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t-like flavor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1초

천연 조미향상물질의 첨가에 의한 Maillard 반응에서 Meat-like Flavor의 개발 (Development of Meat-like Flavor by Maillard Reaction with Addition of Natural Flavoring Materials)

  • 고순남;남희섭;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39-846
    • /
    • 1997
  • Meat-like flavor를 생성하고자 당과 아미노산 혼합액인 0.2 M cystine-0.1 M lactose-0.1 M maltose를 대조구로 하여 천연 조미향상물질(HVP, HAP, YE)을 첨가하였다. 천연 조미향상물질의 첨가는 대조구에 농도별로 단독 첨가하였으며 단독 첨가시 선정된 농도의 HVP, HAP나 YE를 혼합하여 그 영향을 비교하였다. Meat-like flavor 생성에 유사한 조건인 $100^{\circ}C$에서 8시간 동안 마이야르 반응시킨 반응액은 흡광도, 색, 관능적 성질 및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HVP, HAP, YE를 첨가 농도별로 첨가하였을 때 반응 시간과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420 nm와 278 nm에서의 흡광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첨가 농도별 색의 변화는 HVP, HAP와 YE 모두 b값은 증가 경향을 나타낸 반면 L값은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 검사에서 meat flavor에 근접한 각 조미향상물질의 첨가 농도는 1.16% HVP, 0.94% HAP, 1.48% YE이었고 가장 meat flavor에 근접한 반응액은 대조구에 HVP 1.16%와 HAP 0.94%를 혼합 첨가한 반응액이었다. 대조구와 HVP 단독 첨가구 및 HVP와 HAP 혼합 첨가구에 대한 향기 성분을 비교하고자 GC/MS로 분석한 결과 hydrocarbon류 1종, aldehyde류 9종, ketone류 5종, ester류 1종, alcohol류 5종, aromatics(benzene)류 2종, furan류 2종, sulfur compound류 1종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Maillard 반응 생성물을 이용한 천연 육류향의 제조 (Development of Natural Meat-like Flavor Based on Maillard Reaction Products)

  • 문지혜;최인욱;박용곤;김윤숙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29-13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리보오스와 저염 및 저 Glu 소맥글루텐산 가수분해물을 기본 기질로 하여 기존의 시스테인, 메티오닌, 티아민 등의 전구체로 반응시킨 육류향과 이를 버섯분말 및 지질전구체 등으로 대체하여 반응시킨 육류향의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여 천연 육류 향미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기본 기질로 식물단백 가수분해물은 염농도에 따른 소맥글루텐 산 가수분해물과 저 Glu 소맥글루텐 산 가수분해물을 사용하였으며 향 특성을 검토하였을 때 염 7%의 저 Glu 소맥글루텐 산 가수분해물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였으며 황화물 채소로 마늘 분말을 기본 기질로 하였다. 기존의 synthetic meat flavor의 전구체를 omission test에 의해 검토하였을 때 시스테인은 육류향의 기여도가 컸으며 메티오닌과 티아민 및 레시틴은 영향이 적어 다른 소재로의 대체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Natural meat flavor의 전구체로 효모 자가분해물 적용시 이취가 강하여 적합하지 않았으며 마늘 분말 대신 마늘 착즙 분말로 대체가 가능하였다. 버섯분말의 경우 표고버섯을 protease로 효소처리하여 건조시킨 분말이 육류향 생성에 적합하였으며 느타리버섯은 고유의 향긋한 향미가 감소되어 적합하지 않았다. 지질전구체의 경우 라드를 적용하였을 때 다른 지질에 비해 느끼한 향 특성이 적당하고 1%의 농도에서 육류향과 황내의 향 특성이 조화로웠다. 지질인 라드와 인지질인 레시틴을 첨가하여 비교하였을 때 레시틴 첨가와 라드와 레시틴의 혼합 첨가보다 1% 농도의 라드를 단독 첨가하는 것이 좋은 육류향을 생성하였다. 따라서 기본 기질로 소맥글루텐 산 가수분해물을 저염 및 저 Glu화 하였으며, 기존의 육류향 생성에 사용되었던 메티오닌 티아민 및 레시틴의 전구체를 마늘 착즙 분말과 버섯분말 및 라드로 대체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전체적인 향의 강도는 낮았으나 느끼하고 짠향이 감소되어 부드러운 육류향을 생성할 수 있었다.

