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cognitive level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34초

청소년 대상 파이썬(Python) 활용 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The Meta-Analysis on Effects of Python Education for Adolescents)

  • 장봉석;윤소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63-369
    • /
    • 2020
  • 이 연구는 청소년 대상 파이썬 활용 교육의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료 분석을 위해 파이썬 활용 교육의 효과를 보고한 선행연구 6편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파이썬 활용 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0.684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 효과를 종속변수 유형에 따라 비교 분석한 결과, 학업성취도 0.871, 인지적 영역 0.625, 정의적 영역 0.428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적 영역의 경우, 자기효능감 0.833, 문제해결능력 0.283, 컴퓨팅사고력 0.276, 코딩 역량 0.251의 순서로 나타났다. 넷째, 정의적 영역의 경우, 학습 흥미 0.56, 프로그래밍 흥미 0.417의 순서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 급의 경우, 중학교 0.851, 고등학교 0.585, 대학교 0.435의 순서로 나타났다. 여섯째, 교과 영역의 경우, 수학 1.057, 디자인 0.595, 정보 0.585, 소프트웨어 0.28의 순서로 나타났다.

국내 치매노인의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효과분석: 메타분석 (Analysis of Effect of Non-drug intervention on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Korea: Meta-Analysis)

  • 이나래;박윤지;장종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66-472
    • /
    • 2021
  • 본 연구는 치매노인에게 적용되고 있는 다양한 비약물적 중재 방법과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치매의 임상적 증상에 따른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성을 분석하여 치매노인을 치료하고 관리하는 전문가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RISS를 비롯한 5개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치매노인의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연구들을 검색한 후, 선정 및 배제기준에 따라 14편의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대상자 특성과 연구 특성으로 나누어 코딩을 진행하였고, 공통되는 증상별로 분류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공통되는 종속변수는 인지기능, 기억력, 일상생활수행능력, 삶의 질, 우울, 행동심리증상등 6개의 하위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메타분석 결과 인지기능에서는 홀니스 프로그램, 기억력에서는 제과제빵 활동, 일상생활수행능력에서는 복합중재 프로그램, 삶의 질에서는 클라이언트 중심적 인지자극치료, 우울과 행동심리증상에서는 리듬움직임 활동이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보아 치매노인에게 적용되고 있는 비약물적 중재는 매우 다양하며 중재들이 나타내는 효과성에서도 서로 다른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증상별로 중재에 대한 효과의 차이를 구별하여 적용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중재가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컴퓨터 기능 교육에서 초인지를 이용한 협력적 성찰 수업모형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ollaborative-Reflection Instructional Model by using Meta-Cognition in Computer Skill Education)

  • 김갑수;이미숙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39-348
    • /
    • 2005
  • 컴퓨터 교육은 실생활의 문제해결을 추구하면서도 문제해결의 필요에 의해 기능을 활용하기보다 유명한 회사의 응용프로그램의 기능적 요구에 의해 단순히 따라하면서 기능을 습득하도록 하는 행동주의적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좀 더 효과적으로 컴퓨터 소양교육을 하면서도 실제 생활과 괴리되지 않는 컴퓨터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구성주의의 관점에서 학습자의 활동을 중시하고 자기 점검적 초인지를 이용하여 각 수업의 단계에 성찰을 구조화 하며, 보다 효과적으로 기능을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문제 중심의 성찰적 협력학습 방법을 강구하여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실제 기능교육에 적용해 본 결과 본 모형을 적용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기능 학습의 성취도가 높았고, 상위집단, 중간집단, 하위집단의 성취 결과를 분석한 결과 상위 집단에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PDF

초등학생 대상 파이썬(Python) 활용 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The Meta-Analysis on Effects of Education of Pyth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윤소희;장봉석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97-101
    • /
    • 2020
  • 이 연구는 초등학생 대상 파이썬 활용 교육의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해 파이썬을 활용하여 교육을 실시한 후 효과에 관해 보고한 선행연구 논문 5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전체 효과크기는 무엇인가? 출판 여부, 종속변인 유형 등의 범주형 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는 무엇인가? 학년, 운영기간 등의 연속형 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는 무엇인가? 연구 결과로써 파이썬 활용 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중간 효과인 .598로 나타났다. 범주형 변수에 따라, 출판된 연구물의 효과크기가 학위 논문보다, 정의적 영역의 효과크기가 학업성취도, 인지적 영역 보다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회귀분석 결과 교육 운영기간이 길수록, 프로그램 운영시간이 클수록 더 큰 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논의 및 정의적 영역에 대한 질적 탐색, 프로그램 특징을 고려한 운영 등을 중심으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Shin, Jin Hyeon;Shin, Hye Jeong;Kim, Eui Byeol;An, Yun Young;Yook, Tae Han;Choi, Yoo Min;Song, Beom Yong;Kim, Jong Uk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7권4호
    • /
    • pp.209-22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treatment for the symptoms of Alzheimer's disease (AD). There were 11 databases searched for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using acupuncture treatment for AD. The risk-of-bias assessment tool of the Cochrane Library was us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each study. Using the Review Manager (RevMan), a meta-analysis was performed using risk ratio, mean difference, 95% confidence interval, and random effect model. There were 32 studies selected, all of which were conducted in China. There were 16 studies where acupuncture was used as the intervention, and 23 studies used Donepezil as the control group. Acupoint GV20 was most frequently selected during the treatment. Th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outcome variable. A period of 12 weeks was the most common treatment duration. As a result of meta-analysis (n = 25), acupuncture improved the MMS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ores. Electroacupuncture improved the Alzheimer Disease Assessment Scale-Cognitive Subscale, and scalp acupuncture improved the MMSE score for AD. Acupuncture alleviates the symptoms of AD. However,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provide a better level of evidence.

