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data for preservation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32초

외국 대학도서관의 디지털 큐레이션 프로세스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Digital Curation Process in Foreign Academic Libraries)

  • 한나은;김성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93-11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연구데이터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국외의 10개 대학도서관의 보존정책을 대상으로 디지털 큐레이션 프로세스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데이터 선정 및 접수, 보존 활동, 접근 및 이용, 책임 및 관리의 4가지 부분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데이터 선정 및 접수에서 수집 대상 데이터는 대부분 대학 내에서 생산된 디지털 형태의 연구데이터나 대학에서 생산하지는 않았으나 대학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로 나타났다. 보존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메타데이터는 Dublin Core, MODS, PREMIS 등으로 나타났으며, 접근 및 이용에서는 법률 및 규약에 기초하여 접근, 규제 등을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책임 및 관리 차원에서는 관리적, 재정적, 기술적, 물리적, 인적 부분 등으로 나누어 각각의 감사나 지속가능성 등을 검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자료 아카이빙을 위한 리포지토리 설계 및 구축 방안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Repository for Archiving Educational Resources)

  • 이종덕;신규용;유진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95-102
    • /
    • 2013
  • 디지털 콘텐츠를 보존하기 위한 아카이빙 시스템은 주로 도서관, 박물관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 중 대학교 도서관에서는 논문, 연구 보고서 등 연구업적에 대한 보존 활동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교육자료에 대한 보존활동은 주목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업무의 전반적인 과정을 장기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리포지토리를 설계하고 이를 구축하는 것이다. 교육 리포지토리 설계를 위해 아카이빙 대상을 먼저 선정한 뒤, 교육자료의 장기적 보관에 적합한 디지털 포맷을 논의한다. 설계가 완료된 후 이를 바탕으로 대표적 리포지토리 소프트웨어인 DSpace, EPrints, Fedora, 그리고 Omeka를 이용하여 리포지토리를 구축하고 이에 대한 비교분석결과를 제시한다.

  • PDF

디지털 아카이빙의 표준화와 OAIS 참조모형 (Standardization of Digital Archiving and OAIS Reference Model)

  • 이소연
    • 정보관리연구
    • /
    • 제33권3호
    • /
    • pp.45-68
    • /
    • 2002
  • 디지털 정보보존 관련 분야와 기관간 의견교환과 협력의 기반이 되는 OAIS 참조모형이 최근 ISO 표준으로 인증 발표되었다. 이 논문은 OAIS 참조모형이 정의하고 있는 주요 모형들과 디지털 아카이빙에 관련된 문제들을 논의하고 이 모형의 개발에 참여한 주요 기관 및 프로젝트의 활동을 소개하였다. 귀중한 문화유산인 디지털정보를 진본 상태로 유지하면서 장기적으로 보존하여 현재와 후대의 인류에게 전승하는 책무를 맡고 있는 문화기관들의 협력 필요성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정부부처의 페이스북 페이지 기록물 수집·보존·재현 방법 (The Methods of Collecting, Preservation, Reproduction for Records of Public Sector's Facebook Pages)

  • 장인호;황윤영;이규철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7-128
    • /
    • 2014
  • 최근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가 큰 인기를 얻고 있으며, SNS중에서도 페이스북이 가장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페이스북의 경우는 대한민국 모든 정부 부처에서 페이스북 페이지로서 운영되고 있으며, 정책 방향을 알리거나, 이에 대한 국민들의 의견들을 수렴하는데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향후 정책에 반영되거나 국민들의 여론을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역사적으로도 매우 주요한 정보로서 장기보존을 해야 할 가치를 가진다. 해외의 경우에는 페이스북 기록물들을 장기보존하기 위한 도구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도구들은 페이스북내의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지 못하며, 장기보존을 위한 원칙들을 무시함으로서 단순한 백업에 그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부부처의 페이스북 페이지에 대해 OAIS 참조 모델에 기반을 두어 수집 보존 재현 방법에 대해 연구하려 한다.

E-ARK 기반 디지털 아카이빙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 Digital Archiving Model based on E-ARK)

  • 박희진;한상은;오삼균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3-101
    • /
    • 2018
  • 본 연구는 E-ARK(European Archival Records and Knowledge Preservation)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아카이빙 모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아카이빙 관련 국제 표준과 기술 사항을 분석하여 디지털 아카이브의 핵심 기능 영역을 도출하고 기능 모델 구축에 필요한 기술, 정보패키지와 메타데이터 구현을 위한 요구사항을 파악하였다. 디지털 아카이브의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고려하여 정보패키지 구성에 있어서 상호운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디지털 아카이빙 모델을 제안하였다.

