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lanoma cancer progression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5초

Successful Outcome of Elderly Patients with Advanced Malignant Melanoma by Standardized Allergen-removed Rhus verniciflua Stokes Extract and Bojungikki-tang: Two Cases

  • Jung, Hyunsik;Lee, Sanghun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98-103
    • /
    • 2014
  • Objectives: Advanced malignant melanoma (MM) has a poor prognosis, with an expected 2-year survival rate of 10 to 20%. It has long been recognized as an immunogenic tumor, and is worse for elderly patients. Many studies have suggested that herbal treatments improve immune functions, but few clinical studies have reported on this topic. Patients and History: We present two cases of female patients (72 and 77 years old, respectively) with advanced MM. The 72-year-old female patient was, at first, diagnosed with MM with multiple bone metastases. She received resection of the primary lesion, but refused further chemotherapy. The 77-year-old female patient was diagnosed with cutaneous MM of the left heel, with suspicion of sentinel node lymphadenopathy; however, she also refused any conventional treatment due to old age. Course of Therapy and Results: Both patients were exclusively treated with standardized allergen-removed Rhus verniciflua stokes (aRVS) extract combined with Bojungikki-tang (BT, Bu-Zhong-Yi-Qi-Tang in Chinese or Hochu-ekki-to in Japanese). Both patients are still alive and doing well (Feb. 2014), demonstrating that the 72-year-old patient has lived for 27 months and the 77-year-old patient has lived for 31 months without disease progression since the aRVS and BT administration. Conclusion: We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of aRVS extract and BT could be a candidate for overcoming the cancer's immunoediting process especially for elderly MM patients intolerant of conventional treatment.

수부에 발생한 악성 종양 (Malignant Tumor of the Hand)

  • 박홍준;신규호;배임돈;한수봉;강응식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01-207
    • /
    • 1999
  • Malignant tumors of the hand are very rare. Between 1989 and 1998, 17 patients with malignant tumors of the hand were evaluated for clinical features, prevalence, treatment and results. The mean age was 45 years and median duration of follow-up was 38 months. A painless mass was the most common symptom and the most common lesion was the digit. Fifteen cases of soft tissue and 2 cases of bone tumor were diagnosed. On pathology, soft tissue tumors were comprised of 8 cases of malignant melanoma, 2 cases of angiosarcoma and 1 case each of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extraskeletal chondrosarc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Bone tumors were metastatic tumors and each originated from the rectal cancer or lung cancer. Lymph node involvements were noted in 4 cases of malignant melanoma and 1 case of squamous cell carcinoma. Six cases of metacarpo-phalangeal joint disarticulation and 4 cases of phalanx amputation were performed. Wide excision, ray amputation and below-elbow amputation were also performed. Three cases expired due to metastasis and progression of the original lesion. Among the surviving 14 cases, a malignant melanoma had metastasis on the axillary lymph node and 13 cases showed no local recurrence or metastasis during the follow-up.

  • PDF

The Usefulness of Stereotactic Radiosurgery for Radioresistant Brain Metastases

  • Kim, Hyool;Jung, Tae-Young;Kim, In-Young;Jung, Shin;Moon, Kyung-Sub;Park, Seung-Ji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4권2호
    • /
    • pp.107-111
    • /
    • 2013
  • Objective : We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stereotactic gamma knife Radiosurgery (GKR) for radioresistant brain metastases with the impact upon histology. Methods : Between April 2004 and May 2011, a total of 23 patients underwent GKR for 67 metastatic brain tumors from 12 renal cell cancers, 5 sarcomas and 6 melanomas. The mean age was 56 years (range, 18 to 79 years). Most of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as the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recursive partitioning analysis class II (91.3%). The synchronous metastasis was found in 6 patients (26.1%) and metachronous metastasis in 17 patients (73.9%). We analyzed the local control rate, intracranial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and overall survival (OS). Results : The mean tumor volume for GKR was 2.24 cc and the mean prescription dose was 19.4 Gy (range, 10 to 24) to the tumor margin. Out of metachronous metastases, the median duration to intracranial metastasis was 3.3 years in renal cell cancer (RCC), 2.4 years in melanoma and 1.1 years in sarcoma (p=0.012). The total local control rate was 89.6% during the mean 12.4 months follow-up. The six-month and one-year local control rate was 90.2% and 83%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pathology, the control rate of RCC was 95.7%, sarcoma 91.3% and melanoma 80.5% during the follow-up. The common cause of local failure was the tumor bleeding in melanoma. The median PFS and OS were 5.2 and 8.4 months in RCC patients, 6.5 and 9.8 months in sarcoma, and 3.8 and 5.1 months in melanoma. Conclusion : The GKR can be one of the effective management options for the intracranial metastatic tumors from the radioresistant tumors. The melanoma showed a poor local control rate compared to other pathologies because of the hemorrhage.

