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um density fiberboard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2초

열매유 보일러 내부 화재에 따른 온도 및 속도분포 시뮬레이션 (Temperature and Flow Velocity Simulation for Fire in Synthetic Heat Transfer Fluid Boiler)

  • 김엽래;이동명;김윤증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472-475
    • /
    • 2012
  •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제조공정에 필요한 열매유(SHTF, Synthetic Heat Transfer Fluid)를 가열하는 보일러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 열매유 보일러는 1차 패스, 2차 패스, 3차 패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화재가 발생된 1차 패스 연소대 위쪽 14단 부근에서 열매유가 방출되었다. 화재확산으로 인한 조사내용 및 데이터를 토대로 화재 시뮬레이션용 전산유체역학인 ANSYS-CFX를 이용하여 재현하고 화재 모델링 해석 및 분석을 통해 화재 온도를 산정하고 피해의 범위를 규정하였다. 본 화재 사고로 설비의 운전 및 소재에 대한 피해를 규정하고, 이론에 의한 과학적인 정밀 조사를 실시하여 향후의 안전 운전을 위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 PDF

The Improvement of Physico-mechanical Properties of MDF with High Frequency Heating Technique

  • Youh, Shin-Jae;Jo, Byoung-Muk;Oh, J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4호
    • /
    • pp.83-93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physico-mechanical properties of board products by applying the technique of high frequency heating, and find out the optimum conditions of high frequency heating, compared with the technique of hot platen heating. The possibility of isocyanate resin application to board production was also considered to solve the problem of free formaldehyde emission from urea resin which is generally used in wood industry. For this study, 30 mm thick MDP (medium density fiberboard) with isocyanate resin were manufactured by the techniques of hot platen heating, high frequency heating and the combination techniques of both heating methods, and compared in several point of views.

  • PDF

도시 고체 폐기물에서 분리한 목질계 자원의 화학적 분석 (Chemical Analysis of Woody Resource Seperated from Municipal Soild Waste)

  • 신수정;박종문;최태호;김병로;조대행;김용환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3-47
    • /
    • 2011
  • In woody waste separated from municipal solid waste, medium density fiberboard was major contributors with particleboard, paper, plywood and log, with different composition based on collected period. In chemical compositional analysis of woody waste, it was similar to softwood based on carbohydrate composition analysis. Based on the carbohydrate composition, saccharified solution from MWW could be good resource for biorefinery.

  • PDF

녹차-목재섬유복합보드의 정적 휨 강도성능에 미치는 녹차배합비율의 영향 (Effect of Green Tea Content on Static Bending Strength Performance of Hybrid Boards Composed of Green Tea and Wood Fibers)

  • 박한민;강동현;임나래;이수경;정강원;김종철;조경환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5호
    • /
    • pp.1-8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녹차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보드를 건축내장재로의 활용을 위하여, 녹차의 다양한 기능성과 목재섬유의 우수한 강도특성을 살려 녹차-목재섬유 복합보드를 제작하였고, 녹차-목재섬유 복합보드의 정적 휨강도성능에 미치는 녹차와 목재섬유 배합비율 및 접착제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녹차-목재섬유복합보드의 휨 강도성능은 녹차의 배합에 따라 대조보드 (control 보드) 보드의 그것보다 감소하였는데, 그 감소비율은 전반적으로 녹차배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보드제조에 사용된 수지의 종류에 따라 강도성능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이 많은 $E_1$급 요소수지가 $E_0$급 요소수지보다 휨 탄성계수에서는 1.08~1.53배 그리고 휨 강도는 1.19~1.82배의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녹차의 배합비율이 커질수록 양자의 차이는 커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휨 강도는 $E_1$급 요소수지의 경우, 시판용 중밀도섬유판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의 0.94~1.03배의 값을 나타내어 시판용 중밀도섬유판과 거의 차이가 없었고, 녹차와 목재섬유를 복합한 우수한 친환경 기능성복합보드제조가 가능한 것이 밝혀졌다.

