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phor of place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2초

케이블방송 예능프로그램 자막의 시각적 주의 : tvN <꽃보다 할배>를 중심으로 (Visual Attention on Subtitles of CATV Entertainment Program : Focused on tvN )

  • 강미영;강승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64-75
    • /
    • 2014
  • 본 연구는 케이블방송 예능프로그램의 자막 유형을 분류하고 시청자의 시각적 주의를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tvN <꽃보다 할배>의 첫 번째 시즌 방영분(유럽편)의 서사구성 요소인 등장인물과 사건을 은유적, 환유적 의미를 기준으로 인물 특성과 에피소드 부제 및 타이틀 로고, 이야기 내용에 따라 유형화했다. 연구방법론으로는 시선추적(Eye-tracking) 실험연구와 심층면접을 병행했다. 시선추적 실험연구 결과에 의하면, 등장인물 은유적, 등장인물 환유적, 사건 은유적, 사건 환유적 유형 모두 인물의 특성을 영상 구성 요소로 제시한 자막에서 시선이 가장 오래 체류했고 시선 평균 고정 시간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층면접 분석결과에 의하면, 등장인물들 간의 갈등을 극적으로 구성하거나 여행 장소(공간)에 대해 과장해 표현한 사건 환유적 자막에 시각적 주의가 가장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꽃보다 할배>의 제작진이 인물보다 사건을 중심으로 환유적으로 자막을 제시함으로써 리얼리티를 강화하는 동시에 시각적 즐거움을 추구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나무를 메타포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 일상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 기획 및 설계 (Diary Application Design Based Augmented Reality Using Tree(metaphor))

  • 김유빈;노종희;이예원;이효정;박정규;박수이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01-204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 기반 일상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기획하였다. 제안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는 시간이 흐른 뒤에도 변함없이 기록들을 다시 열람함으로써 추억을 회상할 수 있다. 이에 우리는 실제 생활하는 특정 공간에 자신의 감정을 기록할 수 있는 가상 나무를 심고, 해당 나무에 기록을 남기면서 생각을 정리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나무를 메타포로 설정하여 공간의 축을 고정시키고 시간의 흐름을 더욱 부각시킴으로서 기억이 일상 공간에 뿌리내리듯 공간의 확립성을 부여하였다.

  • PDF

렘 콜하스 건축의 장소적 특성과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eatures and Interpretation of Placeness of Rem Koolhaas' Architecture)

  • 박형진;김문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87-96
    • /
    • 2007
  • This study analyzes the place of modem architecture based on the place theory of C. N, Schultz. For applying Schultz's theory to the modern architecture, It is required to examine the modern cityscape, features of inner space of architecture and features of program. By analyzing the avant-garde architecture of Rem Koolhaas on such basis, the potentiality of placeness of modern architecture could be verified and the alternatives would be searched. It is inferred that the placeness features of Rem Koolhaas' public architecture is under the influence of the interpretation of program based on the humane background rather than the physical aspects of surroundings. The inner space shows the non-linear features, the metaphor of city. The obscurity of physical boundary illustrates the flexible features with ambiguous boundary. Consequently, the inner space expresses the surreal atmosphere that doesn't match the purposes of usage of architecture, the traditional concept. The outer shape is recognized as the by-product from the interpretation of internal program rather than it considered the surrounding context. The outer shape has the relatively simple formative shape and contrasts against the complicated inner space by using the non-physical materials. It is found that Koolhaas' architecture doesn't pursue the features of placeness of traditional concept. However, It is inferred that his architecture has the possibility of placeness by attaching the meaning through the social roles of each architecture. It gives the substantial suggestion to the modern architecture that can't easily acquire the placeness of traditional concept due to the environment of modern city.

