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lanin index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5초

모녀간 피부 특성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Skin Character Between Mother and Daughter Pairs)

  • 조가영;김지연;염명훈;조준철;김종일;김윤범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6-55
    • /
    • 2012
  • Objectives: It is well known that genetic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play major role in aging skin. In general, son and daughter take after their parents in appearance. But comparability of skin properties in Korean family has not been well estimated. So we evaluated the correlation of skin properties in Korean mother-daughter pairs. Methods: 10 couples of mother and daughter pair(n=20) participate in this study. Mothers and daughters were aged $50.6{\pm}2.459$ and $23.8{\pm}2.15$ years, respectively. Skin moisture, sebum, skin color and elasticity is measured using non-invasive method : Corneometer CM825, Sebumeter(MPA580), Mexameter MX18, Cutometer MPA580.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we used is Minitab 14 Korea. Results: The Skin moisture of mother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daughter group. And skin elasticity(R2) of the daughter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mother group. I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other and daughter pairs, skin elasticity(R2) had high positive correlation(r=0.729, p=0.026). But skin moisture, sebum, melanin index, erythema index and skin elasticity(R5) did not be confirmed a significant correlation. Conclusions: Skin elasticity(R2) is the only factor that showed high positive correlation significantly in mother and daughter pairs. Mother and daughter share the genetic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fluence skin aging. So, mother's aging pattern will be a good guide for anti-aging of daughters.

녹두 추출물이 생쥐에 유발된 접촉피부염의 피부 증상과 조직병리학적 소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een Gram Extract on Skin Lesion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Mice with Contact Dermatitis)

  • 장선경;강윤형;오승엽;강윤태;김소연;류지효;김형우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18
    • /
    • 2022
  • Objectives : Green gram (mung bean) has a cold nature and has been known to detoxify against various side effects that belong to hot in nature. In particular, since it has the effect of detoxifying fever and detoxification to treat swelling, it was also used externally to treat febrile dermatological diseases such as erysipelas and rubella.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green gram exhibits anti-inflammatory effects on contact dermatitis in mice. Methods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reen gram extract (70% ethanol extract) on skin lesion, skin thickness and weights, melanin and erythema index and spleen body weight ratio in mice with contact dermatitis induced by repeated application of 1-Fluoro-2,4-dinitrobenzene. Results : Topical application of green gram extract ameliorates skin lesions of contact dermatitis such as scale and roughness induces by 1-Fluoro-2,4-dinitrobenzene. green gram extract also suppressed enlargement of skin thicknesses and weights significantly. In addition, green gram extract treatment also lowered erythema index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In the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 green gram extract prevented epidermal hyperplasia and hyperkeratosis in inflamed tissues. Finally, green gram extract did not affect changes in body weights and the spleen body weight ratio, unlike dexamethasone, which significantly prevented body weight gain and lowered the spleen body weight ratio. Conclusions : These results imply that green gram, which is known to have a detoxifying effect in Korean medicine, can be used in the treatment of contact dermatitis.

Effectiveness of the Pico-toning Technique for the Treatment of Melasma with a Low Fluence 1,064-nm Nd:YAG Laser in Asian Patients

  • Kim, Dong Gyu;Nam, Seung Min;Shin, Jin Soo;Park, Eun Soo
    • Medical Lasers
    • /
    • 제9권2호
    • /
    • pp.166-171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s Melasma is an acquired pigmentary disorder characterized by brown or dark brown colored macules and patches which mostly involve the face. Compared to nanosecond lasers, picosecond lasers have fewer adverse effects on surrounding tissues and give better results for melanin fragme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pico-toning technique using a low fluence 1,064-nm Nd:YAG laser on melasma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melasma cases treated using the pico-toning technique from June 2017 to November 2020. Based on photographic images, the modified Melasma Area and Severity Index (mMASI) score was blind evaluated by two independent plastic surgeons. Patient satisfaction was assessed through a 5-point Likert scale questionnaire after treatment sessions. All adverse effects and complications were reviewed based on medical records. Results A total of 23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mMASI scores for baseline and 2 months after the last procedure were 5.1 ± 1.4 and 2.6 ± 0.4, respectively. The mean mMASI score reduced significantly after the treatment session (p < 0.05). The patient satisfaction score with the procedure was 3.8 ± 1.0. The subject satisfaction score and difference in the mMASI score before the procedure and 2 months after the last procedur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Adverse effects observed in this study were erythema (n = 1) and edema (n = 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pico-toning technique is effective in Asian patients with melasma. We believe that safety was enhanced by using low fluence, and thus better results were achieved with fewer adverse effects.

