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yl 3

검색결과 4,408건 처리시간 0.028초

Quinclorac과 Bensulfuron-methyl의 혼합처리(混合處理)에서 벼의 생장(生長)에 대한 제초제간(除草劑間) 길항작용(拮抗作用) (Antagonistic Interaction between Quinclorac and Bensulfuron-methyl on Growth of the Rice Plants)

  • 권오연;권용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88-294
    • /
    • 1997
  • 본(本) 연구(硏究)는 논 제초제(除草劑)로서 근래(近來)에 합제화(合劑化)된 bensulfuron-methyl과 quinclorac, 두 제초제(除草劑) 성분(成分)이 약해면(藥害面)에서 벼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相互作用效果)를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Quinclorac은 0, 300, 600, 900g ai/ha수준, bensulfuron-methyl은 0, 25, 50, 100g ai/ha수준에서 조합(組合) 처리(處理) 하였으며, 벼는 추청벼 10, 35, 55일묘(日苗)를 공시(供試)하고 온실, 생장상 및 포장에서 실험하였다. 제초제간(除草劑間)의 상호작용성(相互作用性)은 Chisaka 및 Colby의 성적분석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벼 총건물중(總乾物重)을 10% 감소(減少)시키는 약량(藥量)은 quinclorac 단제처리의 경우 aj/ha, 유묘기(幼苗期)(파종후 20일 : 3.5엽기)에는 584.8g ai/ha, 분얼기(分蘖期)(파종후 65일 : 7엽기)에는 517.7g ai/ha로 벼의 생육기(生育期)에 따른 차이가 작았으나 bensulfuron-methyl 단제처리의 경우에는 유묘기에는 43.2g ai/ha, 분얼기에는 84.2g ai/ha으로 벼의 생육기에 따라 약제에 대한 내성(耐性)이 크게 달랐다. 2. Quinclorac과 bensulfuron-methyl을 벼의 유묘기(幼苗期)와 분얼기(分蘖期)에 혼합처리(混合處理)하였을 경우 총(總) 건물중(乾物重)을 10% 감소시키는 등(等) 효과선(效果線)을 얻은결과 상호작용지수(相互作用指數)(antagonism index)는 -0.63 과 -0.67로서 길항작용효과(拮抗作用效果)가 인정되었으며, quinclorac과 bensulfuron-methyl간에 최대의 길항효과(拮抗效果)를 나타낸 혼합비율(混合比率)은 유묘기에는 796.3 : 100g ai/ha, 분얼기에는 760.3 : 100g ai/ha로서 유묘기에 길항효과가 컸다. 3. 지상부(地上部) 생장에 대한 길항작용효과(拮抗作用效果)에 있어서 유묘기에는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 감소(減少)가 quinclorac 600g ai/ha에 bensu1furon-methyl 100g ai/ha를 혼합처리(混合處理)한 구에서 quinclorac 600g a.i/ha과 bensulfuron-methyl 100g a.i/ha의 각 단제처리 구보다 작았으며, 상호작용지수(相互作用指數)(antagonism index)는 -0.79이었다. 분얼기(分蘖期)때는 quinclorac 600g ai/ha에 bensu1furon-methyl 25g ai/ha를 혼합처리한 구가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해 지상부 건물중이 증가되었으며, 상호작용지수(antagonism index)는 -1.33 이었다. 4. Quinclorac의 auxin적 활성(活性)에 의해 발생되는 통엽(筒葉)은 유묘기(幼苗期)처리시에는 quinclorac 600g ai/ha단제 처리구에서 개체당 평균 0.22개의 분얼(分蘖)(1.87%) 에서 발생하였으며, quinclorac 900g a.i/ha의 단제처리구에서는 개체당 5.44개의 분얼(分蘖)(47.10%)에서 발생하였다. 또한 분얼기(分蘖期) 처리시에 는 quinclorac 900g ai/ha의 단제처리구에서 개체당 평균 0.22개의 분얼(2.2%)에서 통엽(筒葉)이 발생하였다. 5. Quinclorac과 bensulfuron-methyl을 혼합처리(混合處理)하였을 때는 bensulfuron-methyl의 처리량(處理量)이 증가(增加)할수록 통엽(筒葉)발생이 급격히 감소(減少)하여 유묘기에 quinclorac 600g ai/ha과 bensulfuronmethyl 100g ai/ha를 혼합처리한 구에서는 통엽발생(筒葉發生)이 없었으며, quinclorac 900g a.i/ha과 bensulfuron-methyl 100g a.i/ha을 혼합처리한 구에서는 개체당 1.78개의 분얼(18.45%)에서만 통엽(筒葉)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분얼기 에서는 길항효과(拮抗效果)가 잎의 발육면(發育面)에서도 충분히 나타나 모든 혼합처리에서 통엽(筒葉)이 발생되지 않았다. 6. 약제처리효과(藥劑處理效果)의 온도반응(溫度反應)에서는 quinclorac 600g ai/ha 단제처리구(單劑處理區)에서는 온도(溫度)가 낮을수록, bensulfuron-methyl 102g aijha 단제처리구에서는 온도(溫度)가 높을수록 총(總) 건물중(乾物重) 감소(減少)가 심해졌으며, 이들의 혼합처리(混合處理區)에 있어서는 온도(溫度)가 낮을수록 총(總) 건물중(乾物重) 감소(減少)가 작아졌다. 또한 quinclorac 600g a.i/ha과 bensulfron-methyl 102g a.i/ha을 혼합처리하였을 때 저온조건(低溫條件)에서의 quinclorac 600g ai/ha 단제처리나, 고온조건(高溫條件)에서 bensulfuron-methyl 102g ai/ha 단제처리보다 총(總) 건물중(乾物重) 감소(減少)가 적었다. 온도(溫度)에 따른 상호작용성(相互作用性) 변화(變化)는 총(總) 건물중(乾物重)의 실측치(實測値)와 기대치(期待値)의 차이가 저온조건(低溫條件)에서 -32.44, 적온조건(適溫條件)에서 -21.92, 고온조건(高溫條件)에서 -21.53으로서 온도(溫度)가 낮아질수록 길항효과(括抗效果)가 컸다.