축합형 탄닌을 이용한 친환경 건축마감재 개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friendly Surface Material Using Condensed Tannin)

  • 조재민;박문수;정경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5권3호
    • /
    • pp.199-205
    • /
    • 2010
  • 실내 건축내장재로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는 널리 사용되는 재료이지만, MDF 합판과 표면재의 바인더로 사용되는 포름알데히드 수지의 유리 포름알데히드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방산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위해 본 연구에서는 포름알데히드 흡착성능이 있는 축합형 탄닌을 활용하여 표면재에 적용 하였다. 표면재에 사용되는 수지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와 축합형 탄닌을 사용하여 합성하였으며 반응여부는 FT-IR 스펙트럼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전단응력, 충격강도, 테이프에 의한 접착력 실험, 연필경도, 광택도 그리고 접촉각 등과 같은 표면물성을 측정하였고 미반응 포름알데히드를 분석하기 위하여 유리 포름알데히드 분석법과 소형챔버법이 이용되었다. 결과에 따르면 전단응력과 충격강도는 축합형 탄닌의 함유량이 10 wt.% 일 때 가장 우수한 접착물성을 나타내었지만, 연필경도와 광택도의 경우에는 축합형 탄닌의 함유량이 20 wt.% 일 때 최적의 물성을 발현하였다. 또한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은 59 ${\mu}g/m^2{\cdot}h$ 로 축합형 탄닌의 첨가에 의해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을 약 3배 정도 감소 시킬 수 있었다.

목질 섬유판 제조에 있어 도계부산물인 닭털의 목섬유 부분적 대체화 탐색 (Investigating the Partial Substitution of Chicken Feather for Wood Fiber in the Production of Wood-based Fiberboard)

  • 양인;박대학;최원실;오세창;안동욱;한규성;오승원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4호
    • /
    • pp.577-584
    • /
    • 2018
  • 본 연구는 목질계 섬유판 제조에 있어 목섬유에 대한 도계부산물인 닭털의 부분적 대체화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닭털은 주로 케라틴계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형적으로 목섬유와 큰 차이는 없었다. 닭털의 전처리 방법에 따른 포름알데히드 흡착능을 비교한 결과, 닭털을 고온/고압에서 처리하고 분쇄한 우모분에서 가장 높았다. 한편 일반 가위로 절단한 닭털과 이를 가정용 믹서로 고해시킨 닭털의 폼알데히드 흡착량을 dinitrophenylhydrazine법으로 측정한 결과 차이는 없었다. 닭털, 고해 닭털, 우모분을 각각 목섬유의 전건무게를 기준으로 5 wt%로 혼합하여 제조한 중밀도섬유판(MDF)의 물성과 폼알데히드방출량은 닭털의 전처리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이 측정치를 목섬유만으로 제조한 MDF와 비교하였을 때, 두께팽윤율과 폼알데히드방출량은 크게 개선되었다. 따라서 현재 생산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요소수지를 이용한 MDF 제조에 있어 목섬유와 함께 일정한 양의 닭털, 고해 닭털 또는 우모분을 첨가할 경우 치수안전성과 폼알데히드방출량이 개선된 MDF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MDF제조에 있어 닭털의 사용은 현재 상황에서 목섬유와 비교하여 원료 확보의 어려움과 높은 단가로 경제성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경제성 향상을 위하여 중소형 도계장에서 발생하는 닭털을 이용하거나, 동물성 사료의 금지에 대한 대비책 및 인플루엔자 감염 조류에 대한 환경적 처리 방안으로 닭털의 섬유판 원료에 대한 부분적 대체화 기술은 향후 사용 가능성이 충분할 것으로 판단된다.

콘 칼로리미터를 이용한 건축 바닥재의 연소거동과 가스유해성 평가 (Burning Behavior of Flooring Materials in the Cone Calorimeter and Evaluation of Toxic Smoke)

  • 이장원;이봉우;권성필;이병호;김희수;김현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45-53
    • /
    • 2008
  • 건축 내장재 중 바닥재의 연소거동을 살펴보기 위해 열류량 $50kWm^{-2}$의 콘 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7종의 국산 바닥재를 이용하여 각각의 연소 거동을 최대 열방출률과 전체 열방출량 그리고 평균 열방출률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실험한 결과 중밀도섬유판(MDF) 바닥재가 다른 바닥재에 비해 높은 열 방출 특성을 나타났다. 또한 MDF 바닥재는 연소 시 질량의 감소가 다른 바닥재보다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소 시 발생하는 가스 발생량을 측정하였는데, PE계 섬유판(PE fiberboard flooring)과 PVC계 plastic resin sheet에서 높은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광소멸면적을 통해서 가스 평균 방출량을 살펴보면 일산화탄소나 이산화탄소와 같은 경향을 나타났다. 바닥재의 가스유해성 평가는 쥐의 행동 정지시간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MDF 바닥재에서 유해성이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목질(木質)과 비목질계(非木質系) 섬유(纖維)를 활용한 복합재(複合材) 연구(硏究) - 폴리프로필렌의 섬유장(纖維長)과 공정변수(工程變數)의 영향(影響)을 중심(中心)으로 - (Studies on Composites Using Wood and Nonwood Fibers - Effects of Polypropylene Fiber Length and Process Variables -)