닭머리 육수 제조를 위한 향신채소의 최적수준 (Optimum Amounts of Vegetables to Flavor Chicken Head Soup Base)

  • 최성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7-6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um amounts of vegetables to use for flavoring chicken head soup base. The effects of the amounts of ginger and onion on the sensory properties of chicken head soup base were examined, and the optimum amounts were determined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Sensory properties that were evaluated were yellowness, turbidity, bloody flavor, chicken-brothiness, organ meat-like flavor, and sweet taste. The increased amounts of ginger and onion led to a decrease in bloody flavor and organ meat-like flavor. The optimum levels of ginger and onion were determined to be 40g and 50g, respectively. Chicken head soup base prepared with optimum amounts of vegetables contained more arginine, tryptophan, inosine monophosphate (IMP), and hypoxanthine than plain chicken head soup base. It also had less hexanal, which is related to fat rancidity.

Meat-like Flavor 개발을 위한 당-아미노산 Model System에서의 Maillard 반응 (Development of Meat-like Flavor by Maillard Reaction of Model System with Amino acids and Sugars)

  • 고순남;윤석환;윤석권;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27-838
    • /
    • 1997
  • 본 연구는 meat flavor 생성에 관계가 있는 아미노산과 당으로 구성된 model system하에서 Maillard 반응을 시키면서 각각의 기질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반응시켜 끓인 혹은 구운 고기 향미에 가장 근접한 반응기질과 반응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반응 중 반응액의 특성은 관능적 특성과 흡광도 및 휘발성 성분을 비교하였고, 검토한 당과 아미노산은 각각 xylose, ribose, glucose, fructose, lactose, maltose, sucrose와 cystine, cysteine HCl, methionine, lysine HCl, glycine이었다. 반응 20시간동안 278 nm와 420 nm의 흡광도 변화로 얻은 반응 속도 상수를 비교한 결과, cysteine HCl을 제외한 4가지 아미노산과 혼합한 5탄당 혼합물이 6탄당이나 이당류와의 혼합물보다 높은 반응 속도 상수를 나타내었다. 또한 반응액의 pH는 반응 8시간 까지 감소하다가 거의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고, 반응 속도가 빨랐던 아미노산과 당 혼합물이 더욱 낮은 pH를 나타내었다. 끓인 고기와 구운 고기 향미에 근접하였던 단독 기질로는 $100^{\circ}C$에서 0.2 M cystine에 0.2 M lactose를 20시간, 0.2 M cystine에 0.2 M xylose를 16시간 가열한 반응액이었다. 혼합 기질의 경우는 0.1 M lactose와 0.1 M maltose 또는 0.1 M xylose를 혼합한 혼합당액에 0.2 M cystine을 첨가하여 $100^{\circ}C$에서 20시간 반응한 액이었다. 선정된 4가지 반응액의 GC/MS에 의한 휘발성 향기 성분은 관능적 결과와 유사하였으며, hydrocarbon류 8종, aldehyde류 10종, ketone류 6종, alcohol류 7종, aromatics (benzene)류 2종, ester류 1종, furan류 4종, base류 1종, sulfur compound류 5종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흑염소불고기의 조리법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 (The Recipe Standardization and Nutrient Analysis of Broiled Black Goat Meat)