  • PDF

습윤 조건하에서 TEDA함침탄소층에 의한 Methyl Iodide 제거효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oval Efficiency of a TEDA Impregnated Charcoal Bed for Methyl iodide under Humid Conditions)

  • Won Jin Cho;Soon Heung Cha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161-168
    • /
    • 1984
  • 습윤 조건하에서 triethylenediamine (TEDA) 합침황성탄소층의 시간에 따른 methyl iodide제거 효율을 예측하기 위한 흡착모델이 제안되었다. 습윤 조건하에서 평형 흡착용량과 유효 가공 확산 계수의 감소가 고려되었다. 예측된 값은 실험결과와 비교되었다.

  • PDF

Designing of Antiepileptic Ligands by Esterification and Acetylation of Dipeptides

  • Vishwakarma, K.K.;Saraf, S.K.;Uppadhyay, R.K.;Kohli, D.V.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5권3호
    • /
    • pp.204-207
    • /
    • 1992
  • Glycylglycine, alanylalanine and alanylglycine were synthesized, their free carboxylic and amino groups were converted to methyl esters of N-acetylglycyglycine, N-acetylalanylglycine and N-acetylalanylalanine. The synthesized compounds were evaluated for antiepileptic activity, plasmaprotein binding, $TD_{50}$ and potentiating effect of phenobarbitone sodium.

  • PDF

Synthesis of N-Alkylated 4-Fluoro-5-phenylpyrrole-2-carboxylate via Isolable Pyrroline Ionic Intermediates

  • Kim, Sung-Kwan;Jun, Chang-Soo;Kwak, Kyung-Chell;Park, Kwang-Yong;Chai, Kyu-Y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12호
    • /
    • pp.2324-2328
    • /
    • 2007
  • Organic fluorine chemistry produces many useful products. This paper elucidates the reaction of ethyl-4,4- difluoro-2-iodo-5-oxo-5-phenylpentanoate (2) with primary amines in a one-pot scheme. The reaction produced a series of β-fluoropyrrole derivatives at ambient temperatures. In this reaction, the less bulky the primary amine the higher was the resultant yield. When (2) and aqueous methylamine (40%) were allowed to react below 0 oC, 5-(ethoxycarboxyl)-1-methyl-3,3-difluoro-2-hydroxy-2-phenylpyrrolidine, an intermediate molecule for 2-ethyl-4-flouro-1-methyl-5-phenylpyrrole-2-carboxylate (5), was isolated first. Then, (5) reacted with hydroperchloric acid and acetic anhydride to form 5-(ethoxycarboxyl)-1-methyl-3,3-difluoro-2- phenylpyrrolinium perchlorate (6), which was converted to 2-ethyl-4-flouro-1-methyl-5-phenylpyrrole-2- carboxylate gradually in the presence of a base. Our experiments demonstrate that the formation of 2-ethyl-4- flouro-1-methyl-5-phenylpyrrole-2-carboxylate occurs via both one-pot schemes and stepwise pathways, depending on the reaction conditions. The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isolated intermediate (6) suggest an anionic pathway for this reaction.

