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retrix lusoria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산 백합과(科) 5종의 아미노산 조성 및 유연관계 (Amino Acid Composition and Relationship of the Five Venerid Clams (Mollusca, Bivalvia) in Korea)

  • 윤호섭;안윤근;최상덕;김정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5-80
    • /
    • 2007
  • 백합과(科)에 속하는 유용패류인 살조개, 바지락, 백합, 개조개 및 가무락조개 등 5종간의 아미노산 조성과 그에 따른 유연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백합과(科) 5종의 주요아미노산 구성은 ureanine, taurine, proline, glycine, alanine, arginine 등으로 나타났다. 백합과(科) 5종간 아미노산 함량으로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살조개와 바지락간에는 0.89, 가무락조개와 백합간에는 0.94, 개조개는 살조개와 바지락간에 0.88을 보였으며, 가무락조개와 백합, 살조개, 바지락 및 개조개간에는 0.52의 유사도를 보였다.

어류의 심방에 미치는 5-Hydroxytryptamine, Epinephrine , Norepinephrine 및 Acetylcholine의 영향(제 1 보) (The Effects of Hydroxytryptamine, Epinephrine, Norepinephrine and Acetylcholine on the Isolated Atria from Fishes (I)-On the Several Species of Fresh Water Fishes)

  • 위인선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8-52
    • /
    • 1964
  • 1. The auther studie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ensibility of heart of fishes to neuro-hormones (epinephrine, norepinephrine and acetylcholinie) and 5-hydroxytryptamine and the differentiation of nervous system in the heart . Attempts were also made to develop the similarity and systematic relationship of inter-genus and inter-species. 2. Judging from the reactions to neurohormones, it is considered that inter-genus of locah (Misgurnus mizolepis GNTHER) and eel (Anguilla japonic TEMMINEK & SCHJEGEL) are more closely related than that of Crucian (Carassius carassius L. ). 3. As the sensibility of locach to 50 jhdroxytryptamine is more sensitive over 10, 000 times than that of a Mollusca, Meretrix lusoria RODING, it is very excellent material for the bioassay of 5-jydroxytryptamine.

  • PDF

조개류에 기생하는 흡충류에 관한 연구 IV. 백합(Meretrix lusoria)에서 검출되는 Himasthla kusasigi YAMAGUTI, 1939에 대하여 (Studios on a Trematode Parasitic in Bivalves IV. On the Metacercaria of Himasthla kusasigi YAMAGUTI, 1939(Trematoda) found in the clam, Meretrix lusoria Roding)

  • 김영길;전세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1-67
    • /
    • 1984
  • 서해안 내초도 및 부안돈지산 백합의 족부 근육내에서 Himasthla kusasigi의 피낭유충을 다량 검출하고, 충체의 형태와 기생률을 조사하였고, 검출된 피낭유충을 괭이갈매기에 먹여 10일, 25일후 충체를 분리함으로써 동흡충의 감염 경로를 규명하였다. 검출된 피낭유충의 크기는 $210{\sim}230{\times}220{\mu}m$, 탈낭된 유충은 $420{\times}160{\mu}m$이며, 두극은 좌우 우극을 포함하여 31본이다. 구흡반은 $52{\times}52{\mu}m$이고, 복흡반은 $112{\times}100{\mu}m$으로서 충체의 후방에 위치하며 식도는 가늘고 길며, 장은 복흡반 상단에서 좌우로 분지되어 중체 후단에 까지 달한다. 내초도산 백합 448개중 441개, 부안산 123개중 118개가 감염되어 각각 $98.43\%,\;95.93\%$의 감염률을 나타낸 반면에 서산산은 동흡충이 검출되지 않았다. 조개의 크기가 클수록 기생충수가 많았고, 최고 99개(각장 6.64cm), 최저 1개(각장 2.05cm)이었다. 조개에서 얻은 피낭유충 120개를 괭이갈매기에 먹여25일후 102개의 성충을 장에서 분리하였다. 이 성충은 크기가 $4.8{\sim}7.5{\times}0.22{\sim}0.24mm$이었고, 구흡반은 $68{\sim}120{\times}70{\sim}120{\mu}m$, 인두는 $80{\times}50{\mu}m$, 복흡반 $630{\sim}680{\times}610{\sim}680{\mu}m$, 두관부는 $48{\sim}75{\times}10{\mu}m$의 두극 31개가 배열되어 있다. 충난은 $92{\sim}95{\times}58{\sim}60{\mu}m$의 크기이다. H. kusasigi의 제이중간숙주는 백합이며 종숙주는 괭이갈매기 및 삑삑도요새이다.