금속재료를 활용한 조형물의 비유적 이미지 시각화 방법 연구 - 주거 단지 전시를 목적으로 (A Study on the Visualization Method for Figurative Art of Sculptures Using Metallic Materials - Based on the purpose of displaying in the residential complex)

  • 고승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25-230
    • /
    • 2021
  • 현대의 주거단지는 공원을 비롯해 호수, 산책로 등 가족과 이웃의 다양한 만남과 소통의 장으로 활용되는데, 더불어 주거 공간에 조형물을 전시하는 것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조성되고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시대요구에 맞춰 주거 공간에 전시하는 조형물의 디자인 전개 방법을 연구하는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작가의 생각과 메시지를 조형물에 넣음과 함께 관람하는 사람들도 공감할 수 있는 조형물디자인 하기 위해 디자인과정에 비유법을 활용한 은유, 유추방법과 작가의 생각이 공유될 수 있도록 동물형상과 단순화된 디자인을 전개하고, 금속과 돌을 사용하여 조형물의 형태로 완성하였다. 이러한 디자인 조형연구를 통해 거주공간이라는 특수한 장소에 작가의 생각과 관람자 모두가 함께 공감할 수 있는 조형물을 완성할 수 있었으며, 조형물이 하나의 예술분야로서 특수한 장소에 다양한 시각적 요인인 비유적 시각화 방법을 통해 형태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지속적인 연구로서, 다양한 비유의 시각적 조형화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장소 마케팅을 위한 지역 상징적 테마와 이미지 표현 기법에 관한 연구 - 일본 테마전시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ymbolic Regional Themes and its Expression Methods for Place Marketing - Focused on the Theme Museums of Japan -)

  • 박혜경;김정재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267-276
    • /
    • 2003
  • 본 연구는 장소 마케팅 전략인 지역 특성화를 위해서 적절한 지역 상징적 테마의 발굴과 이의 효과적 이미지 표현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접근되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최근 20년간 일본 지역 테마전시관에 나타난 지역 상징적 테마와 이의 표현 기법을 조사 분석하는 실증적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이는 향후 국내의 지역 상징적 테마 특성과 표현 방법과의 비교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서의 목적을 가진다. 사례 조사 분석의 결과, 자연지형과 생태, 인공시설, 유적과 유물 등 물리적 유형과 지역산업, 지역문화, 지역인물, 역사사건 등의 사회 문화적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전시관에 부여된 지역 상징적 테마를 적절히 표현하는 방법으로 재현, 은유, 환유, 상징 등의 표현기법 사례들이 나타났다. 특히 90년대 후반부로 올수록 다양한 지역을 상징하는 테마적용이 증가하고 더욱 강한 이미지로 표현되고 있었다.

  • PDF

Modern Linguistics: Theoretical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Semantics

  • Nataliia Mushyrovska;Liudmyla Yursa;Oksana Neher;Iryna Pavliu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6호
    • /
    • pp.162-168
    • /
    • 2023
  • This article presents an examination of the major cognitive-semantic theories in linguistics (Langacker, Lakoff, Fillmore, Croft). The CST's foundations are discussed concerning the educational policy changes, which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linguistic disciplines in the changing context of higher education, as well as the empowerment and development of the industry. It is relevant in the light of the linguistic specialists' quality training and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methods of language learning. Consideration of the theories content, tools, and methods of language teaching, which are an important component of quality teaching and the formation of a set of knowledge and skills of students of linguistic specialties, remains crucial.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main theoretical positions and directions of cognitive-semantic theory in linguistics, determine the usefulness of teaching the basics of cognitive linguistics, the feasibility of using methods of cognitive-semantic nature in the learning process. During the research, the methods of linguistic description and observation, analysis, and synthesis were applied. The result of the study is to establish the need to study basic linguistic theories, as well as general theoretical precepts of cognitive linguistics, which remains one of the effective directions in the postmodern mainstream. It also clarifies the place of the main cognitive-semantic theories in the teaching linguistics' practice of the XXI century.

