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tal illness

검색결과 423건 처리시간 0.026초

정신위생 교육 전·후 대학생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인식과 태도 비교 (Comparative Study on the Cognition and Attitudes toward the Mentally III Person Among EMT College Student Before and After Psychiatric Nursing Course Work)

  • 김미희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14
    • /
    • 2002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on the cognition and attitudes toward the mentally ill person among EMT College Student before and after Psychiatric Nursing Course Work. The data was collected twice before and after Psychiatric Nursing course work during one semester 16-weeks from 71 EMT department Students. Used measurements wer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bout cognition and CAMI questionnaires about attitudes. Analysis of data was done by frequence, percentage and t-test with SAS program. The cognition was changed over positively after then before Psychiatric Nursing Course. Especially, It was answered that needed to learning, caring and curing for mental illness. The study of attitudes for mentally ill person was that authoritarianism, benevolence and social restrictiveness were changed over positively but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was not changed. In conclusion, follw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sychiatric nursing course work was influenced very much to changing of attitudes and cognition toward mentally ill person. Accordingly, psychiatric nursing curriculum will be offered and psychiatric educators have to emphasize the understanding of attitudes and cognition toward mentally ill person.

  • PDF

정신질환자와 가족을 위한 회복적 가족서클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Restorative Family Circles on People with Mental Illness and Their Families)

  • 김효경;김현정;남경아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1-124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storative family circles (RFCs) on empowerment and family support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and the belief system and caring experience of their families. Methods: This study used a quasi-experiment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non-synchronized design. Ninety-two dyads of patient-family caregivers were recruit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and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RFCs consisting of eight 90-minute sessions. Data were collected at three different times (pretest, posttest, follow-up test) and analyzed for the effects of RFC using the 𝑥2 test,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U test for homogeneity between groups, and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models.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mily support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between the pretest and follow-up test, and also in the belief system and caring experience of the family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family interventions based on restorative justice emphasizing community-driven conflict management could be used in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care for fostering a cohesive family relationship.

Mediating Role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Illness Intrusiveness

  • Kim, Nam Hee;Kim, Seok Hyeon;Hyun, So Yeon;Kang, Dae Ryong;Oh, Min Jung;Kim, Daeho
    •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 /
    • 제33권45호
    • /
    • pp.284.1-284.12
    • /
    • 2018
  • Backgrou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PTSS) in patients with psychological trauma lead to poo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s among PTSS, anxiety, depression, and illness intrusiveness will guide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approaches to enhance subjective well-being in patients with psychological trauma.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anxiety and depress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TSS and illness intrusiveness in the hope of providing more comprehensive and effective trauma treatment. Methods: Psychiatric outpatients who visited the trauma clinic of a university hospital (n = 260)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sessments were conducted for PTSS, anxiety, depression, and illness intrusivenes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path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and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TSS and illness intrusiveness. Results: PTSS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exacerbating effects on illness intrusiveness. Anxiety exhibited the largest direct exacerbating effect on illness intrusiveness. The indirect effects of PTSS on illness intrusiveness through anxiety alone and through a depression-to-anxiety pathway were significant, but the indirect effect through depression alone was not. Conclusion: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anxiety, both independently and as part of an interrelated pathway with depression,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TSS and illness intrusiveness. Appropriate interventions and a comprehensive approach to alleviate anxiety and depression could mitigate the negative effects of PTSS on illness intrusiveness in patients with psychological trauma.

농촌과 도시 주민의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도와 태도 및 정신간호 요구 조사(하) (A Study on Knowledge and A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and Psychiatric Nursing Needs of Korean People)

  • 김소야자;박예숙
    • 대한간호
    • /
    • 제17권5호통권97호
    • /
    • pp.41-54
    • /
    • 1978
  • This study is designed to meet the following objectives. 1) To study attitude toward and knowledge of mental illness in a community, 2) To study psychiatric nursing needs from infancy to old age. 3) To obtain basic data which can be used for future planni

  • PDF

학령후기 아동의 건강개념 및 건강행위에 관한 서술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Late Schooler′s Health Concept and Health Behavior)

