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tal illness

검색결과 426건 처리시간 0.036초

이완음악감상이 입원한 정신질환자의 기분상태 및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Relaxing Music Appreciation on Mood State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in Hospitalized Mental Illnesses)

  • 김선식;최경윤;최미숙
    • 산업과 과학
    • /
    • 제1권2호
    • /
    • pp.9-16
    • /
    • 2022
  • 본 연구는 이완음악감상이 입원한 정신질환자의 기분상태 및 자율신경계 즉 심박동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험군 17명, 대조군 17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무작위 대조군 전후설계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15.0으로 분석하였다. 기분상태와 자율신경계 즉 심박동수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이완음악감상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하였다(<.05). 기분상태의 하위 영역 중 분노(>.39)와 혼돈(>.33)을 제외한 긴장(<.00), 우울(<.00), 활력(<.03), 피로(<.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입원한 정신질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방법임을 입증하였다. 향후 장기적인 중재 연구개발 및 적용과 개인의 선호음악을 이용하여 기분변화와 자율신경계에 효과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앙토냉 아르토 혹은 언어의 수형자 (A. Artaud or the Prisoner of Language)

  • 박형섭
    • 비교문화연구
    • /
    • 제45권
    • /
    • pp.219-243
    • /
    • 2016
  • 앙토냉 아르토의 삶은 잔혹한 실존의 드라마이다. 그는 고통이 투사된 정신적 삶을 살았다. 이 논문은 언어의 수형자로서 아르토의 글쓰기에 나타난 사유의 궤적을 살펴본 것이다. 아르토는 평생 말과 사물, 존재와 사유의 관계 사이에서 번민한 시인이다. 그는 존재의 신비를 일상의 언어로 옮길 때마다 정신적 고뇌에 사로잡혔다. 그의 시적 사유는 주체성의 상실에 따른 해체의 여정으로 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세상을 언어로 포착할 수밖에 없는 운명을 타고났다. 아르토는 젊은 시절 정신병을 앓았다. 우리는 그 병을 시적 창작의 어려움과 결부시켜 살폈다. 여기서는 아르토와 리비에르가 주고받은 편지 내용들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시인은 "영혼의 중심의 붕괴, 일종의 근본적이고 달아나는 사유의 침식"을 언급하며 언어적 표현의 무능력을 토로한다. 그 이후 아르토의 불안한 정신적 징후는 지속된다. 그는 정신착란이 최악의 상태에 이르러도 의식만큼은 잃지 않았다. 그것은 아르토의 글쓰기에 그대로 나타난다. 또 그의 종교적 성향은 불안정한 정신을 반영한다. 멕시코 타라후마라 지방 여행 중엔 원시신앙인 페요틀의 의식(儀式)에 집착하고 주술에 경도되기도 했다. 그의 비기독교적 신관은 신비주의적 성향에서 비롯한 것이다. 아르토는 마지막 순간까지 글쓰기를 포기하지 않았다. 아르토의 정신착란은 엄밀한 의미에서 광기가 아니다. 비록 광기라고 해도 그것은 은유적이다. 그것은 아르토가 자신의 한계를 거부하는 데서 나오며, 육체가 절대적 감각과의 동일시 속에서 자신을 한데 모으려는 열망에서 비롯한다. 그의 지적 능력은 오히려 극도로 고양된 상태에서 더욱 잘 드러났다. 아르토의 광기는 심오한 사색가의 그것과 다를 바 없다. 정신착란을 겪은 시인들의 삶은 그렇지 않은 시인들보다 더욱 시적이다. 아르토의 정상을 벗어난 감정은 우리 자신의 한계, 무력함, 체념 등을 측정할 수 있게 한다. 그래서 그의 절규는 비분절의 고함이지만, 다른 병자의 그것과 성격이 다르다. 왜 우리가 아르토의 작품에 관심을 갖고 천착하는가의 이유가 거기에 있다.