간암 세포주에서 5-ALA 및 ALA-methyl ester에 의해 유도된 Protoporphyrin IX의 형광 검출 (Fluorescence Detection for Protoporphyrin IX Induced from 5-ALA and ALA-methyl ester in Incubated Liver Cancer Cells)

  • 김명화;김정미;김현정;이인선;김경찬;이창섭
    • KSBB Journal
    • /
    • 제22권3호
    • /
    • pp.168-173
    • /
    • 2007
  • 형광을 이용한 암 진단을 위해 배양된 정상 및 암세포주에 광민감제인 5-ALA, ALA-methyl ester를 투여하고 세포 내 외에서 생성된 Protoporphyrin IX (PpIX)의 형광을 측정하여 5-ALA, ALA-methyl ester 투여의 최적 농도를 조사하였다. 정상 간세포주 (Chang) 및 간암 세포주 (HepG2)에 5-ALA와 ALA-methyl ester를 농도별로 투여하여 5-ALA와 ALA-methyl ester에 의해 유도된 PpIX의 생성을 확인하고, MTT assay로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배양된 cell에 5-ALA와 ALA-methyl ester를 투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함으로써 생성되는 PpIX의 양은 형광의 강도로 측정하였다. 이 때의 형광 (emission) 스펙트럼은 여기 파장이 410 nm일 때 603.2 nm, 660.5 nm와 603.2 nm 및 661.4에서 형광 봉우리가 관찰되었다. PpIX의 형광 강도를 측정한 결과, PpIX는 정상세포에서는 낮은 농도로 축적이 되는 반면에 암세포에서 더 높은 농도로 축적되었으며, 세포 외보다는 세포 내에서 더 높은 농도로 축적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5-ALA 및 ALA-methyl ester에 의한 PpIX의 생성에 대한 형광 강도는 ALA-methyl ester가 5-ALA보다 더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TBHQ, BHA/BHT 및 Methyl silicone이 식용유의 저장성과 고온에서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thyl Silicone, TBHQ and BHA/BHT on Frying and Storage Stabilities of the Vegetable Salad Oil in High Density Polyethylene Bottles)

  • 이준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50-257
    • /
    • 1978
  • 항산화제(抗酸化劑)인 TBHQ와 BHA/BHT와 소포제(消泡劑)인 methyl silicone등이 식용유의 저장성과 고온에서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련(一連)의 실험을 하였다. 실험결과 methyl silicone은 소포제로써뿐만 아니라 고온$(195^{\circ}C)$에서의 산패를 방지하였고 저장성에는 별 영향이 없었으며 TBHQ는 식용유를 고밀도 polyethylne병(용량 3.8l)에 넣어서 $32^{\circ}C$$38^{\circ}C$에서 1년간 저장 했을 때 산패를 지연시켰으나 고온에서의 안정성에는 별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았다. 한편, BHA/BHT(100ppm/100ppm)는 식용유의 저장성과 고온에서의 안정성에 별 도움이 되지 아니하였다. 또한 methyl silicone $1{\pm}0.5ppm$이 적정량(미국 FDA의 최대허용량 : 10ppm)이었으며 TBHQ는 FDA의 최대 허용량인 200ppm일때 가장 효과적임을 알았다.

  • PDF

인삼 모잘록병 (Rhizoctonia soEani)에 대한 Tolclofos-methyl의 효과 (Effect of Tolclofos-methyl on damping-off of ginseng seedlings incited by Rhisoctonia solani)

  • 유연현;조대희;오승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114-118
    • /
    • 1989
  • Tolclofos-methyl applied as seed dipping at 1,000 ppm for 3 hrs before sowing and soil drenching at the rate of 300 g ai./10 a in the middle of April protected emerging seedlings of Panax ginseng from damping-off caused by Rhiiutonia solani(AG2-1) in Yangjik Soil artificially infested with the pathogen. Germination rates with tolclofos-methyl, pencycuron, and control were 53.7%, 45.8%, and 7.5%, respectively, while the rate of the seeds at non-infested soil was 62.6%. The effectiveness of Tolclofos-methyl against the pathogen in the soil lasted upto 32 days in vitro. However, the transpiratio of ginseng seedlings increased greatly with chemical treatment, showing 0.02, 0.12, and 0.24 m1/cm2 leaf area/day at 0, 1,2, and 4 ppm a.i. of the fungicide, respectively.

  • PDF

방사선 조사에 의한 김치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변화 특성

  • 서혜영;김준형;송현파;박순연;김관수;최택열;손길선;변명우;김경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149.2-149
    • /
    • 2003
  • 비조사 김치와 2.5, 5 및 10 kGy로 방사선 조사된 김치로부터 SDE 방법으로 추출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분석하여 변화를 확인하였다. 김치의 주요 휘발성 유기화합물로 ethyl formate, ethyl acetate, ethanol, dimethyl disulfide, methyl 2-propenyl disulfide가 다량 함유되어 있었고, ethyl methyl disulfide, 4-cyano-1-butene, pentane dinitrile 등도 상당량 함유되어 있었다. Ethyl formate, ethyl acetate, ethanol은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당량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dimethyl disulfide, ethyl methyl disulfide, methyl propyl disulfide, pentane dinitrile, S-methyl methyl thiosulfonate 등도 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였다. 1-Penten-3-ol은 조사선량에 따라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