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cinal mushroom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37초

버섯균류에서 산충격에 의한 Laccase의 유도 (Induction of laccases under acidic stresses in several mushroom-forming fungi.)

  • 김근숙;금잔디;최형태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4-56
    • /
    • 2002
  • Induction of laccase isozymes under acidic stresses were determined in Trametes versicolor, Pleurotus ostreatus and Ganoderma lucidum isolated in Korea, and in Lentinus squarrosulrs isolated in Thai. When cultures of these fungi were transferred to acidic liquid media (pH 3.0-4.0), the activities of secreted extralcellular laccases were increased 60% and 400% in T. versicolor and G. lucidum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such induction in L. squarrosulus or P. ostreatus. In L. squarrosulus, different laccase isozymes in the electrophoretic mobilities were induced under acidic conditions.

기능성 식품에 관하여 (Physiologically Functional Foods)

  • 이종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01-418
    • /
    • 1999
  • Many plants and animal have long been known to have medicinal effects and therefore have been used as medicines. There are many substances that show various pharmacologic efficacy such as anti-tumor efficacy, anti-inflammatory efficacy, cholesterol-lowering efficacy, anti-coagulant of blood efficacy and anti-bacterial efficacy. I summarized the recent advances in research on physiologically functional foods. The pharmacological efficacy of dietary fiber, chitin & chitosan, DHA(docosahexaenoic acid), mushroom, alginic acid and herbs have selected as topices for discussion. I was examining the anti-coagulant activity of herbs, I discovered that Eugenia caryophyllata T. (clove) had a relatively high anti-coagulant activity.

  • PDF

표고버섯의 배양적 특성 및 자실체 형성에 관한 연구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of fruiting body in Lentinula edodes)

  • 이원호;김인엽;고한규;김선철;최선규;노종현;박흥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4-28
    • /
    • 2014
  • 표고버섯균의 균사생육에 적합한 배지로는 PDA 배지, MYA 배지로 조사되었으며 배양환경 조사로 균사생육에 적합한 온도는 $25^{\circ}C$를 나타났다. 영양원 선발 결과 탄소원은 2%의 농도에서 Malt extract를 사용하였을 때 균사생장 및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질소원은 0.2%의 농도에서 Yeast extract를 사용하였을 때 균사생장 및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표고버섯(산조701호)의 수종별 추출액 배지를 이용한 결과, 신갈나무,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밤나무에서는 PDA(대조구)와 같이 생장이 우수하였다. 배양기간에 따른 버섯 생산성을 조사 해본 결과, 배양 110일에서 120일에서 우수한 수확량을 보였다. 재배수종에 따른 생산성은 굴참나무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버섯으로부터 새로운 암전이 억제물질 개발을 위한 혈관신생 억제물질의 탐색 (Screening of mushroom having anti-angiogenic activity for development of new cancer metastasis Inhibitor)

  • 정승찬;김재호;박정식;이종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4-47
    • /
    • 2003
  • 버섯으로부터 새로운 암전이 억제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7종 52균주의 자실체 (또는 균사체)에 대한 다양한 추출물들을 제조한 후 이들의 암전이 억제에 관련된 혈관신생 억제활성을 수정란을 이용하여 Choriollantoic membrane (CAM) assay로 조사하였다. 7종 52균주의 버섯에 대한 물, 에탄올, 메탄올 추출물 중에서 장수버섯(Fomitella fraxinea) ASI 17003과 17009의 물 추출물과 비늘버섯(Pholiota sp.) ASI 24008과 잎새버섯(Grifola frondosa) ASI 9017의 에탄올 추출물 그리고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 ASI 74012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10{\mu}g/egg$농도일 때 62.5%~68.8%의 높은 혈관신생 억제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추출 수율과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비늘버섯 ASI 24008을 혈관신생 억제효과 우수버섯으로 최종 선정하여 현재 이들의 암전이 억제 기작 규명을 위한 정제 실험을 실시하고 있다.

  • PDF

Spirostane-type steroidal saponin from Allium hookeri roots with mushroom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 Kim, Yun Na;Lee, Jae Sun;Ock, Kwang Ju;Jeong, Eun Ju
    • 한국자기공명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87-92
    • /
    • 2019
  • Allium hookeri (Liliaceae) has been received the increasing attention as a bioactive resource due to its potent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oxidant, anti-obesity, anti-microbial and lipid-regulating activities. The beneficial effects of A. hookeri are known contributed from the high content of organosulfur compounds in A. hookeri. Though a variety of articles demonstrated that A. hookeri contains 'saponin' as a bioactive constituent, the scientific evidence to prove it was limited.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attempted to identify saponin contained in A. hookeri through chromatographic isolation and NMR spectroscopic methods. As a result, a spirostane-type steroidal saponin (1) has been successfully isolated from the methanolic extract of A. hookeri roots. The structure of 1 was elucidated by extensive 1D and 2D spectroscopic methods including 1H-NMR, 13C-NMR, 1H-1H COSY, HSQC, HMBC and NOESY; identified as (3β, 22R, 25S)-spirost-5-en-3yl O-6-deoxy-α-L-mannopyranosyl-(1→4)-O-6-deoxy-α-L-mannopyranosyl-(1→4)-O-[6-deoxy-α-L-mannopyranosyl-(1→2)]-β-D-gluco pyranoside. 1 showed the significant inhibitory activity on mushroom tyrosinase with IC50 values of 248.7 μM while the inhibition on alpha-glucosidase was not significant.

