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l shielding layer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5초

노이즈 소스 근거리장에 위치한 금속 차폐막의 차폐효과 분석 (Analysis for Shielding Effectiveness of Metal Shielding Layer within Near-Field of Noise Source)

  • 이원선;이원희;허정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9-65
    • /
    • 2019
  • 마그네틱 프로브와 노이즈 소스의 근거리장에 금속 차폐막이 놓여있을 때 차폐막 두께에 따른 EMI 차폐효과를 분석하였다. 노이즈 소스로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하였으며, 금속 차폐막 재료로는 그래파이트와 페라이트를 선정하였다. 마그네틱 프로브는 IEC 61967-6 방식을 적용하여 마그네틱 프로브를 이용한 전자기 방사 측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마이크로스트립 라인과 마그네틱 프로브 사이의 투과계수를 분석하였고, 둘 사이의 거리는 단일 차폐막일 경우 1 mm, 다중 차폐막일 경우 5 mm로 수행하였다. 차폐막의 두께는 5 um, 10 um, 30 um, 50 um 으로 변화시켰다. 주파수를 150 kHz에서 1 GHz까지 변화시켰을 경우 최대 44.9 dB의 SE(Shielding Effectiveness)를 얻었다.

무전해 금속 도금된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전자파 차폐성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Effect of Polyester Fabrics Chemically Plated with Copper and Nickel)

  • 손지현;천태일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38-244
    • /
    • 2004
  • In this study we have examined Copper and Nickel double metal layer on the synthetic fabrics by electroless chemical plating. We have focused on the shielding effect of the four kinds of woven and none-woven structure against electromagnetic fields. The shielding effectiveness of Copper and Nickel double metal layer showed between 90dB and 70dB,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fabric structure, that is cover factor and density. The more dense, The better shielding effect.

  • PDF

금속산화물 기반의 고성능 투명 전극 및 전자파 차단 효과 (High-functional Transparent Electrode Design and Shielding Effect)

  • 조성원;차우신;하준헌;이준식;강지원;응우옌 탄 타이;김준동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13-17
    • /
    • 2023
  • Functional transparent electrode was achieved by metal oxide-metal-Metal oxide (OMO) structure. Tailoring of metal oxide and metal layers, optically transparent and electrically excellent OMO films were investigated. Silver (Ag) is adopted for the metal layer and Ag oxide (AgO) is reactively formed by flowing O2 gas during the sputtering process. This spontaneous AgO formation from Ag simultaneously provides the good electrical interface with high transparency. Due to the feature of transparent electrode of OMO, it endows the shielding effect (SE) function of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ptically transparent and electrically conductive OMO electrode shows the high transmittance (83.7%) and low sheet resistance (6.5 Ω/☐) with SE of 29.54 dB.

DESIGN OPTIMIZATION OF RADIATION SHIELDING STRUCTURE FOR LEAD SLOWING-DOWN SPECTROMETER SYSTEM

  • KIM, JEONG DONG;AHN, SANGJOON;LEE, YONG DEOK;PARK, CHANG J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7권3호
    • /
    • pp.380-387
    • /
    • 2015
  • A lead slowing-down spectrometer (LSDS) system is a promising nondestructive assay technique that enables a quantitative measurement of the isotopic contents of major fissile isotopes in spent nuclear fuel and its pyroprocessing counterparts, such as $^{235}U$, $^{239}Pu$, $^{241}Pu$, and, potentially, minor actinides. The LSDS system currently under development at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Daejeon, Korea) is planned to utilize a high-flux ($>10^{12}n/cm^2{\cdot}s$) neutron source comprised of a high-energy (30 MeV)/high-current (~2 A) electron beam and a heavy metal target, which results in a very intense and complex radiation field for the facility, thus demanding structural shielding to guarantee the safety. Optimization of the structural shielding design was conducted using MCNPX for neutron dose rate evaluation of several representative hypothetical designs. In order to satisfy the construction cost and neutron attenuation capability of the facility, while simultaneously achieving the aimed dose rate limit (< $0.06{\mu}Sv/h$), a few shielding materials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eBorax, $B_4C$, and $Li_2CO_3$] were considered for the main neutron absorber layer, which is encapsulated within the double-sided concrete wall. The MCNP simulation indicated that HDPE-Borax is the most efficient among the aforementioned candidate materials, and the combined thickness of the shielding layers should exceed 100 cm to satisfy the dose limit on the outside surface of the shielding wall of the facility when limiting the thickness of the HDPE-Borax intermediate layer to below 5 cm. However, the shielding wall must include the instrumentation and installation holes for the LSDS system. The radiation leakage through the holes was substantially mitigated by adopting a zigzag-shape with concrete covers on both sides. The suggested optimized design of the shielding structure satisfies the dose rate limit and can be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a facility in the near future.

