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um-chain fatty acid enriched-diacylglycerol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In Vitro Evidence of Anti-Inflammatory and Anti-Obesity Effects of Medium-Chain Fatty Acid-Diacylglycerols

  • Yu, Seungmin;Choi, Jong Hun;Kim, Hun Jung;Park, Soo Hyun;Go, Gwang-woong;Kim, Wook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9호
    • /
    • pp.1617-1627
    • /
    • 2017
  • Dietary approaches using structured lipids, including medium-chain fatty acids and diacylglycerols, have been adopted for the prevention of obesity-induced chronic inflammation. In an extension to previous studies, medium-chain fatty acid-diacylglycerol enriched dietary oil (MCDG) was prepared by interesterification of canola oil and medium-chain fatty acid-triacylglycerols. The consequent MCDG product was applied to RAW264.7 macrophages followed by the assessment of multiple inflammatory responses. Compared with conventionally used canola and olive oil controls, MCDG suppressed macrophage phagocytosis, as assessed by the uptake of microsphere beads. Furthermore, the production of IL-6 and $TNF-{\alpha}$, transcription of COX-2 and iNOS, and expression of CD80 on cell surfaces were downregulated by MCDG in LPS-stimulated macrophages. Subsequently, differentiated 3T3-L1 adipocytes were evaluated for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and lipid accumulation. IL-6 production was marginally affected and lipid accumulation was inhibited by MCDG.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MCDG has potential as an alternative oil for cooking in order to prevent obesity-induced inflammation.

중쇄지방산 강화 디아실글리세롤(MCE-DAG)이 간세포 내 콜레스테롤 흡수 및 합성 기전에 미치는 영향 (Medium-chain fatty acid enriched-diacylglycerol (MCE-DAG) accelerated cholesterol uptake and synthesis without impact on intracellular cholesterol level in HepG2)

  • 김현경;최종훈;김훈중;김우기;고광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72-277
    • /
    • 2019
  • 본 연구진은 선행연구에서 MCE-DAG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혈중 총 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의 감소를 보고한 바 있어, 본 연구에서 in vitro를 통해 MCE-DAG와 간의 콜레스테롤 항상성 기전의 관련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LDLR과 같은 콜레스테롤 흡수 관련 인자의 발현이 MCE-DAG에 의해 증가한 반면, LDLR을 억제하는 PCSK9의 발현은 감소하였다. 또한, 콜레스테롤 합성 관련 인자인 HMGCR의 발현이 MCE-DAG에 의해 증가하였고, 전사조절인자인 SREBP2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콜레스테롤의 합성과 흡수가 동시에 증가하였음을 뒷받침한다. 즉, 간 내 콜레스테롤 필요량이 증가함에 따라, 간의 콜레스테롤 합성 및 흡수를 활성화시켜 콜레스테롤 항상성을 유지하는 기전이 촉진되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간 세포 내 총 콜레스테롤 양은 MCE-DAG에서 영향을 받지 않았다. 콜레스테롤 흡수 및 합성 기전이 촉진되었음에도 세포 내 콜레스테롤 농도가 증가하지 않은 현상은 담즙산 등 콜레스테롤 분비 촉진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추론은 추후 콜레스테롤 분비 기전을 검증할 수 있는 실험을 설계하여 검증해볼 필요성이 있다. 결론적으로 MCE-DAG는 세포 내 콜레스테롤 흡수 작용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어 추후 기능성 유지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