내장산 국립공원 고등균류의 자원이용적 특성에 따른 발생 (Occurrence according to Resource Utilization Characteristics of Higher Fungi in Naejangsan National Park)

  • 김종영;장석기;김미숙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70-283
    • /
    • 2017
  • 내장산 국립공원을 2004년~2011년 및 2013년까지 고등균류를 조사한 결과, 총 2문 7강 21목 74과 229속521종이 조사되었으며, 이중 주름버섯목(Agaricales) 24과 99속260종, 그물버섯목(Boletales) 10과 30속 59종, 무당버섯목(Russulales) 5과 8속 53종 및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5과 33속48종 등 4목이 전체 종수의 80.6%(420종)를 차지하고 있었다. 가장 많은 종이 포함된 분류군은 그물버섯과와 무당버섯과로 44종이었으며, 주름버섯과(35종), 구멍장이버섯과(29종) 및 광대버섯과(27종)의 순으로 출현 종의 수가 많았다. 이를 다시 서식환경별로 세분해 보면, 외생균근성버섯은 21과 44속192종(36.9%)이 분류되었는데 이중 독성 버섯 63종, 식 약용 버섯 79종, 식 독 불명 버섯 43종이었고, 목재 및 낙엽부후균은 41과 118속 199종(38.2%)으로 이중 독성 버섯 14종, 식 약용 버섯 85종, 식 독 불명 버섯 90종이었으며, 지상균은 29과 66속121종(23.2%)으로 독성 버섯 8종, 식 약용 버섯 54종, 식 독 불명 버섯 47종 등으로 각각 조사되었다. 9종은 위의 그룹에 해당되지 않는 서식처를 갖고 있었다. 대부분의 독성 버섯, 식 약용 버섯 및 식 독 불명 버섯은 7월~9월 사이에 집중하였고, 해발고도에서는 200~299 m인 지역에서 발생이 매우 높았으며 700 m이상 지역에서는 발생이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환경 요인별에서는 평균기온 $25.0{\sim}28.9^{\circ}C$(최고기온 $30.0{\sim}33.9^{\circ}C$, 최저기온 $21.0{\sim}24.9^{\circ}C$), 상대습도 73.0~80.9% 및 강수량 400.0 mm 이상일 때 대부분의 버섯류의 발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약박에서 재배한 느타리버섯의 성장 및 저장 중 품질 특성의 비교 (The Comparison of Growth and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the Storage of Pleurotus ostreatus Cultivated in the Remnants of Medicinal Herb Extracts)

  • 전중호;고병섭;김주호;남상필;엄영란;홍상미;황학수;박선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11-216
    • /
    • 2009
  • 일반적으로 폐기 처분하거나 비료로 재활용하는 한약을 추출하고 남는 한약박을 발효하여 영양분으로 첨가하는 팰릿 대신 폐면과 섞어 균상배지로 사용하여 느타리버섯을 재배할 때 수확량과 저장성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또한, 한약박은 불특정 한약재들이 섞여 있으므로 이로 인해 문제가 나타날 수도 있으므로 한약박의 성분이 느타리버섯으로 전이되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한약박 70%나 100%에서 느타리버섯을 재배할 때 질병이 생겨 고사되는 버섯의 수도 적었고, 성장속도도 빨라서 수확량도 많았다. 폐면과 펠릿을 이용한 대조군과 한약박을 배지에서 재배한 처리군들의 HPLC chromatogram에 차이를 전혀 나타내지 않았고 지표물질로 사용한 glycyrrhizin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즉, 한약박의 성분 자체가 그대로 전이되지는 않았고, 한약박에 함유된 성분을 영양소로 이용하여 버섯의 품질을 향상시켰다. 한약박을 70%나 100%를 사용한 배지에서 재배된 느타리버섯의 저장성이 향상되어 저장기간 동안 중량 감소가 가장 적었고, 갓과 자루의 경도의 저하도 가장 적었다. 그러나 외관의 품질을 나타내 주는 색도의 변화는 배지 종류에 영향이 적었다. 결론적으로 한약박을 70% 이상을 배지로 사용하였을 때 한약성분의 직접적인 전이는 없어서 버섯의 상품성을 저하시키지 않았으며 성장률이 빠르며 수확률도 많았고, 조직이 치밀하여 저장성도 향상시켰다. 그러므로 한약박을 느타리버섯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버섯 재배에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추출방법별 식용 및 약용버섯류의 총 당함량 비교분석 (Total sugar contents of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s comparative analysis by the extraction method)