  • PDF

말백합, Meretrix petechiails (Lamarck) 어미의 사육수온에 따른 성 성숙 유도 (Effect of Temperature on Induced Sexual Maturation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ils (Lamarck) Broodstock)

  • 김병학;문태석;박기열;진영국;신윤경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3-119
    • /
    • 2009
  • 본 연구는 2008년 3월 24일에 전남 영광군에서 채취한 말백합 어미 1,200 마리를 확보하여 수온조절 (20, 25, $30^{\circ}C$ 및 자연해수) 에 의한 인위적인 성 성숙을 유도하였으며, 성숙 유도된 어미로부터 생존율, 비만도, 생식소 및 성숙 소요일수를 조사하였다. 말백합 어미의 연체부지수는 사육초기에는 다소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5월 중순부터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시험 종료 시에는 연체부 지수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각부용적지수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말백합의 생식소 발달단계는 비활성기, 초기 활성기, 후기활성기, 완숙기, 방출 및 퇴화기의 5 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시험 개시일인 3월 25일경은 전기 활성기였으며, 시험 종료일인 6월 30일에는 수온별로 다양한 생식주기를 나타내었다. 시험 종료 시 성숙 유도율은 $30^{\circ}C$ 실험구에서 46.0%로 가장 높았고, $15^{\circ}C$ 실험구 35.0%, 자연수온 18.0% 및 $20^{\circ}C$ 실험구 12.0%로 순으로 나타났으며, 시험 기간 중 생존율은 전 구간이 90% 이상으로 나타났다. 사육수온을 20, 25, $30^{\circ}C$ 및 자연수온으로 성숙 시험한 결과, 암컷의 경우 $30^{\circ}C$ 실험구가 성숙이 가장 빨랐고, 수온이 낮을수록 늦은 경향이었으며, 수컷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말백합의 수온별 어미성숙은 $20^{\circ}C$ 보다는 수온이 높은 실험구인 25, $30^{\circ}C$에서 성숙 유도율이 높게 나타났다.

  • PDF

SDS Polyacrylamide Gel 電氣泳動에 依한 斧足綱數種의 蛋白質패턴의 比較 (The Comparison of Protein Patterns of Several Species in Bivalvia by SDS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 Park, Won-Chul;Ha, Man-Joon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61-70
    • /
    • 1985
  • 斧足綱 數種의 蛋白質을 電氣泳動한 結果, 새꼬막과 피조개의 血漿의 蛋白質 패턴은 低分子 蛋白質에서 染色되는 强度가 약간 差異가 있으나 거의 同一하였고, 全血球의 蛋白質 패턴의 差異는 17,800 dalton의 band에서 나타났다. 그렇지만 위의 두 種의 筋內의 단백질 패턴은 거의 비슷해서 10,000$\\sim$100,000 dalton의 分子量 範圍內에서는 差異를 알아 내기가 매우 어려웠다. 그런데 대합과 비늘백합은 類緣關係가 있는 蛋白質 패턴이 많이 나타났으며 재첩은 대합이나 비늘백합과 같은 이들 두 種과 대칭이의 中間 程度에 位置하는 蛋白質 패턴을 나타내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Bivalvia가 함께 다 갖는 6개의 蛋白質 band들과, 꼬막과 새꼬막에서만 나타나는 4개의 特有한 蛋白質 band가 存在함이 發見되었으며 Eulamellibranchia目의 4종에 있어서 다 나타나는 2개의 protein band들 과, 대합과 비늘백합에서만 나타나는 23,000 dalton의 特有한 band도 發見되었다. 그리고 各 種마다 가지는 特有한 蛋白質 패턴의 分子量을 測定하여 比較하였다.