  • 이지원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5권1호
    • /
    • pp.18-2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ate schooler's health concept and health behavior. The research was a descriptive method using a self-report questionaire which include semi open-ended questions. the subjects were 458 late schooler's from 4 to 6 grad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Perceived health concepts were ‘having no illness’ ‘having normal physical feature and strength’ ‘eating food well’ ‘take exercise’ ‘having a bright mind’ ‘having good interpersonal relationships’‘having strong will’ ‘recovering well’. 2. Perceived health behaviors to maintain health were ‘taking proper exercise’ ‘eating proper food’ ‘maintaining cleanliness’ ‘taking sufficient rest and sleep’ ‘having a vigor life and positive thought’ ‘having good interterpersonal relationships’ ‘receiving health check and immunization’. 3. Health behaviors carried out at present were ‘taking proper exercise’ ‘eating proper food’ ‘having a vigor life and positive thought’ ‘receiving health check an immunization’ ‘taking supplementary drugs’ ‘having a regular life’ ‘maintaining cleanliness’ ‘maintaining warmth’. 4. Perceived causes of illness were ‘taking inproper food’ ‘uncleanliness’ ‘insufficient warmth or environment’ ‘lack of exercise or overexertion’ ‘irregular life habits’ ‘contact with germs’ ‘mental stress’. 5. Perceived treatments of illness were ‘having sufficient rest and sleep’ ‘mental relaxation’ ‘eating food’ ‘ maintinging cleanliness’ ‘ maintaining warmth’ ‘taking supplementary drug’ ‘receiving medical treatment’.

  • PDF

미국의 외래치료명령제도 및 위기대응과 국내적 시사점 (Assisted Outpatient Treatment and Crisis Intervention in USA and their Implications for Korea)

  • 박인환;한미경
    • 의료법학
    • /
    • 제19권1호
    • /
    • pp.23-80
    • /
    • 2018
  • 정신질환자의 인권이라는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정신질환자에 관한 법과 정책도 강제입원과 치료가 중심이 아니라, 정신질환자의 삶에 주목하여 그들의 회복(Recovery)과 사회통합(Inclusion)을 목표로 지역사회에서의 복지와 지원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정신건강복지법으로의 개정으로 강제입원의 요건과 절차를 엄격하게 강화하였지만, 지역사회에서 정신질환자의 안정적 치료와 사회복귀를 지원할 서비스가 충분히 확보되어 있지 않다. 그 중에서도 지역사회에 복귀한 정신질환자들의 안정적인 치료의 유지와 위기상황에 빠졌을 때에 지원받을 수 있는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정신질환자의 회복과 지역사회에서 살아갈 권리를 실현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이 점에 있어서 미국의 외래치료명령제도와 위기대응프로그램이 많은 시사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먼저 미국에서의 외래치료명령제도의 발생과 최신 동향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시사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미국의 AOT와 같이 외래치료명령 신청 주체를 넓게 확대하는 것, 둘째, 사법기관에 준하는 독립성을 갖춘 기관의 심의와 절차적 권리를 보장하는 것, 셋째, 실효성 확보를 위해 정신보건전달체계에도 동일한 내용의 명령을 하는 것, 넷째, 외래치료명령에서 반드시 사례관리를 포함하는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것, 다섯째, 외래치료명령과 병행하여 동의에 기반한 외래치료지원제도를 시행하는 것, 여섯째, 대상을 자 타해행위의 이력이 있는 입원환자로 제한하지 않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지역사회에 복귀한 정신질환자가 병상(病狀)의 변화에 따라 겪게 되는 정신과적 위기상황을 안전하게 극복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위기대응 프로그램과 같은 사회서비스의 제공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정신과적 위기상황에서 강제입원이나 자살, 중대범죄의 위험으로부터 본인과 타인을 보호하기 위해서 위기대응 프로그램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미국이 경험한 위기대응서비스 제공의 기본원칙과 다양한 형태의 위기대응 서비스가 우리나라의 제도 설계와 운영에 많은 참고가 될 것이다.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거리감에 대한 수정된 귀인정서모형 적용 - 정신장애 유형별 모형비교 - (A Modified Attribution-Affection Model of Public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Mental Illness -Model comparisons among schizophrenia, depression and alcoholism-)

