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mbrane filtration system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5초

담체가 첨가된 침지형 막결합 연속회분식 반응기에서 제거효율과 여과성능에 대한 담체의 효과 (The Effect of Media on the Removal Efficiency and Filtration Performance in the Submerged Membrane-Coupled Sequencing Batch Reactor with Media)

  • 김승건;이호원
    • 멤브레인
    • /
    • 제22권6호
    • /
    • pp.450-460
    • /
    • 2012
  • 스펀지 형태의 담체가 첨가된 침지형 막결합 연속회분식 생물반응기에서 담체가 제거효율과 여과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담체는 반응기 부피 기준으로 각각 5%, 10% 및 20% 첨가하였고, 담체를 첨가하지 않은 반응기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COD, T-N 및 T-P에 대한 제거효율은 담체 첨가 유무에 관계없이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담체를 첨가한 경우,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조업시간에 따른 막간차압(TMP)은 매우 서서히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폭기에 의해 상승하는 담체가 막 표면과 충돌하게 되고, 이때 막 표면에 형성된 케이크 층을 제거시키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담체가 첨가된 막결합형 연속회분식 생물반응기는 담체가 없는 반응기에 비해 여과성능이 크게 개선되어, 폐수처리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분리막 및 광촉매의 혼성 정수/하수 처리 공정 (Hybrid Water/Wastewater Treatment Process of Membrane and Photocatalyst)

  • 박진용
    • 멤브레인
    • /
    • 제28권3호
    • /
    • pp.143-156
    • /
    • 2018
  • 본 총설은 다양한 저널 게재 논문으로부터 분리막 및 광촉매의 혼성 정수/하수 처리 공정을 요약하였다. 이 총설에는 (1) 분리막 광촉매 반응기(membrane photoreactor, MPR), (2) 분리막 결합 광촉매 공정에서 막오염 관리, (3) 유기 오염물의 분해를 위한 광촉매 분리막 반응기, (4) 정수처리용 막분리 공정과 광촉매 분해의 결합, (5) 휴믹산 분해를 위한 광촉매 및 세라믹 막여과의 혼성공정, (6) 활성슬러지 여과를 위한 한외여과의 막오염에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의 영향, (7) 정수처리용 광촉매 및 정밀여과의 혼성시스템, (8) 선박 평형수 처리용 한외여과 및 광촉매의 혼성공정 및 (9) 분리막 및 광촉매 코팅 프로필렌 구의 혼성수처리 공정이 포함되어 있다.

침지형 MBR 공정에서 응집제가 여과성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agulant on Filtration Performance in Submerged MBR System)

  • 김관엽;김지훈;김영훈;김형수
    • 멤브레인
    • /
    • 제16권3호
    • /
    • pp.182-18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침지형 MBR 공정에서 인제거를 위해 주입되는 응집제가 분리막의 여과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고, 침지형 MBR에서 분리막 표면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행하는 폭기가 응집 플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MBR공정의 폭기조 슬러지를 채취하여 jar-test를 실시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는 플록 크기와 슬러지 탈수성의 지표로서 비여과저항(SRF, Specific Resistance of Filtration)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응집제 주입량이 증가할수록 $10{\mu}m$ 이하의 플록의 비율이 저감되었으며 탈수성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jar-test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폭기의 전단력에 의해 그 효과가 저감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응집제를 주입한 경우 주입하지 않은 경우보다 운전지속시간이 연장되었다 운전지속시간이 응집제 주입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지는 않았는데, 이는 연속적인 폭기의 전단력으로 인해 $10{\mu}m$ 이하의 입자가 충분히 저감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응집제 주입량이 과도하면 오히려 여과저항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orous polymer membranes used for wastewater treatment

  • Melita, Larisa;Gumrah, Fevzi;Amareanu, Marin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5권2호
    • /
    • pp.147-170
    • /
    • 2014
  • This paper focuses on the study of the most recent ultra-filtration techniques, based on porous polymer membranes, used for the treatment of wastewater from oil, mine and hydrometallurgical industries. The performance of porous membranes used in separation and recovery of oil and heavy metals from wastewater, was evaluated by the polymer composition and by the membrane characteristics, as it follows: hydrophobicity or hydrophilicity, porosity, carrier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selectivity, fouling, durability, separation efficiency and operating conditions. The oil/water efficient separation was observed on ultra-filtration (UF) techniques, with porous membranes, whereas heavy metals recovery from wastewater was observed using porous membranes with carrier. It can be concluded, that in the ultra-filtration wastewater treatments, a hybrid system, with porous polymer membranes with or without carrier, can be used for these two applications: oil/water separation and heavy metals recovery.