안면 백반증 치료 평가를 위한 딥러닝 기반 자동화 분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Deep Learning-Based Automated Analysis System for Facial Vitiligo Treatment Evaluation)

  • 이세나;허연우;이솔암;박성빈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95-100
    • /
    • 2024
  • Vitiligo is a condition characterized by the destruction or dysfunction of melanin-producing cells in the skin, resulting in a loss of skin pigmentation. Facial vitiligo, specifically affecting the face, significantly impacts patients' appearance, thereby diminishing their quality of life. Evaluating the efficacy of facial vitiligo treatment typically relies on subjective assessments, such as the Facial Vitiligo Area Scoring Index (F-VASI), which can be time-consuming and subjective due to its reliance on clinical observations like lesion shape and distribution. Various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methods have been proposed for segmenting vitiligo areas in facial images, showing promising results. However, these methods often struggle to accurately segment vitiligo lesions irregularly distributed across the face. Therefore, our study introduces a framework aimed at improving the segmentation of vitiligo lesions on the face and providing an evaluation of vitiligo lesions. Our framework for facial vitiligo segmentation and lesion evaluation consists of three main steps. Firstly, we perform face detection to minimize background areas and identify the face area of interest using high-quality ultraviolet photographs. Secondly, we extract facial area masks and vitiligo lesion masks using a semantic segmentation network-based approach with the generated dataset. Thirdly, we automatically calculate the vitiligo area relative to the facial area.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facial and vitiligo lesion segmentation using an independent test dataset that was not included in the training and validation, showing excellent results. The framework proposed in this study can serve as a useful tool for evaluating the diagnosis and treatment efficacy of vitiligo.

활성 RAW 264.7 세포에서 항염증 및 자외선 유도 마우스 피부손상의 개선에 대한 새송이 추출물의 효과 (Effects of Pleurotus eryngii extract against inflammation in activated RAW 264.7 cells and UV-induced skin damage in mice)

  • 조병옥;윤홍화;이현서;추정임;장선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90-96
    • /
    • 2017
  • 본 연구는 먼저 새송이버섯 추출물인 PEE가 활성화된 면역세포에서 항염증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LPS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 PEE를 처리했을 때 5과 15 mg/mL 등 높은 농도에서 NO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리고 LPS가 유도하는 $IL-1{\beta}$와 IL-6는 5 mg/mL 농도에서는 억제 없었으나, 15 mg/mL 농도에서 현저히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다음은 UVB가 유도하는 C57BL/6 마우스 피부손상에 대한 PEE의 개선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PEE를 7일간 경구투여한 후 7일, 10, 13일 등 3일 간격으로 하루에 1회씩 UVB ($250mJ/cm^2$)로 마우스 등 피부에 조사하여 피부손상을 유발하였다. UVB 조사 후부터는 PEE를 경구투여와 함께 피부에 도포하여 PEE가 피부 손상에 대한 개선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PEE 투여군은 UVB로 유도되는 표피두께, 홍반지수 및 멜라닌 지수가 참고약물로 사용한 비타민 C(AA) 투여군과 유사한 개선되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PEE 투여군은 UVB가 유도하는 비만세포를 비롯한 염중세포 침윤이 현저히 억제되는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PEE는 항염증 효과와 더불어 UVB가 유도하는 피부손상을 개선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어 기능성 식품소재 및 화장품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전통 한방처방을 이용한 기초 한방화장품에 대한 임상적 연구 (The Clinical Study on Cosmetics by Usin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김윤범;김호철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59-275
    • /
    • 2002
  • During a clinical test with Korean herbal cosmetics, significant data and relat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ing: 1. The questionnaire resulted the subjects who used Korean herbal cosmetics showed significant subjective improvement. 2. $11{\%}$ of the subjects who used Korean herbal skin lotion replied "very good" , $60{\%}$ "good" , and $29{\%}$ "so so". 3. In the questionnaire about how often the subjects who used Korean herbal skin lotion experienced skin irritation, $91{\%}$ of the subjects replied they didn't experience any skin irritation 4. The subjects who used oily & combinational cosmetics showed more significant result than the placebo group in the questionnaire about how they feel when using emulsion. 5. In the questionnaire about how they feel when using emulsion. $11{\%}$ of all the subjects replied "very good" , 60{\%}$ "good" , and $29{\%}$ "so so". 6. In the questionnaire about how they feel when using essence $18{\%}$ of all the subjects replied "very good" , $56{\%}$ "good" , and $27{\%}$ "so so". 7. In the questionnaire about how often the subjects who used skin lotion experienced skin irritation, $100{\%}$ of the subjects replied there was no skin irritation. 8. the subjects who used Korean herbal cosmetics showed significant result in the questionnaire about how much moisture they feel when using cream. 9. The subjects who used neutral & dry cosmetics showed more significant result than the placebo group in the questionnaire about if the cosmetics spread well when using emulsion. 10. The subjects who used oily & combinational cosmetics showed more significant result than the placebo group in the questionnaire about how much moisture they feel when using cosmetics. 11. In the questionnaire about how they feel when using cream $13{\%}$ of all the subjects replied "very good", $49{\%}$ "good", and $2{\%}$ "so so". 12. In the questionnaire about how often the subjects who used cream lotion experienced skin irritation, $96{\%}$ of the subjects replied there was no skin irritation. 13. In the measurement of coreometer, the subjects who used oily & combinational cosmetics showed significant result(measurement area : indang). Especially in the area of sungjang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ubjects group and placebo group. 14. In the measurement of skin-ph-met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all group. 15. in the measurement of melanin-erythema index meter, the subjects who used cosmetics which doesn't contain Korean herbs showed significant change and made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to the subjects who used Korean herbal cosmetics.