기본학습요소를 활용한 수준별 유형화 학습이 수리탐구 영역의 문제해결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hieving problem-solving ability in mathematical searching area based on level type learning using basic learning elements)

  • 김태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131-148
    • /
    • 2000
  • Above all,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must be emphasized as a basic skill of mathematics, but it is neglected when we teach. In this study, learning task means [same meaning] [same form] [same technique], so I tried to extend mathematical scholastic ability of the students as an extensional problem solving that is a basic element of mathema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investigation of level type learning, using the basic learning elements to extend thinking ability. From the constructed hypothesis as follows and then implement it. I selected basic learning elements from an analyzed textbook and then task learning material was created for each level type learning. The problem solving ability will be extended through the level type learning of the small group, using the level type learning task material. The conclusions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level type learning in small group learning, using and making level type learning material, having basic learning elements in analysed text are. Basic learning content is understood clearly and deeply, so, fundamentally, it is effective in achieving the problem solving in mathematics. It is an effective method to achieve the meta-cognitive faculty because achieved the expected method of solving problems and resulted in the true learning of content.

  • PDF

리빙랩 기반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The Meta-Analysis on Effects of Living Lab-Based Education)

  • 윤소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505-512
    • /
    • 2022
  • 이 연구는 리빙랩 기반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리빙랩 기반 교육의 효과를 보고한 선행연구 7편을 선정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빙랩 기반 교육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이 때 전체 효과크기는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에 대한 효과를 의미한다. 둘째, 범주형 변수에 따른 리빙랩 기반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이 연구에서 범주형 변수는 연구 결과 특성, 연구 특성, 연구 설계 특성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빙랩 기반 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0.347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 영역에 따른 효과크기는 지식정보처리 1.244, 의사소통능력 0.593, 문제해결능력 0.261, 창의성 0.26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 영역에 따른 효과크기는 전기전자 1.146, 기술가정 0.489, 인공지능 0.379, 실과 0.168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급에 따른 효과크기는 고등학교 1.058, 중학교 0.312, 초등학교 0.217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년에 따른 효과크기는 두 학년 이상을 통합하여 운영한 경우 0.295, 단일 학년 0.294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고등학생 대상 아두이노 활용 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The Meta-Analysis on Effects of Arduino-Based Education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 장봉석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61-65
    • /
    • 2021
  • 이 연구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대상 아두이노 활용 교육의 효과를 메타분석으로 정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분석을 위해 선행 학술지와 학위 논문 10편을 선정하였으며, 전체 효과크기와 범주형 변수에 대한 효과크기를 계산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생 대상 아두이노 활용 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0.537로 나타났다. 둘째, 종속변인 유형의 효과크기는 정의적 영역 0.849, 인지적 영역 0.479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급의 효과크기는 중학교 0.796, 고등학교 0.474로 나타났다. 넷째, 교과 유형의 효과크기는 음악 1.255, 과학 0.562, 기술 0.443, 정보 0.429로 나타났다. 다섯째, 프로그램 유형의 효과크기는 그래픽 기반 0.543, 텍스트 기반 0.376으로 나타났다.

동시적 텍스트 기반 매체를 이용한 집단의사결정에 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Study on Group Decision Making with Synchronous Text Communication Medium)

  • 박상혁;조남재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1권4호
    • /
    • pp.1-23
    • /
    • 2004
  • This study identifies communication patterns of groups using synchronous text communication medium for their group decision-making, and examines how these patterns are associated with creative solutions to problems. Our research suggests that certain communication behavior of groups, when appropriately organized, can be of help in enhancing creative production of outcomes.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on communication patterns based on an analysis of text-based electronic conversation protocols. Specifically this research tried to overcome existing studies on electronic groups by focusing on interactive process of communication among participants. The major study conclusion; are: (1) The production of creative outcome may depend on the process or sequence of discussion among group members with synchronous text communication medium. That is, proper interactive responses and appropriate control of the discussion process are essential to obtain a high level of performance. (2) It is importantto make discuss rules based on meta-cognitive and interactive protocols in the early stage. Explicit rules relating to internal group processes as well as communication medium use are even more important to groups with electronic communication medium than face-to-face groups.

  • PDF

인터넷 메신저를 이용한 의사결정 환경에서의 커뮤니케이션패턴에 관한 연구

  • 박상혁
    • 한국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99-513
    • /
    • 2004
  • This study identifies communication patterns of groups using Internet Messenger for their group decision-making, and examines how these patterns are associated with creative solutions to problems. Our research suggests that certain communication behavior of groups, when appropriately organized, can be of help in enhancing creative production of outcomes.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on communication patterns based on an analysis of text-based electronic conversation protocols. Specifically this research tried to overcome existing studies on electronic groups by focusing on interactive process of communication among participants. The major study conclusions are: (1) The production of creative outcome may depend on the process or sequence of discussion among group members with Internet Messenger. That is, proper interactive responses and appropriate control of the discussion process are essential to obtain a high level of performance. (2) It is important to make discuss rules based on meta-cognitive and interactive protocols in the early stage. Explicit rules relating to internal group processes as well as communication medium use are even more important to groups with Internet Messenger than face-to-face group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