  • 박근우;서미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4호
    • /
    • pp.209-231
    • /
    • 2012
  • 일반적으로 정신장애에 대한 반낙인 프로그램들은 '정신장애가 다른 신체질환과 마찬가지로 생물학적 장애'임을 강조한다. 이는 귀인정서이론에 근거한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정신장애 원인을 생물학적 원인과 같은 통제 불가능한 것으로 귀인 하는 경우, 통제 가능한 것으로 귀인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분노와 두려움이라는 정서를 매개로 사회적 거리감을 증가시킬 것이라는 수정된 귀인정서 모형을 제안하였다. 모형의 적합도를 높이기 위해 모형수정 작업을 통해 최종 수정된 귀인정서모형을 선택하였다. 최종모형의 경로를 분석한 결과 모든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정신장애의 원인을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는 경우와 통제 불가능한 것으로 보는 경우 모두 두려움과 분노를 매개로 사회적 거리감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모형이 정신분열, 알코올중독, 우울증 사례에 동일하게 적용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세 집단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전제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경로계수의 강도와 크기 역시 유사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 모형과 달리 정신장애를 통제 가능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두려움을 매개로 사회적 거리감을 증가시키는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통제 가능한 원인으로 보는 경우 분노를 매개로 사회적 거리감을 증가시키지만 통제 불가능한 원인으로 보는 경우 두려움을 매개로 사회적 거리감을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의료적 모델로 대중을 교육하는 편견극복방법에 수정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 PDF

노인 코호트 DB를 이용한 정신과 질환 동반 노인의 생활 습관과 의료비 지출 크기의 연관성 분석 연구 (Association Between Lifestyle and Medical Expenses of Older Adults With Mental Illness: Using Korea Older Adults' Cohort Database)

  • 정지인;배수영;유은영;홍익표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1호
    • /
    • pp.51-63
    • /
    • 2023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를 통해 정신과 질환을 가진 노인의 생활 습관 행태와 의료비 지출 크기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생활 습관의 긍정적 영향 및 중요성을 제시하고 이에 관련한 중재의 근거를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노인 코호트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의 2014, 2015년 자료를 활용하여 이차데이터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전체 변수 중 생활 습관 행태와 연간 의료비 지출 크기를 추출하였다. 각각의 생활 습관 행태와 연간 의료비 지출 크기 사이의 연관성은 일반선형모형(Generalized linear model)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선정기준에 따라 추출된 총 32,853명의 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12,617명(38.40%)의 남성과 20,236명(61.60%)의 여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생활 습관과 의료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비흡연자의 경우 흡연자보다 의료비 지출이 유의하게 낮았으며(estimate = -218,255원, p = .037), 일주일 중 30분 이상 걷는 일수가 증가할수록 의료비 지출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estimate = -58,843원, p < .0001). 반면, 일주일 중 술을 마시는 일수가 감소할수록 의료비 지출이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estimate = 692,289원, p < .0001). 결론 : 본 연구는 정신과 질환을 가지고 있는 노인에게 있어 생활 습관의 행태에 따른 의료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흡연과 운동은 의료비 지출과 음의 연관성을 나타냈으며 걷기 운동을 많이 할수록, 흡연을 하지 않을수록 의료비 지출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과 질환을 가지고 있는 노인에게 있어 건강한 생활 습관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가 정신과 질환을 가진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증진을 위한 생활 습관 관리 프로그램의 임상적 근거로써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지역사회 만성정신질환자의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in Community-dwelling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Health Problems)

  • 김정숙;임정희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1-41
    • /
    • 2015
  • Purpose: The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health problems and who live in the communit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and participants were 140 people with mental illness living in Y-si, Gyeonggi-do.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May 15 to September 30, 2014.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Logistic Regression with the SPSS/WIN 18.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The number of persons who attempted suicide was 47(33.6%) and the number who had suicide ideation was 22(15.7%). The mean score for depression was $6.4{\pm}6.45$. The mean score for life satisfaction was $16.5{\pm}8.21$.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Odds ratio of suicide ideation was 1.19. The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was depress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and practice of programs to decrease suicide in people with mental ill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