  • PDF

투명감 측정을 통한 제형의 미백 효능 평가와 투명감에 관여하는 요소들에 대한 분석 (Evaluating the Efficacy of Whitening Products by Using Luminescence Measurement and Revealing Correlation between Luminescence and Other Parameters)

  • 정춘복;김한곤;남개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53-258
    • /
    • 2010
  • 현재까지 피부 미백에 대한 평가는 피부 반사광 전체에 대한 분석이 주를 이루어 왔다. 그 예로 SHV (Saturation, Hue, Value), $L^*$ $a^*$ $b^*$ (CIELAB color space system) 등 색차계를 사용하여 검출된 빛을 몇 가지 기준으로 나누어 분석하는 방법이 이용되어왔으며, 밝기나 채도 변화를 기준으로 피부 미백을 평가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미백 평가법들은 빛의 전체 피부 반사량을 통한 측정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어 투명감, 화사함, 윤기 등 소비자들이 원하는 새로운 미백 효능의 평가에는 사용하기 힘든 단점이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전까지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힘들었던 투명감에 대한 새로운 측정법을 활용하여 8주 동안 자사의 2가지 미백 제형 효능 평가에 사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루미스캔(Lumiscan$^{TM}$)이라고 명명된 편광을 활용한 각도별 반사광 측정 장치를 제작하여 실험에 활용하였다. 또한, 투명감 측정 이외에도 15가지 측정치에 대한 실험을 병행하여 투명감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자사의 2가지 미백 제형은 각각 4, 8주에 5 ~ 9 %의 투명도 개선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피부결(-28 %), 멜라닌(-17 %), 홍반(-7 %), 수분량(15 %), 피부 밝기(6 %) 등이 피부 투명감에 주요한 영향을 주는 요소라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화장품 소재로서의 노니 추출물에 관한 특성연구 (Study on the Bioactive Characteristics of Morinda citrifolia as a Cosmetic Raw Material)

  • 김승희;장혜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83-19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노니(Morinda citrifolia, MC)의 항산화력, 세포독성, 항노화 효과 등 생리활성을 규명하여 화장품 제제로써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노니는 열대성 식물로서 2000년 넘게 폴리네시아인들의 식량과 민간요법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항균성, 항암, 항염증, 면역력을 높일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DPPH 소거능에 대한 in vitro 노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항노화 작용에서 HDF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고, $50{\sim}100{\mu}g/mL$ 이상의 노니 추출물 첨가 시 MMP-1 발현이 뚜렷이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in vivo 실험에서는 노니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을 제조하여 30 ~ 50대 여성 22명을 대상으로 4주간 아침 저녁으로 도포하게 한 후 각질함량, 멜라닌 지수, 모공수, 피부색상 및 눈밑 주름수의 변화를 비교 측정하였다. 그 결과로 각질함량은 대조군 그룹(control group)에서는 다소 증가한 반면에 노니 함유 크림 그룹(experimental group)에서는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눈밑 주름수의 변화에서 노니 함유 크림 그룹에서만 제품 사용 4주후 주름수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노니 추출물은 많은 MMP-1 발현 메커니즘을 제한하며, 천연 항노화 화장품 제제로서 고무적인 가능성을 기대해 보고자 한다.