고속 비디오 시스템을 이용한 정밀여과 막오염의 시각화 (Visualization of Microfiltraton Membrane Fouling by High Speed Video System)

  • 정건용;김래현
    • 멤브레인
    • /
    • 제13권3호
    • /
    • pp.174-181
    • /
    • 2003
  • 본 실험에서는 십자형 흐름 정밀여과 모듈에서 분리막 투과시 막표면에 일어나는 입자층의 형성을 고속비디오 시스템으로 관찰하였다. 공칭세공이 0.2 {\mu}m$ 정밀여과막과 기공크기보다 휠씬 큰 100 내지 180{\mu}m$ 크기의 polyacryl-copolymer 0.05 wt%의 농도 용액을 제조하여 투과실험에서는 공급유속을 0.5, 0.75, 1.0, 1.25 그리고 1.5 cm/sec으로 변화시키면서 공급유속의 $20{\pm}3%$로 투과유량을 유지하였다. 공급유량이 증가할수록 입자가 보다 신속히 분리막 표면에 축적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공급유량이 낮은 0.5 cm/sec 에서는 입자층이 형성되지 않았다. 또한 입자층 형성 후 공급 유속을 1.88 cm/sec로 증가시키면 30초이내에 분리막 표면에 입자들이 대부분 제거됨을 확인하였다.

Feed-and-discontinuous Bleed 방식으로 운전되는 정수처리용 관상형 한외여과막 시스템의 평가 (Evaluation of System operated by Feed-and-discontinuous Bleed Mode using Tubular Type Ultrafiltration Membrane for Water Treatment)

  • 최혁;서영우;김형수;임종성;황선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12호
    • /
    • pp.2187-2195
    • /
    • 2000
  • 막분리 기술을 이용한 정수처리시스템은 안정된 수질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기존의 정수처리 시스템에 비해 유지관리가 비교적 간편하다. 또 막여과 시스템은 매우 콤팩트한 기솔로서 응집/침전/여과로 구성된 기존의 정수처리 공정을 단일공정만으로 대체할 수 있다. 그러나 막여과는 운전시간의 경과와 함께 농도분극과 막오염으로 인한 플럭스의 감소라는 중요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장기간 연속운전의 평가에 관한 체계척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분획분자량 30.000 Da인 관상형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막여과 시스템을 구성하고 feed-and-discontinuous bleed 방식으로 운전하였다. 플럭스는 1,500시간 운전후에 안정되었고 4.000시간까지 25 LMH 이상을 유지하였다. SS와 탁도를 유발하는 물질은 거의 완전히 제거되었으며 $UV_{260}$과 DOC의 제거율은 각각 55%와 49%였다. 하나의 운전주기동안 SS, 탁도, $UV_{260}$과 DOC의 최대농도를 예측하기 위해 간단한 물질수지를 만들었다. 그 결과 SS와 탁도는 각 주기동안 관측된 최대농도와 예측치가 잘 일치한 반면 $UV_{260}$과 DOC의 관측농도는 예측치의 약 59%와 37% 였다.

  • PDF

평막을 이용한 침지형 막여과시스템에서 고농도 분말활성탄 주입에 의한 수처리성능 개선 효과 (The Effects of PAC (Powdered Activated Carbon) on Water Treatment Performance of an Immersed Membrane System Using Flat-sheet Membrane Module)

  • 가이샹쥐안;김한승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95-201
    • /
    • 2007
  • A submerged flat-sheet membrane separation system integrated with PAC (powdered activated carbon) was used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C on the efficiencies of operation and treatment an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nder operating conditions of a filtration rate of 0.38 m/d, water temperature of $20-28^{\circ}C$, and PAC dose of 0 g/L (Run-A) and 20 g/L (Run-B). The influent concentrations of TOC (total organic carbon), $NH_4{^+}-N$ (ammonia nitrogen) and $UV_{254}$ (UV absorbance at 254 nm) were 2.48 mg/L, 1.4 mg/L and 2.53 1/m, respectively. TOC removal of 43.2 and 73.6%, ammonia nitrogen removal of 4.9 and 15.9%, and $UV_{254}$ removal of 20.6 and 31.6% were obtained for Run-A and Run-B, respectively. During an experimental period of 33 days, no change was found in TMP (Run-B), but the TMP in Run-A increased by 5 kPa after 29 days.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filtrate quality and the performance efficiency were enhanced when PAC was introduced into the filtration system.