  • 김상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69-275
    • /
    • 2001
  • The present research was designed to collect recipe of set up a standard recipe and analyze the nutrients of broiled black goat meat (a kind of native local foods in Busan and south provi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cipe for goat(lamb) meat was recorded in Sanlimkyounggae and Jungbosanlimkyounggae between 1715 and 1827. The goat meat was explained as food for health, rejuvenation and recuperation Since late 1800, it has been utilized for such use. The flavor of broiled black goat meat is influenced by seasonings, fruit juice, heating treatment and cooker. And it also could be affected by the method of slaughter and the sex of the goat. There are lot of element in seasoning. Red pepper paste, garlic and ginger holdback the bad smell and make the taste better. Onion help to retain the water and improve the flavor. Starch syrup, sugar and sesame oil make the meat smoother, glossier and more tasty. The meat is usually roasted on grill over charcoal. It helps to remove or suppress the bad smell and make the taste better. Softness and scent of the meat depend largely on the way to butcher. Female goat meat tastes smoother and smells better. Fruit juice also improve the softness of the meat. Energy per 100g of the 'broiled black goat meat' is 170kcal. There are protein (23g), fat(2.4g), Ca(159mg), Fe(1.1mg) and so on. Amino acid is mainly comprised of essential amino acid such as cystine, lysine, leucine, and arginine. Fatty acid consists primarily of unsaturated fatty acid like oleic acid, linoleic acid.

  • PDF

닭머리 육수 제조 조건의 최적화 및 성분 분석 (Optimization of Preparation Conditions and Analysis of Food Components for Chicken Head Soup Base)

  • 최성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68-477
    • /
    • 2011
  • Optimum preparation conditions for chicken head soup base were determined in terms of the effects of amount of chicken head and cooking tim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based on sensory properties. Sensory properties that were evaluated were yellowness, turbidity, bloody, chicken-brothy, organ meat-like, and fat-like flavor. All values of sensory characteristics increased remarkably with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chicken head and cooking time. The optimum amount of chicken head and cooking time were determined to be 1800 g and 150 minutes, respectively. Chicken head soup base had less fat, free amino acids, nucleotides, and its derivatives, but had significantly more cholesterol, sodium, and iron than whole chicken soup base. In flavor compound analysis, the amount of hexanal of the chicken head soup base, which is related to fat rancidity flavor, was 11-fold higher than that of the whole chicken soup base.

Umami Characteristics and Taste Improvement Mechanism of Meat

  • Md. Jakir Hossain;AMM Nurul Alam;Eun-Yeong Lee;Young-Hwa Hwang;Seon-Tea Jo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515-532
    • /
    • 2024
  • Taste is one of the five senses that detect vital information about what we are eating. Comprehending taste is crucial for enhancing the flavor of foodstuffs and high-protein foods like meat. Umami has global recognition as the fifth elementary taste, alongside sweetness, sourness, saltiness, and bitterness. Umami compounds are known to enhance the sensation of recognized flavors such as salty, sweet, bitter, and others. This could end up in greater food consumption by consumption by consumers. With the rising global population, meat consumption is rising and is projected to double by 2025. It is crucial to comprehend the umami mechanism of meat and meat products, identify novel compounds, and employ laboratory methodologies to gather varied information. This knowledge will aid in the development of new consumer products. Although very limited information is available on umami taste and compounds in meat through research data. This article discusses recent advancements in umami compounds in other foodstuff as well as meat to aid in designing future research and meat product development. Moreover, another objective of this review is to learn present techniques in foodstuffs to enhance umami taste and utilize that knowledge in meat products.