정신질환자의 사회관계망 특성, 사회적 지지 그리고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Functional Recovery, and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 김진미;신효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85-96
    • /
    • 2023
  • 정신질환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사회적 편견이 여전한 현실에서, 개인의 친밀한 사회적 관계망에서 획득되는 사회적 지지체계의 상실과 결여는 정신질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하는 심각한 장애요인의 하나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 사회관계망의 특성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대구지역의 7개 정신질환 치료기관의 1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2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변량 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그리고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 사회관계망의 특성 중 친밀도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관계망 크기는 사회적 지지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회적 지지는 사회관계망 친밀도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 정적으로(+) 부분매개효과를, 사회관계망 크기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적(-)으로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에 따라 사회관계망 구축과 사회적 지지 증가를 통한 정신질환자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실천적·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회복지향실천이 정신장애인의 정신과적 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covery Oriented Practices on Psychiatric Symptoms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

  • 이인정;김미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605-611
    • /
    • 2018
  • 본 연구는 회복지향실천이 정신장애인의 정신과적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나아가 회복지향실천의 각 하위영역 중 어떠한 요인이 정신과적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함으로써 지역사회 정신보건기관의 회복지향실천 적용을 위한 실천적 의의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 3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상관관계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령과 유병기간을 포함한 회복지향실천의 5개 하위요인 중 '삶의 목표', '관여', '치료대안의 다양성'이 정신장애인들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정신보건기관이 회복지향실천의 가치와 요소를 반영하여 정신장애인의 회복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정신의학 및 사회복지학의 융복합적 의의를 제시하였다.

정신요양시설 거주인의 건강 실태 및 정책 대안 (Health Condition of Residents of Mental Health Sanatoriums and Policy Options)

  • 조한진;이승홍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9-59
    • /
    • 202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rectly understand the health condition of residents of mental health sanatoriums nationwide, which has been difficult to ascertain in surveys conducted to date. The study presents specific measures for improving the health of these residents. Methods : A "physical examination questionnaire for residents of mental health sanatoriums" was developed to check the basic physical condition of residents, and 20 out of 59 mental health sanatoriums nationwide were randomly selected. Medical personnel visited the sanatoriums, interviewing and examining the residents in person. A total of 396 health surveys were completed. Results : Many of the residents were underweight but had abdominal obesity. It was confirmed that chronic diseases among the residents were not diagnosed early or were not properly managed. Among the subjective symptoms complained of by the residents,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the most common. Oral examinations revealed a serious level of oral health problems among the residents, including dental caries and missing teeth. Basic physical examinations found health problems that required additional examination or medical treatment. Blood pressure abnormalities made up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health problems. Conclusion : Regular health survey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health condition of residents of mental health sanatoriums. Access to and quality of primary medical services within the sanatoriums need to be dramatically improved. A delivery system for severe diseases and emergency medical care in the sanatoriums should also be specifically presented. The residents should be notified upon admission and during their stay that they have the right to the enjoyment of the highest attainable standard of mental and physical health. The issue of health rights should be addressed within a larger framework of reorganizing management plans for people in the community - not only residents - with chronic mental illness.

Physiological Data Monitoring of Physical Exertion of Construction Workers Using Exoskeleton in Varied Temperatures

  • Ibrahim, Abdullahi;Okpala, Ifeanyi;Nnaji, Chukwuma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242-1242
    • /
    • 2022
  • Annually, several construction workers fall ill, are injured, or die due to heat-related exposure. The prevalence of work-related heat illness may rise and become an issue for workers operating in temperate climates, given the increase in frequency and intensity of heatwaves in the US. An increase in temperature negatively impacts physical exertion levels and mental state, thereby increasing the potential of accidents on the job site. To reduce the impact of heat stress on workers, it is critical to develop and implement measures for monitoring physical exertion levels and mental state in hot conditions. For this, limited studies have evaluated the utility of wearable biosensors in measuring physical exertion and mental workload in hot conditions. In addition, most studies focus solely on male participants, with little to no reference to female workers who may be exposed to greater heat stress risk.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rocess for objective and continuous assessment of worker physical exertion and mental workload using wearable biosensors. Physiological data were collected from eight (four male and four female) participants performing a simulated drilling task at 92oF and about 50% humidity level. After removing signal artifacts from the data using multiple filtering processes, the data was compared to a perceived muscle exertion scale and mental workload scale. Results indicate that biosensors' features can effectively detect the change in worker physical and mental state in hot conditions. Therefore, wearable biosensors provide a feasible and effective opportunity to continuously assess worker physical exertion and mental workload.

