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rcaptan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3초

酸性溶煤 속에서의 $\beta$-Mercaptan에 대한 親核性 添加反應에 관한 硏究 (III) n-Propylmercaptan 및 tert-Butylmercaptan 과의 반응 (The Kinetics and Mechanism of Nucleophilic Addition of Mercaptan to a ${\beta}$-Nitrostyrene in Acidic Media(III) n-Propylmercaptan and tert-Butylmercaptan)

  • 박옥현;김태린
    • 대한화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77-183
    • /
    • 1968
  • 親核性 添加反應性에 있어서의 mucleophile의 反應性을 정량적으로 연구하고자 前報에 이어 여러 pH에서 3,4-methylenedioxy-$\beta$-nitrostyrene에 n-propyl- 과 tert-butylmercaptan을 첨가시켜 그의 添加反應速度常數를 측정한 결과 n-propylmercaptide ion과 tert-butylmercaptide ion에 대해 각각 $1.26{\times}10^8$$3.98{\times}10^6\;M^{-2},\;sec^{-1}$를 얻었으며, 또 n-propyl 및 tert-butylmercaptan 분자의 添加反應速度常數로서 $7.07{\times}10^{-3}$$1.5{\times}10^3\;M^{-1},\;sec^{-1}$을 각각 얻었다. 한편 염기성 뿐만 아니라 산성용매 속에서도 그의 應速 메카니즘을 잘 설명할 수 있는 全體應速度式을 구하였다.

  • PDF

머캅탄류 검출을 위한 Thiobacillus thiooxidans가 생산하는 메칠머캅탄 산화효소의 분리 및 정제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Methyl Mercaptan Oxidase from Thiobacillus thiooxidans for Detection of Mercaptasn)

  • 김상준;신현재;이대실;양지원
    • KSBB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145-149
    • /
    • 2000
  • Thiobacillus thiooxidans KCTC2505에서 메칠머캅탄(MM) 가스를 기질로 메칠머캅탄 산화효소(MMO)를 유도할 수 있었으며 DEAE-Sephacel과 Superose 1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이때 얻어진 각 효소의 비활성은 각각 19.7과 80.1 units/mg-protein이었으며 효소의 최적 온도는 $43^{\circ}C$였다. 상기 정제된 효소액은 SDS-PAGE상에서 68.1 kDa의 분자량을 가진다. 이 효소는 암모늄염의 존재하에서는 활성이 증가하였으나 KCl 존재하에서는 감소하였으며 NaCl에 대해서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에탄올, 메탄올, 글리세린의 첨가에 대해 효소활성은 부분적으로 불활성화되었으며 아세톤의 경우에는 완전히 저해되었다. Purpald 발색법을 이용한 흡광도의 변화는 구강내 존재하는 MM 가스로부터 생성될 수 있는 수 십 nmol의 범위의 포름알데하이드에 대해 눈으로 인지가능한 발색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酸性溶媒 속에서의 ${\beta}$-Nitrostyrene에 대한 Mercaptan의 親核性 添加反應에 관한 연구 [IV] n-Amyl-, n-Hexyl-, n-Octyl-, n-Decyl-Mercaptan과의 반응 (The Kinetics and Mechanism of Nucleophilic Addition of Mercaptan to ${\beta}$-Nitrostyrene in Acid Media Part IV. The Reactions of n-Amyl, n-Hexyl, n-Octyl, and n-Decyl Mercaptan with ${\beta}$-Nitrostyrene)

  • 김태린;최영상
    • 대한화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21-228
    • /
    • 1969
  • Nucleophile의 親核性 添加反應性을 정량적으로 연구하고자 전보에 이어 3,4-methylenedioxy-${\beta}$-nitrostyrene에 대한 n-amyl, n-hexyl, n-Octyl, n-decylamercaptanㅓ의 添加反應速度常數를 측정한 결과 n-amylmercaptide, n-hexylmercaptide, n-octylmercaptide, n-decylmercaptide ino에 대해 각각 2.82${\times}10^8$, 100${\times}10^8$, 2.23${\times}10^8$과 1.77${\times}10^8$ $M^{-2} .sec^{-1}$를 얻었고, n-amyl, n-hexyl, n-Octyl, n-decylmercaptan분자에 대해서는 각각 2.82${\times}10^{-2}$, 1.95${\times}10^{-2}$, 7.08${\times}10^{-2}$과 5.63${\times}10^{-2}$$M^{-1} . sec^{-1}$를 얻었으며, 염기성뿐만 아니라 산성용매 속에서도 그의 반응메카니즘을 잘 설명할 수 있는 반응속도 식도 구하였다.