  • 이필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5권2호
    • /
    • pp.33-44
    • /
    • 1997
  • This study was execu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olypropylene fiber length and process variables of the composites made from wood fiber and nonwood fiber mixed formulations. As a nonwood fiber the polypropylene with 3 denier thickness of tow condition was selected and cut into each length of 0.5, 1.0, 1.5, 2.0 and 2.5cm to mix with wood fiber. And also western hemlock wood fiber for medium density fiberboard was prepared. First, to decide an adequate polypropylene mixing fiber length, the composites of 1.0g/$cm^3$ density were made from 10% polypropylene fiber by each of five lengths and 90% western hemlock fiber mixed formulations. Thereafter as the experiments of process variable, the composites applied with adequate polypropylene fiber length(1.5cm) were made from 4 density levels (0.6, 0.8, 1.0, 1.2g/$cm^3$). 3 mixed formulations of wood fiber to polypropylene fiber(95 : 5, 90 : 10, 85 : 15), and 3 mat moisture contents(5, 10, 20%). According to the results and discussions it was concluded as follows ;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were shown improved tendency. as polypropylene fiber length was increased in the range from 0.5 to 1.5cm, but shown decreasing tendency from 2.0 to 2.5 cm. Accordingly, it was shown that polypropylene fiber length is limited to 1.5cm or less length in mixing wood fiber and polypropylene fiber by turbulent air mixing process. As the densities of wood fiber-polypropylene fiber composites were increased,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were clearly improved. Also they were shown significantly increasement statistically between densities respectively. In the mixed formulations,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were shown only slightly improvement, as they changed from 95 : 5 to 85 : 15 in wood fiber to polypropylene fiber. Despite of increasement of mat moisture content, mechanical properties were not improved significantly but physical properties were improved somewhat in wood fiber-polypropylene fiber composites.

  • PDF

Air Pollutant Emission Factors from Composite Wood Products Manufacturing in Korea

  • Lee, Eun-Jung;Jung, Dong-Il;Kim, Dai-Gon;Lee, Sue-Been;Kang, Kyoung-Hee;Hong, Ji-Hy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23권E2호
    • /
    • pp.57-65
    • /
    • 2007
  • In Korea, there is a general lack of information available on air emissions from industry. The reasons for this include the lack of regulatory requirements for emission monitoring, limited information on specific industries, and difficulties in monitoring certain sources. This paper presents the first detailed air pollutant emission factors from composite wood product manufacturing in Korea. This study introduced emission factors for wood-based panels such as plywood, particle board (PB), and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The emission factors of particulate matters (PM) and hazardous air pollutants (HAPs) from MDF were higher than that from other wood products. The concentration of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s) for hot press from wood-based panels was higher than drying or gluing processes. Emissions data from NPIP were compared to the data from the suggested emission factors in this study and the US EPA's. The data from our emission factors were closer to the observed results than the data using the US EPA's emission factor.

Antimony Trioxide가 첨가(添加)된 내화도료(耐火塗料)의 도막(塗膜)이 목질(木質) 판상재료(板狀材料)의 내화성(耐火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Antimony Trioxide-containing Coating on Fire Retardancy of Wood-based Materials)

  • 윤영기;이필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0권2호
    • /
    • pp.31-42
    • /
    • 1992
  • In this study,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antimony trioxide-containing coat on fire retardancy of plywood, particleboard and medium density fiberboard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through ISO ignition test and inclined panel test with non-coated ones.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allows: Any treated materials was not ignited in inclined panel test with 5 minutes, but only particleboard among treated ones burned in ISO ignition test with fairly delayed time. The weight loss rate of plywood decreased with the increased addition level of fire-retardant and the least values were obtained in particleboard and MDF at addition level of 7% and 5% respectively. Carbonized area of wood based materials decreased with the increased addition level of fire retardant. The temperatures of back in plywood, particleboard treated with fire-retard ant coat containing 7% $Sb_2O_3$ showed the lowest but MDF did not show any effectiveness with the increased addition level. The first flash time of plywood treated with fire retardant coat containing 9% $Sb_2O_3$, MDF and particleboard treated with fire retardant coat containing 7% $Sb_2O_3$ were 257sec., 286.4sec., 165.4sec.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