Exploiting Convergence of Life with Technology to Tackle Real-Life Problems by Means of Computer Games

  • Wierzbicki, Robert J.;Bohnke, Peter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2권2호
    • /
    • pp.1-6
    • /
    • 2013
  • Convergence in technology and media makes it possible to augment nurturing by making blended infrastructures with new digital resources available in learning environments at schools. A game-based provision of educationally-valuable content within a collective, virtual environment combined with an analysis of events in the game after it has been played (blended nurture environment) may help to better communicate human values especially where old-fashioned discussion methods fail or do not fulfill the promise of effective, educational institution-based methods of bringing up.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use of behavioural metaphors in game-based blended-nurture scenarios for computer games and pedagogical-psychological tests. Upbringing demands an active intervention in the process of children growing up and the courage to place higher expectations on ourselves and our own lifestyles. Decisions and the behaviour of the younger generation are often irrational and the resulting effects can have destructive consequences. Nowadays, games take on the role of modern storytellers. With the help of complex analogies in games, a variety of situations can be depicted in an eye-catching way and later discussed.

존 힉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 비평 (A Criticism of John Hick's Copernican Revolution)

  • 제해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494-504
    • /
    • 2014
  • 이 논문은 힉의 자칭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의 기독론에 대한 연구이다. 전직 기독교 신학자였던 힉은 기독교 핵심 교리들 중 하나를 거부하고 싶지 않았으므로 기독론적 재해석을 통해 아가페 기독론, 영감 기독론, 그리고 신화 기독론으로 자신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을 제시했다. 따라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발전한 그의 세 기독론이 통시적으로 논의되고 평가될 것이다. 첫째, 아가페 기독론은 성육신이 모든 장소에서 모든 시대에 다른 정도로 일어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한다. 결과적으로 아가페 기독론은 예수를 한갓 인간에 불과한 존재로 전락시킨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둘째, 은혜의 역설 혹은 영감 기독론은 성육신을 하나님이 영이 사람들로 하여금 그들의 자유로운 반응에 의해 하나님의 뜻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본다. 이 기독론은 하나님의 성육신이 누구에게서나 장소와 시간을 불문하고 일어날 수 있다고 간주한다. 따라서 영감 기독론에 따르면 예수는 기독교인이 주장하는 것처럼 문자적인 의미에서 성육신하신 하나님이 아니다. 셋째, 신화 기독론은 성육신이 문자적인 것이 아니라 신화로 본다. 비록 힉이 후기 저술들에서 그것이 '신화'보다 긍정적인 의미를 함축한다는 이유로 신화 대신 '은유'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이것 역시 성경의 문자적 및 역사적 진실성을 거부하기는 마찬가지다. 힉의 신화 기독론은 예수의 성육신을 문자적, 역사적 진실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소위 말하는 힉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의 기독론이 다원주의적 세계와의 소통을 위한 진지한 시도임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의 종교적 상황에 대한 완벽한 해결책으로서는 다소 부족하다는 사실을 지적하며 연구를 끝맺는다.

'함양 용유담(咸陽 龍遊潭)', 전래명승으로서의 의의와 가치 구명 ('Yongyudam of Hamyang', the Significance and Value as a Traditional Scenic Place)