Lactobacillus bifermentans로 발효한 율피의 항아토피 효과 (Anti-atopic Effects of Castanea crenata Inner Shell Extracts Fermented by Lactobacillus bifermentans)

  • 김배진;손우림;최미옥;조성경;정희경;이진태;김학윤;권대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1378-138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DNCB 도포를 통해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킨 NC/Nga mice에 율피 발효물을 각각 0.1%, 1%, 5%로 도포하고 항아토피 효능을 평가하였다. 율피 발효물의 유효성분은 HPLC 분석 결과, gallic acid와 ellagic acid가 각각 10.18 mg/g, 2.14 mg/g 함량을 나타내었다. 실험군 간의 유의적 체중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육안 평가를 통해 홍반, 가려움과 피부건조, 부종과 혈종, 짓무름 그리고 태선화와 같은 일반적인 아토피 피부염 증상의 심각도를 측정한 점수 결과에서는 DNCB 도포를 통해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atopic dermatitis(AD)군($13.17{\pm}0.40$)과 비교 시, 아토피 피부염 유발 후 5% 율피 발효물을 도포한 fermented Castanea crenata inner shell(FCS) 5군에서 $7.50{\pm}0.43$ 으로 나타나 아토피 피부염 증상이 빠르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P<0.01). 피부 측정 기기인 MPA5 580을 이용하여 피부멜라닌지수, 피부홍반지수, 피부수분지수를 측정한 결과, AD군은 각각 $296.61{\pm}8.11$, $264.33{\pm}10.15$, $3.15{\pm}0.54$를 나타내었으며 FCS 5군은 각각 $105.86{\pm}2.92$, $199.56{\pm}4.22$, $17.62{\pm}1.75$로 개선효과가 유의적으로 나타났다(P<0.05). 각 실험군 mice의 면역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비장 무게(mg)를 체중(g)으로 나누어 산출한 비장 수치의 경우, 아토피 피부염 유발로 인해 AD군에서 증가된 비장 수치($5.55{\pm}0.31$)가 FCS 0.1군, FCS 1군, FCS 5군에서는 각각 $4.53{\pm}0.24$, $3.80{\pm}0.40$, $3.32{\pm}0.24$로 나타나 율피 발효물의 도포 농도에 의존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FCS 5군에서는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이는 율피 발효물이 아토피 피부염 상태에서 증가된 비장 내 T-림프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Quantitative real-time PCR을 통해 피부조직에서 IL-$1{\beta}$, TNF-${\alpha}$와 같은 염증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분석한 결과, 두 유전자 모두 정상군의 relative quantification값이 1일 때 AD군은 각각 1.30, 1.26으로 증가되었으며 FCS 5군에서는 1.11, 0.93으로 나타나 율피 발효물 도포에 의한 유의적인 감소(P<0.05)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아토피 피부염의 면역학적 지표인 혈청 내 IgE 함량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각 실험군 간의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AD군($1,628.71{\pm}202.59ng/mL$)과 비교 시, 율피 발효물을 도포한 FCS 0.1군, FCS 1군, FCS 5군에서 각각 $1,530.15{\pm}198.70ng/mL$, $1,462.15{\pm}83.79ng/mL$, $1,187.47{\pm}140.09ng/mL$로 나타나 율피 발효물 도포에 의해 감소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율피 발효물은 아토피 피부염 증상 개선을 위한 기능성 천연물의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패션 프룻 추출물이 피부에 미치는 새로운 기능적 효과 (New Functional Properties of Passion Fruit Extract on Skin)

  • 정미숙;김순래;한창우;김현진;장세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1-107
    • /
    • 2022
  • 본 연구는 패션 프룻(passion Fruit) 열매의 과육과 씨 추출물의 항염증, 항산화, 항노화 및 피부 미백의 기능성 효과에 관한 것이다. 패션 프룻 열매의 추출물은 피부 첩포에 의한 일차 자극 인체적용시험 결과 피부 자극 지수는 0.00으로 판정되었다. 또한 염증매개물질 LPS (Lipopolysaccharides)를 처리하여 Raw 264.7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켜 NO를 유발하고 패션 프룻 열매 추출물과 반응시켰을 때 LPS만 처리한 그룹의 NO 발생량 보다 현저히 낮은 NO 발생량을 보임으로써 패션 프룻 열매 추출물의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시험을 통해 패션 프룻 열매 추출물이 5.11%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보이면서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피부의 콜라겐 I 형의 합성은 노화와 다양한 피부 질병의 척도인데 인간의 프로콜라겐 I 알파 1 활성도 분석을 통하여 패션 프룻은 프로콜라겐의 합성을 약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멜라닌 억제 시험을 통하여 패션 프룻 열매 추출물의 미백 효능을 확인하였는데 대조군으로 식약처에서 고시한 미백 기능성 성분인 알부틴(arbutin)을 2% 이상 배합한 시료는 월귤나무에서 얻은 히드로 퀴논을 반응시켜 얻은 유기화합물로 일반적으로 백색 분말의 형태로 존재하며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는 티로시나아제를 억제하는 효능 효과가 있어 미백 개선의 기능성 성분으로 사용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자연에서 얻은 패션 프룻 열매 추출물의 미백 기능성 효능 확인은 화장품 및 식품의 기능성 원료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