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data crosswalk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의미 호환을 위한 메타데이터 매핑 연구 (A Study on Metadata Mapping for Semantic Interoperability)

  • 고영만;서태설;임태훈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23-23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메타데이터간의 의미적 호환성을 유지하거나 개선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론을 분석하고 크로스워크를 이용한 메타데이터간의 의미 호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서 검토한 후 메타데이터간의 의미 호환을 극대화하기 위한 의미적 메타데이터 매핑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이 프로세스는 대상 메타데이터 스킴확인, 공통 데이터요소개념(DEC) 발견, 데이터요소개념에 따른 속성 그룹화, 매핑 테이블 작성 등의 네 단계로 구성된다. 국내에서 개발된 단체표준 수준의 두 인력정보 메타데이터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된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매핑 테이블 작성 과정을 보였다.

인터넷 정보서비스를 위한 메타데이터 프레임워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in Metadata Framework for Internet Information Service)

  • 황상규;윤세진;오경묵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9-179
    • /
    • 2002
  • 웹 정보체계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정보자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인터넷 정보를 기술하고 있는 서로 다른 메타데이터 표준들간의 상호운용성 문제가 점차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IFLA의 FRBR, INDECS, ABC 모델 등의 상호연동 모델들을 비교·분석함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메타데이터간의 상호연동을 위한 새로운 방식의 상호운용성 모델을 개발, 제안하였다. 리소스모델의 기본·메타데이터 항목 요소들로부터 중심이 되는 개체(core entity)와 이와 연관된 주요 사건(core event)들을 식별하고. 이를 리소스중심 중간모델과 이벤트중심 중간모델로 변환(swapping)하는 과정을,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이들 모델간 전환 방법을 명확하게 제시하였다.

일제강점기 일본어신문 『조선시보』의 메타데이터 요소 개발과 적용 연구 (Metadata Elements Design and Application for Japanese Newspaper 'Chosunsibo' Issued in Colonial Korea)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137-15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일본어 신문 중 자료의 방대한 양이나 사료로서의 가치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신문기사 검색이 불가능한 『조선시보』의 메타데이터 구축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 일제강점기 신문DB구축 현황과 메타데이터 요소를 분석하고, (2) 『조선시보』의 형태적·내용적 특성을 파악한 다음, (3) 메타데이터 설계를 위한 기본원칙을 정한 후 『조선시보』에 적용할 메타데이터 요소 및 인코딩 스킴, 통제어휘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메타데이터 설계(안)은 (1) 데이터 입력 테스트를 통한 검토 및 수정, (2) DB 전문기관의 자문, (3) 관련 표준 및 관련 사례와의 crosswalk 작성 등의 과정을 거쳐 확정되었다. 본 연구의 범위는 『조선시보』에 적합한 메타데이터 요소의 개발 및 이를 토대로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입력기 개발까지로 설정하였다.

임산공학 분야 연구데이터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Metadata for Research Data Management in Forestry Engineering)

  • 김주섭;한연중;유원재;김선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169-194
    • /
    • 2020
  • 최근 많은 학문 분야에서 해당 분야에서 생산되는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메타데이터를 개발하고 있다. 범용적인 분야를 넘어서 특정 학문 분야를 지원하기 위한 메타데이터는 해당 분야의 연구데이터를 검색, 관리, 공유 및 재사용을 위한 필수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산공학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항목을 도출하였다. 메타데이터 항목을 도출하기 위하여 FGDC-CSDGM, ISO 19115, NEFIS, INSPIRE, ANZLIC, DataCite 4.3 그리고 TTA,KO-10.0976 등 7개 메타데이터를 대상으로 매핑작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필수 6개, 권고 13개 그리고 선택 요소 9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메타데이터는 임산공학 분야의 연구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항목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식품성분 연구데이터의 표준화를 위한 메타데이터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adata Design for Standardization of Food Composition Research Data)

  • 이상훈;박은지;김주섭;김선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41-26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식품성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의 관리 및 공유를 위한 메타데이터 도출이다. 기존의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던 메타데이터 DCAT, DataCite 4.4, TTAK.KO-10.0976, AgMES, FoodData Central 등 5개의 비교 분석을 통해 식품성분 연구데이터를 기술하기 위한 '소재정보'와 '성분분석' 메타데이터 요소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소재정보' 메타데이터는 최상위 15개 요소가 도출되었으며 필수 요소 7개, 권고 요소 3개, 선택 요소 5개가 포함되었으며, '성분분석' 메타데이터는 최상위 12개 요소가 도출되었으며 필수 요소 8개, 권고 요소 3개, 선택 요소 1개가 포함되었다. 도출된 메타데이터는 식품성분 연구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항목으로 사용되며, 국내 및 국제 식품성분 데이터베이스와 공유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구 관측자료 공유를 위한 메타데이터 연구 (A Study on Metadata for Sharing the Information of Earth Observation)

  • 이혜영;곽승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57-276
    • /
    • 2007
  • 본 연구는 지구 관측자료 공유 및 효율적 활용을 위한 통합 메타데이터를 설계하는 것이다. 최근 정부 간 조직으로 구축된 GEO(Group on Earth Observations)는 지구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관측되는 자료를 활용하여 인류의 이익을 최대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 흐름에 따라 국내에서 관측되는 지구 관측자료 즉, 재해, 보건의료, 에너지자원, 기후, 수자원, 기상 생태계/생물다양성, 농업, 산림, 해양, 우주, 국토공간정보 등 12개 분야의 관측자료를 통합 및 활용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 현재 지구관측자료는 관측분야별로 개별적인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고 있을 뿐 메타데이터를 통합관리하지 못하고 있다. 국내 지구 관측자료의 관측분야와 관측요소별 다양하고 상이한 메타데이터로 인한 통합메타데이터의 설계 어려움을 메타-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상이한 데이터 구조의 데이터베이스간 통합 운영방안 연구 - 기초학문자료센터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Integrated Operation for Databases with Different Data Structures)

  • 고영만;배경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69-8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이형 데이터 구조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의 통합 운영 가능성을 검토하고 사례 연구를 통한 실제적인 방안을 설계하기 위해서 한국연구재단 토대기초지원사업의 DB 구축 연구성과물과 한국연구재단의 기초학문자료센터 DB 통합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토대기초연구지원사업의 성과확산을 위해서는 기초학문자료센터와의 통합 연계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그 방안으로서 기존에 구축된 DB구축 과제의 DB는 표준 지침을 활용한 XML 데이터베이스화를 필수적으로 진행하되, 향후 구축될 DB구축 과제의 DB는 기초학문자료센터와 연계 시스템을 구성하거나 독립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안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