Direct Laser Melting 공정시 차폐가스가 성형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hielding Gas on Forming Characteristics for Direct Laser Melting)

  • 한상욱;신세계로;주병돈;이철환;문영훈
    • 소성∙가공
    • /
    • 제22권6호
    • /
    • pp.334-339
    • /
    • 2013
  • Direct Laser Melting is a prototyping process whereby a 3-D part is built layer wise by melting the metal powder with laser scanning. This process is strongly influenced by the shielding gas and the laser operating parameters such as laser power, scan rate, layering thickness, and rescanning. The shielding gas is especially important in affecting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the current study, fabric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shielding gas on the forming characteristics of direct laser melting. Cylindrical parts were produced from a Fe-Ni-Cr powder with a 200W fiber laser. Surface quality, porosity and hardness as a function of the layering thickness and shield gas were evaluated. By decreasing the layering thickness, the surface quality improved and porosity decreased. The selection of which shield gas, Ar or $N_2$, to obtain better surface quality, lower porosity, and higher hardness was examined. The form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with a $N_2$ atmosphere are better than those parts formed under an Ar atmosphere.

광투과 전자파 차폐필름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ransparent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 최광남;곽성관;김동식;정관수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4권2호
    • /
    • pp.21-25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표면저항을 이용한 차폐성능 및 다층박막의 광학설계 후, roll- to-roll DC 스퍼터링 공정을 이용하여 PET(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위에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인 ITO와 금속을 다층박막 구조(Multilayer)로 균질하게 증착한 전파차폐필름을 1m 넓이로 제작하고 광투과 및 전파차폐특성을 조사하였다. 각 층의 면저항 및 두께에 따라서 전자파 차폐성능과 광투과도를 최적화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그 조건에 따라 필름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전파차폐필름은 2-18GHz 대역에서 99.5%의 차폐성능을 나타내었으며, 400-700 nm에서의 전광선 투과율은 83.1%로 우수한 시인성과 전파차폐특성을 보유하였다.

와이어 공급에 의한 Inconel의 Nd:YAG 레이저 클래딩 (Nd:YAG Laser Cladding of Inconel with Wire Feeding)

  • 김재도;배민종;팽윤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18권3호
    • /
    • pp.83-88
    • /
    • 2000
  • Laser cladding processing allows rapid transfer of heat to the material being processed with minimum conduction into base metal, resulting in low total heat input. The effects of Nd:YAG laser cladding with wire feeding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Inconel alloy were investigated. inconel alloy is used as the material of nuclear steam generator tubing because of its mechanical properties and corrosion resistance properties. The device for Nd:YAG laser cladding with wire feeding was designed. It consists of the wire feeding system, the wire cladding system and the shielding gas system which prevents the clad layer from being oxidized. Experimental as results indicated that the wire feeding direction and position were important for laser cladding with wire feeding. The wire feeding speed should be adapted according to cladding speed for good shaping of clad layer. The effect of heat on the HAZ size can be limited and the growth of grain size of HAZ size was not serious. The hardness of clad layer and heat affected zone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cladding speed.