폐암 환자에서 혈청 soluble ICAM-1농도의 변화 (Changes of Serum soluble ICAM-1 levels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 류완희;이용철;이양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4호
    • /
    • pp.527-535
    • /
    • 1996
  • 연구배경 : 내피세포와 백혈구 및 상피세포에서 주로 발견되는 sICAM-1은 백혈구 표면의 배위자인 (ligand)인 LFA-1과 결합함으로서 염증성 질환 이외에 악성 종양의 전이와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에는 혈청내 sICAM-1의 농도가 악성 흑세포종의 전이와 비례하여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또한 sICAM-1의 이형이 여러 질환에서 발견되고 이들의 혈청 농도의 증가는 위암, 대장암, 담낭암, 췌장암의 간전이와 관련되며, 악성 흑세포종 환자의 생존율의 감소와 관련되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나 폐암에서는 이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다. 이에 저자들은 폐암 환자의 혈청에서 sICAM-1을 측정하여 폐암의 조직학적 분류와 진행 및 전이의 정도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고 폐암의 진단적 가치에 대하여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5년 1월부터 1996년 3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 내과에 입원하여 폐암을 진단 받은 환자 3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정상 대조군은 비슷한 연령의 다른 질환을 갖고 있지 않은 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관지 내시경을 통한 조직 생검이나 경피적 세침 흡입술을 이용하여 확진을 하였으며, 각 조직학적 분류에 따른 진행정도를 알기 위하여 TNM system 을 이용하여 분류하였고, 소세포 폐암은 limited stage와 extensive stage로 분류하였다. Genzyme사의 Predicts sICAM-1 ELISA kit를 이용하여 혈청 sICAM-1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1. 소세포 폐암군에서 혈청 sICAM-1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가 없었으나, extensive stage군에서 limited stage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2. 편평상피암군에서 혈청 sICAM-1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stage IIIa기 이하군에 비해 stage IIIb기 이상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3. 선폐암 환자군에서 혈청내 sICAM-1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결론 : 혈청 sICAM-1농도의 변화는 폐암의 조직학적 분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폐암의 전이 및 진행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폐암 환자에서 혈청 sICAM-1농도의 측정은 폐암에서 진행의 정도를 평가하는 데 지표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ression of Melanoma Differentiation-Associated Gene-7/Interleukin-24 (MDA-7/IL-24) and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in Colorectal Adenocarcinomas

  • Seo, Boram;Hong, Young Seob;Youngmin, Youngmin;Roh, Mee Sook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13-419
    • /
    • 2012
  • The melanoma differentiation-associated gene-7 (MDA-7) protein, also known as interleukin-24 (IL-24), is a novel candidate of tumor suppressor that can induce apoptosis experimentally in a variety of human malignant cell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about its role in colorectal cancer. We performed immunohistochemical detection of MDA-7/IL-24 in 399 tissue samples from primary colorectal adenocarcinoma patients using a tissue microarray. Western blotting was then done to confirm the immunohistochemical observations. MDA-7/IL-24 immunoreactivity was observed in 116 (29.1%) of the 399 colorectal adenocarcinoma cases. Analysis of the MDA-7/IL-24 expression by Western blotting confirmed the immunohistochemical results. The tumors with a negative MDA-7/IL-24 expression more frequently showed poor differentiation (P=0004), lymph node metastasis (P=0.001), deep invasion (P=0.008) and high stage (P=0.001). A subset of colorectal adenocarcinoma revealed a decreased expression of MDA-7/IL-24, and this was associated with progressive pathologic featur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oss of MDA-7/IL-24 expression may play a role in tumor growth and progression of colorectal adenocarcinomas.

구강편평상피암종에서 stromal cell-derived factor-1의 발현 (Stromal cell-derived factor-1 (SDF-1) expression in the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 김경욱;한세진;노규섭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6권1호
    • /
    • pp.1-6
    • /
    • 2010
  • Purpose: Chemokines are structurally related, small polypeptide signaling molecules that bind to and activate a family of transmembrane G protein-coupled receptors, the chemokine receptors. Recently, interaction between the chemokine receptor CXCR4 and its ligand, stromal cell-derived factor 1 (SDF-1 or CXCL12), has been foun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umorigenicity, proliferation, metastasis and angiogenesis in many cancers such as lung cancer, breast cancer, melanoma, glioblastoma, pancreatic cancer and cholangiocarcinoma. Henc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of clinicopathological factors and the up-regulation of SDF-1 expression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Material and methods: We studied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SDF-1, quantitative RT-PCR (qRT-PCR) of SDF-1 gene in 20 specimens of 20 patients with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Results: 1. In the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poor differentiated and invasive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the high level staining of SDF-1 was observ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immunohistochemical SDF-1 expression and tumor nodes metastases (TNM) classification of specimens was significant.($x^2$ test, P < 0.05) 2. In the SDF-1 gene qRT-PCR analysis, SDF-1 expression was more in tumor tissue than in carcinoma in situ tissue. Paired-samples analysis determined the difference of SDF-1 mRNA expression level between the cancer tissue and the carcinoma in situ tissue.(Student's t-test, P < 0.05)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up-regulation of the SDF-1 may play a role in progression and invasion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한국 전통 약주의 B16BL6 mouse melanoma 및 HRT18 human colon adenocarcinoma 세포 성장 억제 효과 (Effect of Korean Rice-Wine (Yakju) on in vitro and in vivo Progression of B16BL6 Mouse Melanoma and HRT18 Human Colon Adenocarcinoma Cells)