  • PDF

화학공장에서 배출되는 악취규제물질의 분석 및 평가 (Analysis of Offensive Odorous Compounds Emitted From the Chemical Plants)

  • 최재성;김재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3-38
    • /
    • 2007
  • The concentrations of offensive odorous compounds emitted from the two chemical plants in Chongju and Yeosu industrial complex in Korea were determined by uv/vis spectroscopy, gas chromatography,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odorous compounds examined in this study are ammonia, trimethyl amine, formaldehyde, acetaldehyde, propion aldehyde, butyl aldehyde, n-valeric aldehyde, iso-valeric aldehyde, hydrogen sulfide, methyl mercaptan, dimethyl sulfide and dimethyl disulfide. The concentrations of those were determined from the 10 sampling points of the two plants, respectively. The emission concentrations of all odorous com-pounds examined in the two plant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regulation standard levels of industrial complex in Korea, respectively. The propion aldehyde, n-valeric aldehyde, methyl mercaptan and dimethyl disulfide in Chongju and Yeosu plants, and butyl aldehyde and iso-valeric aldehyde in Yeosu plant were not detected at any sampling points examined.

Effect of Surface Morphology on Dimerization of tert-Butyl Mercaptan on the Surface of Amorphous Aluminosilicate Impregnated with Mn and Cu

  • Kweon, Jeong-Eun;Joo, Hyun-ha;Park, Dong-G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7권1호
    • /
    • pp.53-58
    • /
    • 2006
  • A powder of destructive adsorbent was prepared by impregnating Mn and Cu on the surface of amorphous aluminosilicate. It catalytically dimerized tert-butyl mercaptan into di-tert-butyl disulfide on its surface. Turnover of the dimerization was strongly dependent on the surface morphology of the adsorbent, which could be altered by modification of aluminosilicate support. During the process of impregnation, which involved heat treatment at 500 ${^{\circ}C}$, the shape of the pore was preserved, though large fraction of micropores were eliminated. The reactive sites on the surface were poisoned as dimerization products strongly adhered on them. Therefore, high surface area was not always desirable. When the surface was heavily populated with “inkbottled” pores with a narrow entrance in uniform size, heavy poisoning of the reactive sites turned the destructive adsorbents almost useless.

트리글리콜용액에서 싸이오우레아 용해 반응속도론 (Dissolution Kinetics of Thiourea in Triglycol Solution)

  • Li, Hua;Guo, Feng;Hu, Guoqin;Zhao, Lei;Zhang, Yadong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88-92
    • /
    • 2010
  • 이소프로필 멀케푸탄은 중요한 약품 중간체이며 싸이오우레아와 트리글리콜은 이소프로필 멀케푸탄을 합성을 하는데 중요한 화합물이다. 그러므로 트리글리콜 용액에서의 싸이오우레아의 용해는 이소프로필 멀케푸탄의 생산에 중요하다. 트리글리콜용액에서 싸이오우레아의 용해 반응속도론을 조사하고 이소프로필 멀케푸탄을 생산하는 대체 공정을 제시하는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트리글리콜용액에서 싸이오우레아의 용해 반응속도론을 조사하기 위하여 용액 농도와 반응 온도를 중점적으로 관찰하였다. 싸이오우레아의 용해속도는 용액농도와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구취 유발요인과 성분 간의 관계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Halitosis Causing Factors and Components)

  • 지민경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971-1978
    • /
    • 2013
  • 구취에 대한 성인들의 대상자별 구취를 측정하고 성분을 분석하여 각 요인별로 구취성분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함으로써 효율적인 구취제거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2011년 2월 1일부터 2012년 1월 30일까지 12개월간 대전과 충남에 소재한 각 1개의 치과병원 외래환자 80명씩 총 1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Oral chroma 구취측정치에서 hydrogen sulfide의 측정치가 112ppb 이상인 경우는 9.4%이었고, methyl mercaptan의 측정치가 26ppb 이상인 경우는 20.6%, dimethyl sulfide의 측정치가 8ppb이상인 경우는 44.0%로 세 가지 성분 중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oral chroma로 측정한 methyl mercaptan성분과 dimethyl sulfide성분만 0.578로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구취를 유발하는 다양한 성분들에 대하여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