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35초

인문계 고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우울과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초점적 주의와 자기비난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on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in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Mediation Effects of Self-focused Attention and Self-Criticism)

  • 김슬기;이동귀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5권2호
    • /
    • pp.243-264
    • /
    • 2018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우울 및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기초점적 주의와 자기비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고등학생 273명(남학생 83명, 여학생 190명)을 대상으로 약 3주간의 간격을 두고 총 2회에 걸쳐 사회부과 완벽주의, 사회불안, 우울, 자기초점적 주의, 자기비난의 척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 우울, 사회불안, 자기초점적 주의, 자기비난 사이에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초점적 주의를 거쳐 우울로 이행되는 매개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비난을 거쳐 우울로 이행되는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우울 대신 사회불안을 기준변인으로 했을 때도 동일한 매개효과 패턴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초점적 주의를 매개로 하여 각각 우울 및 사회불안으로 이행되는 과정을 경험적으로 밝혔고, 특히 사회불안의 경우에는 한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Clark와 Wells의 사회불안장애 인지모델을 적용하는 것의 타당성에 대한 간접적인 증거가 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기혼 직장인의 성인애착이 직무동기에 미치는 영향 : 부부관계의 매개효과 (Effects of Adult Attachment of Married Employees on Job Motivation: Mediating Effect of Marital Relationship)

  • 정지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85-20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직장인의 성인애착, 직무동기, 부부관계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남 지역의 기혼직장인 370명을 연구 대상으로 2016년 9월 10일~10월 14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증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 Pearson 상관관계,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연령대에 따라 애착회피, 부부관계, 직무동기, 학력에 따라 애착회피, 부부관계, 결혼기간에 따라 애착회피, 부부관계, 직책에 따라 직무동기, 가계의 연평균 소득에 따라 부부관계, 근무형태에 따라 부부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지만, 애착회피와 직무동기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애착회피와 부부관계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지만, 직무동기와 부부관계 간에서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성인애착과 직무동기의 관계에서 부부관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애착불안이 직무동기에 주는 간접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완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직장 내 직무동기,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상담 개입이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개개인의 이러한 특징 또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대학생의 신체적, 심리적 증상과 대학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Psychological Symptoms and Campus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 이용호;김희경;김남송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483-492
    • /
    • 2013
  •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일반적 특성, 건강수준에 따른 신체적 증상, 심리적 증상,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및 대학생활만족도 차이를 파악하고 신체적 증상, 우울, 불안의 심리적 증상과 대학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경로분석 결과, 연령은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하여 대학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신체적 증상, 우울, 불안은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하여 대학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신체적 증상은 긍정적인 영향을, 우울과 불안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체적 증상, 심리적 증상과 대학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와 크기 및 경로를 확인하였다.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와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in School-Age Children)

  • 신희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08-819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essors and coping strategies of school -age children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ful life events and health symptoms and the effects of coping and trait anxiety which is theoretically considere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health symptom.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639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fourth to sixth grade living in Seoul. Of the 639 subjects, 348 were boys and 291 were girls. The mean age was 11.35 (SD=.86). The Feel Bad Scale(FBS), Schoolager's Coping Strategy Inventory(SCSI), Spielberger's Trait Anxiety Scale for Children(STAIC), and Health Symptom Questionnaire (HSQ) were adapted for this study. A pilot study was undertaken to ascertai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struments. The Cronbach alphas of FBS, SCSI, STAIC and HSQ were from .81 to .92. The Researcher and a research assistant visited the school and data were collected in the class using the questionnaire method after an explanation of the purpose and procedures was given to the children. Data collection was done during the period between Nov.25 to Dec.19, 1995. Using the SAS statistical program, percentage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 a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for the FBS was 204.79(range : 48-472)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 The most severe stressors perceived by children were parental divorce and death or illness of family members. The most frequently experienced stressful life events were conflict with siblings and being home alone. 2. The mean score for the SCSI was 57.36(range : 9-118)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 The most frequently used, and perceived as helpful, coping strategies were distraction and cognitive activities. 3. The mean score for the HSQ were 20.7(range : 0-81)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 and sex. The percentage of the children answering that they perceived their health state as not good was 3.9%. 4. The mean score for the STAIC was 33.76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 and sex. 5.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tressful life events and health symptoms ( r=.53, p<.01). Also, Stressful life events were postively related with coping strategies(r=.39, p<.01). Trait anxiety was highly correlated with health symptoms(r=.72, p<.01). 6. To examine the multivariate effects of the variables to health symptoms, multiple regression was performed. Stressful life events, coping, trait anxiety, and health concerns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variables. Explanation of the health symptoms by these variables was 56.78%. The study revealed that stressful life events correlated with health symptoms in school-age children and coping and trait anxiety had mediating effects on this relationship. The implication for nursing is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supportive interventions for high risk population to decrease health problems due to stress. Also, it is recommended that a study be conducted to explore protective factors for the prevention of health problems in children.