오징어 가공품의 냄새성분에 관한 연구 (Volatile Constituents of Processed Squid Product)

  • Chiaki Koiiumi;Toshiaki Ohshima;Lee, Eung-Ho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47-554
    • /
    • 1990
  • 오징어 가열향기의 전구물질부를 탐색하고, 연속증류장치로써 가열향기 성분을 추출한 후 중성, 염기성, 페놀성 및 산성구분으로 분획하여 GC 및 GC-MS로써 분석 동정하였다. 오징어 가열향기의 생성에는 80% 메탄올로서 추출되는 성분이 중요하였으며, 지질은 가열향기에 관여하지 않았다. 4가지 획분을 관능검사한 결과, 중성구분에서는 은은하면서 감미로운 냄새를, 염기성구분에 서는 탄매, 배소취 및 어취를 느낄 수 있었다. 오징어 가열향기로서 44성분이 동정 확인되었으며, 이들은 탄화수소 2종, pentanal, furfurylalcohol, hexanol, 2-phenylethanol 등 알데히드 5종, 케톤류 1종, 퓨란류 1종, dimethyl sulfide, dime-thyl-thiazole 등 함황화합물 3종. pyrazine류 7종, pyridine류 2종 및 아민류 1종 둥 10종의 함질소 화합물, 페놀류 2종, propionic acid, isopentanoic acid 및 n-hexanoic acid 등 10종의 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PDF

Status of meat alternatives and their potential role in the future meat market - A review

  • Lee, Hyun Jung;Yong, Hae In;Kim, Minsu;Choi, Yun-Sang;Jo, Cheor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10호
    • /
    • pp.1533-1543
    • /
    • 2020
  • Plant-based meat analogues, edible insects, and cultured meat are promising major meat alternatives that can be used as protein sources in the future. It is also believed that the importance of meat alternatives will continue to increase because of concerns on limited sustainability of the traditional meat production system. The meat alternatives are expected to have different roles based on their different benefits and limitations. Plant-based meat analogues and edible insects can replace traditional meat as a good protein source from the perspective of nutritional value. Furthermore, plant-based meat can be made available to a wide range of consumers (e.g., as vegetarian or halal food products). However, despite ongoing technical developments, their palatability, including appearance, flavor, and texture, is still different from the consumers' standard established from livestock-based traditional meat. Meanwhile, cultured meat is the only method to produce actual animal muscle-based meat; therefore, the final product is more meat-like compared to other meat analogues. However, technical difficulties, especially in mass production and cost, remain before it can be commercialized. Nevertheless, these meat alternatives can be a part of our future protein sources while maintaining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traditional meat.

참치 통조림 중 향미 물질의 기원과 품질 (Origin of Flavor Compounds in Canned Tuna and Their Relation to Quality)

  • 김무남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31-737
    • /
    • 1992
  • 참치통조림을 개봉한후 냉장고$(4^{\circ}C)$에 4주간 저장하는 동안의 향기변화의 관능검사와 향기성분 분석을 하였다. 막 개봉한 참치통조림의 향은 고소한 쇠고기향과 신선한 참치통조림 특유의 냄새를 가지고 있었으나, card-boardy(1주후), 산화된 지방산(2주후, 3주후), 그리고 곰팡이냄새와 페인트 냄새(4주후)로 변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참치통조림시료로부터 126개이상의 휘발성성분이 분리되었고, 그중 54개의 화합물이 mass spectral data, $I_E$ values, 그리고 GC detector로부터 나오는 efluent를 sniffing하므로서 동정되었다. 4주간 저장 후 저급휘발성 화합물은 줄어드는반면 분자량이 큰화합물이 새로이 생성되었다. 저장기간중 감소된화합물은 1-penten-3-ol, 3-penten-2-ol, heptanal, limonene, 1-pentanol, octanal, 1-hexanol, nonanal, 2-octanone, 2-nonanone, 1-heptanol, benzaldehytde, 그리고 methyl substituted benzenes 등이었다. p-Thiocresol, 2-chlorophenol, 1,2-dichlorobenzene, dipropyl disulfide, 2-isobutyl-4,5-dimethylthiazole, diethyltrisulfide, 그리고 2-heptylthiophene은 신선한 참치통조림에는 검출되지않았으나, 개봉후 4주간 저장된 통조림에서는 새로이 검출되었다. 따라서 이들 저장중에 변화된 화합물은 참치 통조림의 품질 변화의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