  • PDF

이매패류의 폐사에 미치는 현탁부이의 영향 (EFFECTS OF SUSPENDED SILT AND CLAY ON THE MORTALITY OF SOME SPECIES OF BIVALVES)

  • 장선덕;진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27-231
    • /
    • 1978
  • 현탁부이가 백합, 가무락 및 동죽의 폐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종별로 현탁부이의 농도(100, 500 및 1,000 ppm)와 침지시간(12, 18 및 24 시간)에 따른 일별 생존율을 조사하고, 또 그들의 패각개폐운동과 총대사능을 측정비교하였다. 1. 일반적으로, 현탁부이의 농도가 높고 침지시간이 길수록 폐사가 빨리 시작되고 폐사율도 높았다. 2. 동죽이 가장 먼저 폐사하기 시작하였고 $50\%$ 폐사기간이 가장 짧았으며 (1,000 ppm에서 37일) 다음은 가무락(42일), 그리고 백합이 가장 늦고 길었다(50-51일). 3. 특히 백합은 부이농도 100 ppm에서는 폐사가 일어나지 않았고 또 500 및 1,000 ppm 부이현탁해수에서도 침지시간이 짧고 (1일 $12\~18$시간) 맑은 물을 갈아주면 폐사없이 생존할 수 있었다. 4. 패각개폐운동은, 동죽의 경우, 어떤 실험농도의 부이해수에서나 개폐상태를 특속하였고, 가무락은 다소 개폐하는 반면에 백합은 거의 개폐상태를 유특하였다. 5. 총대사활성은 동죽이 가장 높고 다음은 가무락이며 백합이 가장 낮았다. 그러나 각농도의 부이처리군과 대조군간에서 아가미조직의 산소소비능은 큰 차이가 없었다. 6. 결론적으로, 백합, 가무락 및 동죽이 부이현탁시에 받는 영향은 패각개폐운동, 총대사활성 등과 같은 종별 생리적 차이 및 현탁부이농도와 침지시간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높은 농도에서 계속하여 상당한 시간이 경과하면 폐사현상이 초래되는 점은 분명하다.

  • PDF

연체동물 유전체 연구현황 (Current Status of Genome Research in Phylum Mollusks)

  • 방인석;한연수;이준상;이용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17-326
    • /
    • 2010
  • The availability of fast and inexpensive sequencing technology has enabled researchers around the world to conduct many genome sequencing and expressed sequence tag (EST) projects of diverse organisms. In recent years, whole genome projects have been undertaken to sequence ten species from the phylum Mollusca. These include Aplysia californica, Lottia gigantea, Crassostrea virginica, Spisula solidissima, Mytilus californianus, Biomphalaria glabrata, Crepidula fornicata, Elysia chlorotica, Lottia scutum and Radix balthica. Additionally,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s of 91 mollusk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EST projects have been conducted in nine mollusk species that include Nesiohelix samarangae, Pisidium (Neopisidium) coreanum, Physa acuta, Incilaria fruhstorferi, Meretrix lusoria, Ruditapes philippinarum, Nordotis gigantea, Crassostrea gigas and Laternula elliptica. Finally, the mitochondrial genome projects from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and the rock shell (Thais clavigera) have been conducted and reported. However, no systemic mollusk genome project has so far been conducted in Korea. In this report, the current status and research trends in mollusk genome study in Korea will be discussed.

