호
    • /
    • pp.518-522
    • /
    • 2003
  • We fabricated polymeric hollow spheres having macropores, which combine the advantageous properties of porous materials and hollow spheres. To fabricate such spheres, a polystyrene/methylmethacrylate solution was dispersed in water by vigorously stirring and then the suspension was quenched using liquid nitrogen. Water and methyl methacrylate present in the quenched suspension were readily sublimated by freeze-drying. Conclusively, the hollow-sphere structure and the macropores of its shell were created by the processes of liquid nitrogen-quenching and sublimation of methyl methacrylate domains within the shell, respectively.

속이 빈 구형의 고분자 합성 (Synthesis of Inner Vacant Polymer Spheres)

  • 배아현;김동원;권수한;신재섭
    • 폴리머
    • /
    • 제25권5호
    • /
    • pp.754-758
    • /
    • 2001
  • Vesicle을 단량체가 중합 반응을 할 수 있는 장소로 사용하기 위하여, vesicle 내의 소수성부분에 단량체와 가교제를 집어넣었다. 즉 dimethyldioctadecylammonium bromide를 증류수 속에서 초음파 분산을 하여 vesicle을 만든 후, 여기에 styrene과 divinylbenzene을 첨가한 다음 AIBN으로 중합시켰다. 형성된 고분자는 남겨두고 vesicle을 형성하였던 계면활성제들을 모두 에탄올로 추출해서 제거하여 순수 고분자로 이루어진 구형의 구조물을 얻었다. 그리고 methyl methacrylate와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를 이용해서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구형의 구조물을 합성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