  • 조재한;박혜성;한재구;이강효;성기호;전창성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99-303
    • /
    • 2014
  • 이번 연구에서는 식용 및 약용버섯 자실체를 가지고 버섯의 주요 기능성 성분인 총 당의 함량을 추출방법을 달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열수추출, 산추출, 알칼리 추출을 통해 총 당 측정법으로 미량의 시료에 적합한 페놀-황산법으로 측정하였다. 표준 곡선은 glucose solution을 사용하여 작성하고 측정한 흡광도를 표준곡선에 적용하여 시료의 농도를 얻었다. 열수추출에서는 동충하초가 658.4(${\mu}g/g$)로 가장 높았고, 산추출과 알칼리 추출에서는 운지버섯이 각각 649.7(${\mu}g/g$)와 679.0(${\mu}g/g$)로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추출방법별로 열수추출과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로 총 당 함량을 정량한 결과 열수 추출에서는 동충하초, ASI 7025가 높았고, 1 hr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및 2 hr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에서는 운지버섯, 꽃송이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각기 다른 추출용매와 추출방법에 따라서 추출되는 총 당 함량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당뇨유발 흰쥐에 있어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함박잎새버섯의 효과 (Effects of Hanbag Mushroom(Grifola frondosa) on Oxidative Stress in Diabetic Rats)

  • 이순이;이창윤;박영철;김종봉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1호
    • /
    • pp.1571-1575
    • /
    • 2007
  • 본 연구는 당뇨병으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함박잎새버섯분말의 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SD계 흰쥐를 STZ로 당뇨를 유발하여 간 및 신장 조직에서 조사하였다. 또한 당뇨흰쥐에 함박잎새버섯분말 1-2% 첨가하여 6주간 식이하였다. 산화적 스트레스의 지표물질인 LPO를 비롯하여 유발원 XOD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에 따른 간조직 손상 확인을 위해 혈청 ALT와 AST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특히 함박잎새버섯분말의 항산화적 효능을 위해 이들 지표물질들과 더불어 항산화체계의 중요 요소인 GSH 농도와 GST 활성도를 당뇨군, 당뇨-잎새버섯분말투여군 그리고 정상군에서 측정하였다. 당뇨군은 정상군과 비교하여 LPO 농도를 비롯하여 XOD 활성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특히 이러한 결과로 추정되는 간 조직 손상이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ALT 및 AST 활성도가 혈청에서 확인되었다. 그러나 당뇨-잎새버섯분말투여군에서는 LPO 농도, XOD 활성도를 비롯하여 조직손상의 지표인 ALT 및 AST 활성도가 당뇨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항산화물질인 GSH 농도는 당뇨군 및 당뇨-잎새버섯분말투여군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GST 활성도는 당뇨-잎새버섯분말투여군이 당뇨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따라서 당뇨유발성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잎새버섯분말의 효능은 GSH 농도 변화보다 GST 활성도를 증가시키고 또한 산화적 스트레스의 유발원인 XOD 활성도 감소의 유도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결론적으로 당뇨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며 조직손상을 유발한다. 그러나 함박잎새버섯분말은 항산화물질 및 효소계의 활성도를 증가시켜 당뇨유발-산화적 스트레스 감소를 유도하여 조직 손상을 감소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약용버섯의 계통분류 및 국내유통 Inonotus속내 종간 구별을 위한 신속동정법 개발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medicinal mushroom and taxonomical positions of their commercial products)

  • 김성윤;정민정;김기영;박재민;김문옥;문동오;이태호;이재동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52-59
    • /
    • 2005
  • 국내유통약용버섯의 분류체계를 확립하고 이들 속 및 종간의 유연관계확립을 위하여 계통학적 정보를 지니고 있는 ITS부위의 염기서열을 밝히고 ITS1과 ITS2부위의 다양한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분류학적 위치를 확립하였고, 시판 I. obliquus 종의 진위여부와 계통분류학적인 유연관계 확립 및 종 특이적인 유전자 탐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약용버섯으로 주로 시판되고 있는 국내유통균주는 총 6개의 속(Phellinus, Inonotus, Sparassis, Fomes, Ganoderma, Hericium)으로 나누어짐을 알 수 있었고 그 중에서 기존에 잘 알려진 상황버섯과 최근 들어 수입양이 급증하고 있는 차가버섯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되어진 일명 차가버섯으로 유통 중인 15개 제품 중 중국에서 수입되어진 59번 균주가 P. pini로 확인되었으며 일본에서 수입되어진 51, 52번 균주가 P. baumii와 P. linteus와 유사종 혹은 동일종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I. rheades(AY237731)와 I. radiatus(AY354217) 및 F. fomentarius(AY354213)는 NCBI 등록 시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본 실험에서 조사되어진 30번 균주 F. fomentarius가 정확한 말굽버섯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