Modification of polyethersulfone hollow fiber membrane with different polymeric additives

  • Arahman, Nasrul;Mulyati, Sri;Lubis, Mirna Rahmah;Razi, Fachrul;Takagi, Ryosuke;Matsuyama, Hideto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7권4호
    • /
    • pp.355-365
    • /
    • 2016
  • The improvement of fouling resistance of porous polymeric membran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argets in membrane preparation for water purification in many process like wastewater treatment. Membranes can be modified by various techniques, including the treatment of polymer material, blending of hydrophilic polymer into polymer solution, and post treatment of fabricated membrane. This research proposed the modifications of morphology and surface property of hydrophobic membrane by blending polyethersulfone (PES) with three polymeric additives, polyvinylpyrrolidone (PVP), Pluronic F127 (Plu), and Tetronic 1307 (Tet). PES hollow fiber membranes were fabricated via dry-wet spinning process by using a spinneret with inner and outer diameter of 0.7 and 1.0 mm, respectively. The morphology changes of PES blend membrane by those additives, as well as the change of performance in ultrafiltration module were comparatively observed. The surface structure of membranes was characterized by atomic force microscopy and Fourier transform infra red spectroscopy. The cross section morphology of PES blend hollow fiber membranes was investig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results showed that all polymeric additives blended in this system affected to improve the performances of PES membrane. The ultra-filtration experiment confirmed that PES-PVP membrane showed the best performance among the three membranes on the basis of filtration stability.

고전압 임펄스를 적용한 막분리 공정에서의 생물막 오염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iofouling Control in Membrane Processes Using High Voltage Impulse)

  • 이주훈;김준영;이진우;이준호;장인성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67-75
    • /
    • 2011
  • Although membrane technologies are widely applied to the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strategy for the control of membrane biofouling is strongly required. In this study, a possibility of control of membrane biofouling using HVI(High Voltage Impulse) was verified based on the inactivation of microorganisms by the HVI. The HVI system was consisted of power supply, voltage amplifier, impulse generator and disinfection chamber and the model microorganism was E. coli. When 15[kV/cm] of electric fields was applied to the E. coli solution, inactivation of the microorganism was found. A possibility of the control of membrane biofouling using HVI was verified with experiments of membrane filtration with and without exposure of the HVI to biomass solution. Another membrane filtration experiments with the contaminated membranes by E. coli solution were carried out and indicate that the HVI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method for membrane biofouling control. A series of simulation of the electric fields between electrodes and microorganisms was carried out for the visualization of the disinfection that showed where the electric fields are formed.

액체전이법을 이용한 정밀여과막 오염의 특성 평가 (Determination of Microfiltration Membrane Fouling Characteristics by Liquid Displacement Method)

  • 장규만
    • 멤브레인
    • /
    • 제9권4호
    • /
    • pp.221-229
    • /
    • 1999
  • 공칭크기가 0.2${\mu}m인 polytetrfluroethylene(PTFE Satorius사) 정밀여과막에 0.1wt% kaolin benotonite yeast 및 starch 용액을 각각 투과시키고 막을 세척한 후 순수/이소부탄올을 이용한 액체전이법으로 막의 세공분포를 추정하였다 액체전이법으로 추정한 오염되지 않은 PTFE 분리막의 세공분포는 수은침투법 및 전자 현미경 사진의 분포와도 유사하였다 PTFE 막의 세공크기보다 작은 입자가 존재하는 bentonite 및 starch 용액을 투과시킬 경우 분리막 세공이 상당히 오염되어 세공분포가 약 0.3${\mu}m이하로 축소되었다. 그러나 kaolin 용액의 경우에는 0.35${\mu}m 이상의 세공일부만이 부분적으로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이 액체전이법을 이용한 분리막의 세공분포 측정으로 막오염 현상을 보다 정량적으로 구명할수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