가톨릭교회 오픈소스 기록관리시스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cords Management System Using Open Source Software For Catholic Church)

  • 황지민;이지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63-29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가톨릭교회에서 생산되는 기록물 중 생산 비중이 높고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성사기록물'에 초점을 맞추어 성사 기록물을 체계적으로 관리·보존할 수 있도록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가톨릭교회 기록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종 가톨릭교회의 규정과 참고문헌,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홈페이지를 분석하였고 천주교 대구대교구의 주교좌 성당인 G성당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가톨릭교회의 기록관리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성사 기록물의 특성을 반영한 4가지 기술계층 및 기술계층별 메타데이터 구조, 전거 데이터를 설계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오픈소스를 활용한 기록관리시스템에 실험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적합한 오픈소스 기록관리시스템으로 AtoM을 선정하여 설계한 내용을 적용하였다.

국가 전자기록물 영구보존을 위한 메타데이터 설계 (A Design of Metadata for Government Electronic Records Long-Term Preservation)

  • 황윤영;임혁수;이규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2 No.1 (B)
    • /
    • pp.88-90
    • /
    • 2005
  • 전자정부 사업이 추진되면서 정부의 각급기관은 전자적으로 기록물을 생성 및 유통하고 있다. 각급기관에서 생성된 전자기록물은 관리 및 열람${\cdot}$활용을 위해 자료관시스템으로 이관되며, 준영구 이상의 전자기록물은 영구보존을 위해 국가기록원으로 이관되어 보존된다. 전자기록물을 효과적으로 영구보존 및 활용하기 위해서는 여러 종류의 메타데이터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 외국에서는 전자기록물 메타데이터를 표준화하여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기록물 영구보존 메타데이터 요소를 정의한 ISO 15489와 호주 빅토리아주의 메타데이터 및 우리의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우리의 현실에 맞는 메타데이터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문화재 중심 기록물 서비스 개선을 위한 온톨로지 설계: 황룡사 관련 기록물 중심으로 (A Study on Ontology Design to Improve Record Service of a Cultural Heritage: Focused on Hwangnyongsa Temple Records)

  • 김시정 ;최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41-268
    • /
    • 2022
  • 문화재 관련 기록물은 문화재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이며 보존에 있어 중요한 근거자료 역할을 하므로 문화재만큼이나 중요한 의미가 있다. 특히 국가적이나 사회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가진 특정 문화재인 경우 해당 문화재가 하나의 주제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문화재를 주제로 한 프로그램이 기획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유명한 문화재를 중심으로 생산되는 기록물은 긴 시간 동안 발생하면서 분산되어 관리되어 왔고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어 해당 기록물의 범위와 소재,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들의 해결 방안으로, 이 연구는 황룡사와 같이 사회적, 역사적 가치를 가지는 주요 문화재를 중심으로 발생하는 관련 기록물을 11개 공공기관 및 웹서비스에서 수집하여 기록물의 유형, 기록물과 관련된 활동, 메타데이터 분석을 통해 전체 기록물의 범위와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온톨로지 설계를 하여 특정 문화재 중심으로 기록물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시청각(사진/동영상) 기록물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과 운영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the Audio-Visual Archives System Development and Management)

  • 신동헌;정세영;김선현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3-50
    • /
    • 2009
  • 국방과학연구소에서는 보유하고 있는 아날로그 형태 시청각 기록물을 디지털 변환을 통하여 이용자의 접근 용이성을 확보하고 시스템을 통한 보다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영상기록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 중에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전체 구축 과정과 실제 운영 사항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시청각 기록물의 디지털 변환을 통한 DB 구축과 이용자의 직접적인 검색 활용을 통하여 기록물에 대한 보존과 활용에 대한 실제 사례를 기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미지와 동영상 데이터를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요구사항 분석에서부터 아날로그형 자료의 디지털 변환을 통한 DB 구축 시 표준 업무절차 구현, 품질 기준 설정, 메타데이터 항목 설정 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실제로 시청각 기록물 관리를 위한 시스템을 운영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시스템 효과 분석을 통하여 시청각 기록물 관리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Changes in Research Paradigms in Data Intensive Environments

  • Minsoo Par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4호
    • /
    • pp.98-103
    • /
    • 2023
  • As technology advanced dramatically in the late 20th century, a new era of science arrived. The emerging era of scientific discovery, variously described as e-Science, cyberscience, and the fourth paradigm, uses technologies required for computation, data curation, analysis, and visualization. The emergence of the fourth research paradigm will have such a huge impact that it will shake the foundations of science, and will also have a huge impact on the role of data-information infrastructure. In the digital age, the roles of data-information professionals are becoming more diverse. As eScience emerges as a sustainable and growing part of research, data-information professionals and centeres are exploring new roles to address the issues that arise from new forms of research. The functions that data-information professionals and centeres can fundamentally provide in the e-Science area are data curation, preservation, access, and metadata. Basically, it involves discovering and using available technical infrastructure and tools, finding relevant data, establishing a data management plan, and developing tools to support research. A further advanced service is archiving and curating relevant data for long-term preservation and integration of datasets and providing curating and data management services as part of a data management plan. Adaptation and change to the new information environment of the 21st century require strong and future-responsive leadership. There is a strong need to effectively respond to future challenges by exploring the role and function of data-information professionals in the future environment. Understanding what types of data-information professionals and skills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is essential to developing the talent that will lead the transformation. The new values and roles of data-information professionals and centers for 21st century researchers in STEAM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