  • 정건섭;오원택;남상민;손병수;박용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470-1475
    • /
    • 1998
  • 한국 전통약주의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과 체내에서의 암세포 성장 및 전이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무증자 발효 방법으로 발효시킨 전형적인 약주(전통약주II)와 이 약주에 한약재를 첨가하여 발효한 것(전통약주I), 비교 시료로 일본 청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각 시료를 동결건조하고 증류수로 재용해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는데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 결과 B16BL6 mouse melanoma 세포에 대하여 전통약주는 2종류 모두 본래 농도의 16배 미만의 희석 배수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냈으며, 일본 청주는 8배 미만의 희석배수에서 나타냈다. HRT18 human colon adenocarcinoma 세포에 대한 독성은 비교적 B16BL6 세포의 경우 보다 모두 낮았다. 일상적인 음용 범위 내에서 모든 시료들의 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독성은 미약하였으나, 낮은 희석배수에서도 대상 세포들의 형태가 변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각 시료들의 항암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B16BL6 세포를 이용하여 체내에서의 암세포 성장 및 전이를 분석하였다. 암세포를 마우스의 발바닥에 피하접종하고 시료를 섭취시켜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를 조사한 결과 일본 청주에 비교하여 전통약주I과 전통약주II 섭취 군에서 높은 암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전통약주I은 암의 전이 억제에 뚜렷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이러한 항암효과는 전통약주의 어떤 성분이 직접적으로 암세포에 작용하기보다는 면역세포 등을 포함한 여러 다른 세포의 성장과 분화에 작용하여 간접적으로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이내에는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3{\sim}11.9%$ 였으며 기온은 $4.3{\sim}6.5^{\circ}C$낮았다. 또한 지온은 5월에서 8월까지 $17.5{\sim}20.1^{\circ}C$로 경과되어 외기기온의 $25.1{\sim}30.8^{\circ}C$에 비하여 낮았으나 변화폭이 작았다.ol, cis-3-hexenol, trans-2-hexanol 등(等)이 높은 함양(含量)을 보였다. 유기물(有機物) 종류간(種類間)에는 침엽수(針葉樹)/이끼 퇴비(堆肥)에서 주요(主要) 향기성분(香氣成分)인 1-hexanol이 78.62, cis-3-hexenol이 36.65. trans-2-hexanol이 120.41 peak area%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향기(香氣)가 높은 자생지(自生地) 토양(土壤)의 1-hexanol이 74.47, cis-3-hexenol이 44.21, trans-2-hexanol이 147.33 peak area%인 것과 유사(類似)하게 높았다.tarrow}6$보다 $4{\beta}{\rightarrow}8$의 결합방식이, 그리고 procyanidin 류에서는 gallate를 갖는 물질이 이를 함유하지 많은 물질보다 더욱 높은 ACE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hydroxyl 기가 많을수록 효소 저해효과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chocolate의 주원료인 cacao bean의 polyphenol 성분 또한 녹차 등에서 볼 수 있는 생리활성효과에 손색없는

  • PDF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암 치료에서의 새 시대 (Oncolytic Viruses - A New Era for Cancer Therapy)

  • 다니엘 가비르;이르빈 니요니지기에;강민재;김군도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824-835
    • /
    • 2019
  • 최근 수십 년 간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Oncolytic viruses; OV)는 암 치료제로서의 잠재성에 의해 광범위하게 연구되어왔다.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는 두 가지의 독특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첫째로 암세포만을 특이적으로 감염시키고 사멸시킬 수 있다는 것이고, 두 번째로는 암이 진행되는 초기 단계에 숨어서 인식되지 않는 상태인 종양 관련 항원들을 인식하는 특정한 적응 면역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2015년에는 유전자 변형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인 Talminogene laherparepvec (T-VEC)이 미국 식약청(FDA)의 승인을 받았으며, 현재는 다양한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들이 단일로 사용되거나 기존의 암 치료 방법인 면역 치료법, 방사선 치료법, 화학 치료법과 함께 사용되어 임상 시험에서 활성이 연구되고 있다.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 치료법의 효능은 항 종양 면역 활성과 항바이러스 반응의 균형이 어느 정도인가에 의해 조절되기 때문에, 획기적인 성과에도 불구하고 암 치료를 위한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의 개발은 전달 방법, 바이러스를 인식하는 신체 내 항체 및 종양의 복잡성, 가변성, 반응성에 따른 항바이러스의 면역 유도와 같은 다양한 장애물을 극복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종양 내에 직접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를 투여하는 방법은 눈에 띄는 부작용이 없이 고형 종양을 줄이는 것에 성공하였으나, 아쉽게도 뇌종양 같은 일부 종양에는 사용할 수 없고 전신 투여가 필요한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장애물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의 효능을 높이기 위한 형질 전환 유전자의 삽입 혹은 면역 조절 물질과 바이러스를 조합하는 등의 다양한 전략들이 개발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