  • PDF

국립법무병원에 입원 중인 정신장애 범죄자의 정신 건강 회복에 대한 인식: 내용 분석 (Perception of Mental Health Recovery of Mentally Disordered Offenders Hospitalized at the National Forensic Psychiatric Hospital : Contents Analysis)

  • 강문희;곽동현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3호
    • /
    • pp.83-97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법무병원에 입원 중인 정신장애 범죄자의 정신 건강 회복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C 지역에 있는 국립법무병원에 입원 중인 정신장애 범죄자 91명이다. 자료수집은 정신 건강 회복에 대한 서면 질문지를 제공하여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자 2인이 Krippendorff의 내용 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정신 건강 회복에 대한 의미는 4개의 범주, 17개의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4개의 범주는 '정신과적 증상으로부터 해방', '안정적으로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이 이루어짐', '희망적이고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감' 그리고 '퇴원 후 범죄 없이 살아가는 상태'이었다. 정신 건강 회복에 대한 촉진 요인 및 장애요인은 각각 4개의 범주, 1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치료적 요인', '개인적 요인', '대인관계 요인' 그리고 '환경요인'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국립법무병원에 입원 중인 정신장애 범죄자의 정신 건강 회복을 위한 교육 및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동네무질서와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과의 관계 - 지역사회응집력의 조절효과 분석 -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ty Cohe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 Disorder and Community Integration among Persons with Mental Illnesses)

  • 민소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3호
    • /
    • pp.57-8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동네환경과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과의 관계에서 지역사회응집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스트레스과정 모델, 사회해체이론, 그리고 동네무질서모델을 이론적 근거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 총 692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뒤, 조절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첫째, 동네무질서가 사회적 통합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응집력의 조절 효과는 물리적, 사회적, 심리적 통합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개인차원이나 서비스 차원의 개입전략에서 더 나아가 지역사회차원의 개입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PDF

퇴원한 만성 정신 질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와 사회적 적응과의 관계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Social Adjustment of Discharged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 현명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52-361
    • /
    • 199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social adjustment of discharged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e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50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es receiving out-patient treatment at one general hospital and one private hospital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25, 1991 to May 27, 1991.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was measured by the Family Support Scale developed by Hyun Sook Kang. A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by Weissman was modified by the author of this study to measure the Social Adjustment.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 1) For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the mean was 2.63 points and the source of family support was almost always the mother. 2) For the social adjustment level, the mean was 2.62 points, and the results showed the best social adjustment was in the area of parental role and family adjustment, and the poorer adjustment was in the area of work and leisure. 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social adjustment revealed a significant correlation.(r=.38, p<.05) Therefore the hypothesis “the higher the level of perceived family support, the higher the social adjustment level” was accepted. In conclusion, the study revealed that family support is an important factor related to the social adjustment level in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es.

  • PDF

일제치하(日帝治下)의 행려사망인(行旅死亡人)에 관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A study about Vagrants' death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 최규진;류영수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37-153
    • /
    • 1996
  •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region and kinds of illness about the death of vagrants from 1906 to 1942, the results on the study of vagrants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re followings.1. The statistics about the death of vagrants from 1906 to 1912 have no coherence. So this study excludes that time.2. A mental disease as a cause of death of vagrants is 25.4%. It shows the highest ratio of all the other diseases.3. A mental, nervous disease among the cause of vagrants' death is 15%.4. On outbreak ration of mental disease is 26.7 times in men, 24.6 times in women higher, and on nervous disease 48.1 times in man, 48.9 times in woman higher than Japanese.5. Regional outbreak ratio is higher than Japan. The orders are Chonlabukdo, Chungcheongbukdo, Hwanghaedo, Kangwondo. The above results show that vagrants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m is produced by cause of disease. The cause of vagrants' death is also related to social situation at that times. And it accord with the basis of documents. The relation between the death of vagrants and mental, nervous disease are considered to be studied in detailI.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