  • PDF

FFF방식의 3D프린터 노즐 크기와 층 높이가 방사선 차폐체 제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FFF 3D Printer Nozzle Size and Layer Height on Radiation Shield Fabrication)

  • 윤준;윤명성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891-898
    • /
    • 2020
  • 최근 납으로 제작된 차폐체의 문제점이 대두되면서 대체 할 수 있는 차폐체 연구는 필수적이며 3D프린터로 진단용 X선 차폐체 제작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금속 혼합 필라멘트의 개발로 쉽게 차폐제 제작이 가능해졌지만 3D 프린터의 노즐 크기나 출력설정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Brass filament와 3D프린터로 노즐 크기와 층 높이에 따라 차폐체를 출력하고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차폐율 실험을 통해 결과를 비교분석 하고자 한다. 노즐 크기는 0.4, 0.8 mm, 층 높이 0.1, 0.2, 0.3, 0.4 mm로 변화하여 출력하였고, 차폐율 시험은 40 mAs로 고정하고, 60, 80, 100 kVp로 각각 실험하여 차폐율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즐 크기와 층 높이에 따라 출력시간을 1/10로 줄일 수 있었으며, 1% 이상 차폐율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롤투롤 스퍼터링 증착을 통한 납(Pb) 대체용 방사선 차폐필름 개발 (Research on Radiation Shielding Film for Replacement of Lead(Pb) through Roll-to-Roll Sputtering Deposition)

  • 김성헌;변정섭;지영빈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441-447
    • /
    • 2023
  • 현재 의료방사선 분야에서 차폐를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납(Pb)소재는 방사선 차폐 기능은 뛰어 나지만 납 자체가 가지고 있는 인체 유해성과 무거운 무게에 의한 불편함 때문에 지속적으로 직, 간접적으로 방사선 피폭 위험을 차단함과 동시에 납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인체 친화적인이며 가벼우면서 사용편의성을 가진 차폐소재의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과 실제 방사선 방호복 사용되는 원단소재를 기재로 하여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는 금속물질인 비스무트, 텅스텐, 주석을 스퍼터링 진공증착 방식을 통한 다층박막을 구현하여 차페필름을 제작하여 방사선 차폐소재로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차폐필름을 제작하기 위한 인가전압, 롤 구동속력, 가스공급량을 제어하면서 차폐물질별 최적화된 조건을 확립하여 방사선 차폐필름 제작하였다. 모재와 차폐금속박막간 밀착력 확인은 Cross-cut 100/100으로 확인하였고 시간에 따른 박막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내열탕 테스트 1시간을 통하여 박막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구현된 차폐필름의 차폐성능은 한국방사선진흥협회를 통한 실제 방사선 차폐성능을 측정한 결과 시험조건(역넓은 빔, 관전압 50 kV, 반가층 1.828 mmAl)을 설정하여 감쇠비 16.4 (초기값 0.300 mGy/s, 측정값 0.018 mGy/s)와 감쇠비 4.31(초기값 0.300 mGy/s, 측정값 0.069 mGy/s)의 결과를 얻었다. 추후 제품화를 위한 공정효율성을 확보하여 가벼우면서 차폐성능을 보유한 필름 및 원단을 활용하여 방사선 방호복이나 차폐기능을 가진 건축자재로의 필름적용을 위한 초석을 마련하였다.

도금 하지층으로 금속 증착막을 이용한 전자파 차폐 필름의 제조 (Fabrication of electromagnetic shielding film used metal evaporated thin film for under coated layer)

  • 이성준;김동현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8-58
    • /
    • 2013
  •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무전해 Cu 도금 및 무전해 Ni-P 도금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박형 전자파 차폐 필름의 제조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무전해 도금의 전처리 방법으로 기존의 Pd 촉매를 사용하는 대신에, 증착법에 의한 Sn 피막의 형성으로 전자파 차폐 특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박형 전자파 차폐 필름의 형성이 가능하게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