  • 노재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7권1호
    • /
    • pp.82-101
    • /
    • 2014
  • '함양 용유담'에 얽힌 유래와 전설, 지리산유산기 속의 경관 인식, 지형지질학적 특성 그리고 주변 유구(遺構)와 바위글씨의 해석과 분석을 통해 이곳의 경관 특성을 밝히고 이를 근거로 용유담의 명승적 가치와 경관보존의 당위성을 확보하고자 시도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함양의 대표적인 전래승경 '금대지리(金臺智異)'가 천왕봉과 용유동에 대한 묘사이듯, 고지도나 고문헌에서 또한 엄천강의 중심 '용유동(龍遊洞) 용유담'은 이 지역의 대표적인 승경으로서 자리매김 되어왔다. '구룡과 마적도사' '가사어' 전설과 기우(祈雨)의 주술신인 '용신(龍神)의 성소(聖所)'로서의 경관적 은유는 용유담의 본질일 뿐 아니라 신령함과 장소성을 심화시키는 촉매였다. 선인들의 지리산유산기 속에 드러난 용유담의 핵심적 이미지는 '자맥질하는 용과 관련된 지형경관적 특이성', '다양한 모습과 크기의 포트홀', '와류현상에 의한 여울목의 폭음(瀑音)' 그리고 '용 전설의 경관적 은유' 등으로 이들 이미지는 용유담의 장소관성(場所慣性)을 이끌어 왔다. 또한 이곳의 장구소(杖?所) 바위글씨는 김종직을 비롯하여 김일손 조식 정여창 그리고 강대수 등 지리산을 생활경관으로 체험하고 인식하였던 경상우도 사림(士林)들의 '장구 상영지소(杖? 觴詠之所)'로서 기념비적 석문(石文)이자 추모의 표식이다. 또한 용유담 주변의 3단 층계(層階)와 '용유담(龍遊潭)' 바위글씨 그리고 샘[泉]물을 모으기 위해 가공된 수반(水盤)은 제의터로서 영역성이 감지되는 전통조경적 유구이다. 더불어 본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확인된 용유동문(龍遊洞門), 방장제일산수(方丈第一山水) 등의 바위글씨는 선경지처(仙境之處) 용유담을 알리는 표식이자, 용유담이 지리산의 대표적 승경이라는 자부심의 표현이다. 그밖에 심진대 영귀대 강화대 등의 대(臺)는 옛 선인들의 풍류처이자 유계(遊契)의 흔적으로 용유담의 의의를 더해 준다. 용유담의 기묘하고 독특한 경관은 수려한 자연을 바탕으로 오랜 역사를 두고 이어져 온 장소관성의 산물이자 문화경관의 총체(總體)임을 여실히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해 지리산 용유담은 '물리적 실체' 뿐만 아니라 역사 문화적 가치의 중첩을 통해 꾸준히 전승되어온 복합유산으로 명승 지정 조건에 충일(充溢)함이 확인되었다. 단언컨대 용유담이 갖는 장소성은 물론 지질지형 역사문화적 가치는 그 어떤 정치경제적 이해관계나 논리로도 폄하되거나 훼손되어서는 안 될 전래 명승의 진수(眞髓)이다.

초기 근대 영국의 미각의 질서 -셰익스피어 희곡의 음식 기호와 사회적 유동성 (The Order of Appetites in Early Modern England: Shakespeare's Signs of Food and Social Mobility)

  • 노승희
    • 영어영문학
    • /
    • 제57권1호
    • /
    • pp.171-190
    • /
    • 2011
  • Shakespeare's plays deploy an interesting array of food signs in a way to illuminate the historical process of what Stephen Mennell has described as "the civilizing of appetite"-a process in which the changes of food choices and eating habits took place in response to the changes in people's way of life and personality structure over the long-term modern period since the middle ages. Shakespeare's plays suggest that the civilizing of appetite in early modern England was heavily affected by the forces of social mobility as well as the nascent market economy. The Capulets' costly preparation of Juliet's wedding banquet is a showcase of conspicuous consumption which was a structural necessity for the ruling class in Shakespeare's time. Some fifteen years later, the same kinds of foodstuffs are included in a shepherd's shopping list for the sheepshearing festival in Winter's Tale. This is a significant coincidence to prove that food was an important source of emulation and contest among different social classes; and that the rich diet of the upper class gave impetus to social mobility. The Elizabethan subjects, especially among the elite noblemen, were interpellated by the ideology of food that equated the quality of food and the eater's social identity. Faced with bankruptcy as a consequence of his extravagant consumption habit, Bassanio in The Merchant of Venice testifies to the gripping ideology of food onto early modern people, while Poor Tom in King Lear presents a comic parody of the rich people's conspicuous waste. Also in Coriolanus and The Merry Wives of Winsor, Shakespeare uses food as a metaphor for class-motivated social strugg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