해양생물 체내 잔류 미세플라스틱 조사 (Investigation of Microplastics from Three Marine Organisms)

  • ;;김영일;김돈;심현관;김학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244-250
    • /
    • 2020
  • Microplastic pollution in the marine ecosystem has been emerged as a global issu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bundance of microplastics from clam Meretrix lusoria, blood arkshell Scapharca broughtonii, and warty sea squirt Styela clava obtained from a local market in Busan, Korea. The marine organisms were digested in 10% KOH, and were incubated at 40℃ and 150 rpm, for 7 days. The digest was filtered through standard sieve (5 mm, 1 mm, 300 ㎛, and 100 ㎛), and mciroplastics were identified using a light microscope and microFT-IR. The abundance of microplastics of clam, blood arkshell, warty sea squirt was 0.08 items/g, 0.05 items/g, and 0.12 items/g, respectively. The predominant microplastic size was in the range of 100-300 ㎛, occupying 48%, and the predominant type was fiber. The composition of microplastics was mostly rayon, semi-synthetic cellulosic material and polyester, which are main component of fabric and textile. We strongly believe that this preliminary work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ized analysis method of microplastics ingested by marine organisms.

새만금 간척사업에 따른 갯벌 패류의 군집구조 변화 (Change in Community Structure of Shellfish in the Reclaimed Saemangeum Area)

  • 황선도;김종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708-715
    • /
    • 2003
  •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shellfish were investigated in Eoeun and Geojeon tidal flat located in the Saemangeum area on the west coast of Korea from May to October 2000. Nineteen species of shellfish were collected in Geojeon tidal flat. The samples in number of individuals included Umbonium thomasi $(90.0\%)$ and Mactra veneriformis $(5.0\%).$ In Eoeun tidal flat, ten species of shellfish were collected and the dominant species in number of individuals were Potamocorbula amurensis $(55.0\%)$ and U. thomasi $(18.6\%).$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conducted before the beginning of reclamation in Saemangeum. Compared with the results from 1988, a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was observed. Laternula flexuosa and Nuttallia olivacea appeared, while Mactra chinensis and Coelomactra antiquata disappeared in the deposition area in Geojeon tidal flat. In the erosion area of Eoeun tidal flat, M. veneriformis and Meretrix lusoria appeared, while Cyclina sinensis disappeared. Based on a cluster analysis, the shellfish community in Eoeun tidal flat was classified into three station groups based on sediment types. Geojeon tidal flat was also classified into three station groups. The distribution of shellfish in the Saemangeum area was closely related to the sediment types.

우리나라 백부자의 적출 조개 심장운동에 대한 작용 (The Action of Extract of Aconitum koreanum R. Raymond on Isolated Clam Heart)

  • 하병국;김유성;김원자;박철훈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5-25
    • /
    • 1972
  • Korean aconitum (Aconitum koreanum R. Raymond) as one of the botanical crude drugs which pertain to helleboraceae has been extensively applied in Chinese medicine during the past decades. It has been particularly used in immortal tonic among the folk remedies in China, however, its general uses comprehend diuresis, cardiotonic, analgesia, neuralgia, gout and, furthermore, even neoplastic effect. The components of aconitum have been acknowledged as aconitine, mesaconitine, hypaconitine, aconine and so on. The main ingredient, aconitine has the advantage of causing the atrial fibrillation, but, its pharmacological research has not been fully elucidated. Although there are many reports with regard to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n the motility of several animal hearts, their conclusions have not been regretfully coincided yet. The authors hereby paid attention to this point of view and made experimen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lcohol extract of Korean aconitum and the motility of the isolated clam heart, making the use of several drugs related to the heart such as serotonin, acetylcholine, pilocarpine, physostigmine, barium chloride, procaine and quinidine. The cardiac movement of the isolated clam (Meretrix lusoria) heart in the standard sea water solution was recorded with the electric kymograph according to the Magnus metho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1. The motility of the isolated clam heart represents the tendency of gradual inhibition in proportion to the concentration of AK-A $10^{-4}$, $5{\times}10^{-4}$, and $10^{-3}$. 2. The cardiac inhibitory effect of AK-A $10^{-3}$ antagonizes the motility of the isolated clam heart pretreated with serotonin $10^{-6}$. 3. The cardiac inhibitory effect of AK-A $10^{-3}$ antagonizes the systolic state appealed by barium chloride $10^{-3}$. 4. The systolic state caused by quinidine $10^{-4}$ is not inhibited by AK-A $10^{-3}$.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