  • PDF

중동호흡기증후군에 대한 공포감이 병원종사자와 일반인의 사회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외상 후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Fear about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Event of Hospital Worker and General Public on Socio-Psychological Health : Mediating Effect of Posttraumatic Stress)

  • 김신일;김태형;최말례;정주리;권혁민;김형욱;김병조;은헌정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5-52
    • /
    • 2019
  •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ear of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on socio-psychological health during an outbreak of MERS and the post-traumatic stress as a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ocio-psychological health. Methods : Visual Analog Scale, Impact of Event Scale -Revised, Psychosocial well-being index short form was implemented for 150 medical persons who worked at the hospital in which exposure to MERS cases had been confirmed and 96 ordinary people. 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e effect of fear of MER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ost-traumatic stress between fear and socio-psychological health. Results : The higher the fear, the lower the socio-psychological health in both healthcare workers and the public (r=0.32, p<0.01) and the higher post-traumatic stress (r=0.32, p<0.01). But,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only healthcare workers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of post-traumatic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and socio-psychological health (${\beta}=0.45$, t=6.33 p<0.001), (${\beta}$ value : 0.39>0.26). Conclusion :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post-traumatic stress can indirectly lead to a negative effect on the socio-psychological health of healthcare workers when under the fear of MERS and shows adverse effects on psycho-social wellbeing. This suggests that clinical intervention and psycho-social approach aiming at reducing post-traumatic stress is important to maintain mental health during crisis development.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 유아의 정서지능 및 문제행동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ttitudes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blem Behaviors)

  • 조수정;도현심;김상원
    • 아동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67-183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ttitudes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blem behaviors. The question as to whether emotional intellig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ttitudes and problem behaviors was also explored. A sample of 307 preschool children were used as subjects. Mothers rated their levels of acceptance toward their children's emotions, while teachers reported on the children's emotional abilities and behavioral problems.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regression analyses. Our results indicated that mothers' controlling attitudes were associated with low levels of worry-anxiety.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children with high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low levels of worry-anxiety, hostility-aggression, and hyperactivity-inattention. While multiple 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had differential impacts, the self-control factor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for all the problem behaviors. It was further found that a mother's receptive attitude was related to higher levels of self-awareness in children. Instead of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it was reveal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had greater effects upon problem behaviors than maternal attitudes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아동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비관성 및 정서적 문제의 관계: 비관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Mediating Effects of Pessim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Emotional Problems in Children)

  • 정윤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1-1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1)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pessimism, and emotional problems represented by levels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children; and (2) whether or not pessimism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emotional problems. 441 fifth and sixth graders residing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ir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in school class settings.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s product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obtained using SPSS (version 18.0), and tests of the mediation were performed using SEM with AMOS (version 20).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pessimism, and emotional problems exist. Also, pessimism appears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emotional problems. These results seem to indicate that mitigating pessimism could reduce the possibility of experiencing emotional problem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in children who have strong beliefs to live up to the high standards, set unrealistically by others.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우울·불안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 과의존을 통한 자존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through Internet Overdependence)

  • 김지연;김현하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8권2호
    • /
    • pp.269-290
    • /
    • 2021
  • 본 연구는 중학생들이 경험하는 학업스트레스와 우울·불안의 관계를 인터넷 과의존이 매개하여 중학생의 우울·불안을 자존감이 조절하는지에 대한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업스트레스 척도, 인터넷 과의존 척도, 우울·불안 척도, 자존감 척도를 이용하여 2019년 공개된 13차년도 한국복지패널 아동데이터 383명 자료(중학교 1학년 114명, 2학년 138명, 3학년 131명)에 대해 SPSS 21.0과 SPSS PROCESS Macro 모델14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가 우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터넷 과의존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인터넷 과의존과 우울·불안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학업스트레스가 우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인터넷 과의존이 이를 매개하며, 인터넷 과의존과 우울·불안의 관계를 자존감이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가 증가하면 인터넷에 과의존을 하게 되며, 우울·불안이 증가하여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해 자존감이 보호요인으로 중요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시사점,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의 사회불안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Relational Aggression of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Girls)

  • 이화목;김현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352-361
    • /
    • 2019
  • 본 연구에는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의 사회불안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능력이 매개하는지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지역 초등학교 4, 5, 6학년 여학생 177명을 대상으로 사회불안척도, 정서조절능력척도, 관계적 공격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의 사회불안은 관계적 공격성과 정적 상관을, 정서조절능력 전체 및 하위요인인 문제 중심적 대처 지지추구의 긍정적 절서조절과는 부적 상관을 감정발산, 공격적 표현, 회피와 같은 부정적 절서조절과는 정적 상관을, 정서조절능력은 관계적 공격성과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의 사회불안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능력이 완전매개 하였다. 셋째, 사회불안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능력의 하위요인별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문제 중심적 대처 지지 추구와 같은 긍정적 정서조절은 부분 매개를, 감정발산, 공격적 표현과 회피와 같은 부정적 정서조절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와 초등상담의 실천적 함의 및 한계점과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상담자의 성인애착과 상담자 발달수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역전이 관리 능력의 매개효과 (The Mediated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Adult Attachment and Development Levels of Counselors)

  • 정재선;홍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632-644
    • /
    • 2021
  • 본 연구는 상담자의 성인애착과 상담자 발달수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역전이 관리 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 사례 당 5회기 이상 언어적 상담을 실시한 경험이 있는 상담자 38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 기능을 이용하여 3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21과 AMOS 21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고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구성하여 타당성과 적합도,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는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역전이 관리 능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둘째, 상담자의 애착회피는 역전이 관리 능력을 통하여 상담자 발달수준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p<.05). 셋째, 상담자의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는 자아탄력성과 역전이 관리 능력의 이중매개를 통하여 상담자 발달수준에 영향을 주고 있음이 확인되었다(p<.001).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의의와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