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t and meat product

검색결과 521건 처리시간 0.025초

국내 시판 육제품의 이화학적, 조직적 특성 및 미생물의 성상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and Microbial Counts of Meat Products Sold at Korean Markets)

  • 진구복;김경훈;이홍철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8-105
    • /
    • 2006
  • 본 연구는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육가공품들을 구입하여 이화학적 및 조직적 특성 및 미생물 검사를 통해서 소비자들의 기호성과 적합한 육가공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측정한 19가지 육제품은 소시지와 햄으로 pH는 $5.46{\sim}6.69$, 수분은 $47.6{\sim}65.3%$, 지방은 $14.2{\sim}34.7%$, 그리고 단백질은 $9{\sim}20%$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였고 햄의 단백질 함량이 소시지에 비하여 높았다. 진공감량은 $2.40{\sim}7.44%$ 범위로 나타났고 원심분리에 의한 유리수분의 함량은 $6.10{\sim}28.3%$의 범위로 독일형 소시지의 보수력이 비교적 낮았다. 육색은 명도가 $59.6{\sim}75.7$, 적색도는 $11.6{\sim}21.1$, 그리고 황색도는 $2.30{\sim}11.4$로 나타났으며 조직감은 각 제품 별로 다양한 수치를 보여 부서짐성, 경도, 탄력성은 계육으로 제조한 Frank A가 가장 높은 반면 응집성, 검성, 저작성은 로인햄과 Beershinken이 비교적 높아 단백질 함량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미생물 검사 결과 총균수는 대부분에서 3.00 log CFU/g 이하이었고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다(< 2.00 log CFU/g).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시중에서 판매되는 육제품은 매우 다양하고 비교적 위생적이지만 현대 소비자들의 용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기능성 저지방, 저염 기능성 웰빙 육제품의 개발이 필요로 된다.

바이오 에탄올 부산물 DDGS와 복합 효소제 첨가급여가 돈육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Bio Ethanol By-product and Complex Enzyme on Meat Quality of Pork Loin)

  • 유종상;장해동;김인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07-1013
    • /
    • 2010
  • 시험동물은 $68.77{\pm}0.10kg$인 3원 교잡종(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비육돈 96두를 공시하였으며, 8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1) corn-soybean meal diet, 2) corn-soybean meal diet + 0.05% enzyme complex, 3) cornsoybean meal diet with DDGS 및 4) corn-soybean meal diet with DDGS + 0.05% enzyme complex으로 4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6반복, 반복당 4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등심의 pH는 DDGS를 함유한 두 처리구가 CON - Enzyme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1). 관능평가에 있어서 경도(Firmness)은 DDGS - Enzyme 처리구가 CON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1), 육색에 있어서 $a^*$ 값은 DDGS를 함유한 두 처리구가 DDGS를 함유하지 않은 두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등심 및 등지방의 지방산 조성에서 총 UFA와 총 UFA/SFA는 DDGS를 함유한 처리구가 CON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p<0.001). 결론적으로 DDGS 급여는 등심의 pH, 경도, 육색, 불포화 지방산 조성을 증가시켰으나, 복합 효소제 첨가 급여에 따른 육질의 변화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혼합 인산염의 첨가가 어류 연육의 기능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osphate Complex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Fish Meat paste)

  • 우상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44-548
    • /
    • 1997
  • 인산염의 첨가가 조기 및 갈치연육의 보수력 및 단백질의 용출성에 미치는 영향과 가열처리 후에 조기육을 원료로 가공한 어묵의 texture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인산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4종의 시판 복합 인산염을 첨가수준별로 사용했을 때의 기능적 성질을 분석 검토하였다. 연육의 보수력 및 염용성 단백질량은 조기연육에는 인산염 B(sodium pol-phosphate 50%, sodium pyro-phosphate 20%, sodium tetra meta-phosphate 20%, sodium acid pyro-phosphate 5%, sodium ultra meta-phosphate 5%)를, 갈치연육에는 인산염 C(sodium poly-phosphate 40%, sodium pyro-phosphate 30%, potassium pyro-phosphate 15%, sodium tetra meta-phosphate 10%, hexa meta-phosphate 5%)를 각각 0.4% 첨가한 경우가 가장 효과적이었고 그 때의 염용성 단백질의 용출량은 조기연육이 954mg%, 갈치연육이 686mg%였다. 조기육을 원료로 하여 가공한 어묵의 적정 가열조건은 85$^{\circ}C$에서 45분간 가열한 것이 조직감이 양호하였다. 한편 121$^{\circ}C$에서 10분간 가열한 경우는 C 인산염이 다른 인산염에 비하여 어육 단백질의 열안 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ssociation between Microsatellite DNA Marker of Leptin Gene and Carcass Traits in Korean Cattle

  • Chung Eui-Ryong;Chung Ku-Yo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6-31
    • /
    • 2005
  • Leptin, the product of the obesity (ob) gene, is synthesized in adipocytes or fat cells and has been implicated in the regulation of food intake, energy balance and body composition in mammals. Therefore, the leptin gene could be a candidate gene controlling fat deposition, meat quality and carcass traits in cattle. In this study the microsatellite genotypes for leptin gene were determined and their effects on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were estimated in Korean cattle. Six different microsatellite alleles within leptin gene were identified and gene frequencies of 173, 177, 184, 186, 190 and 192 bp alleles were 0.012, 0.308, 0.067, 0.260, 0.342 and 0.016, respectively. The microsatellite marker of the leptin gene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carcass percentage (CP) and marbling score (MS). Animals with genotypes 192/192 and 177/184 had higher CP than animals with other genotypes. Animals with genotypes 184/192 and 177/184 had higher MS compared with animals with other genotypes. Thu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177, 184 and 192 bp alleles may be associated with increased carcass percentage and intramuscular fat levels. No associ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microsatellite genotypes of the leptin gene and other carcass traits such as carcass weight (CW), backfat thickness (BF) and M. longissimus dorsi area (LDA). In conclusion, the microsatellite markers of the leptin gene may be useful for marker-assisted selection of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in Korean cattle.

잉어 어묵(kamaboko) 제조에 관한 연구 (PROCESSING OF STEAMED FISH CAKE FROM CARP MEAT)

  • 김병순;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97-103
    • /
    • 1972
  • 담수어인 잉어 Cyprinus carpio의 어묵 제조에 있어서 최적 가공조건을 구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점탄성 보강의 요소가 되는 NaCl, 전분, Polyphosphate의 첨가양, 수세회수 및 이단가열법 등을 중심으로 이들 인자가 제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jelly강도 측정 및 관능검사법으로 검토하였다. 원료육에 대하여 NaCl은 $3\%$, 전분은 $5\~15\%$, polyphosphate는 $0.3\%$ 첨가한 제품이 jelly강도도 높고, 맛이나 광택도 좋았다. 수세회수는 원료육에 대하여 10배양의 수도수(수온 $2\~3^{\circ}C$)로 매회 30분간 8회까지는 jelly강도가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 수세회수를 증가시켜도 제품의 jelly강도에는는 큰 변화가 없었다. 그리고 이단가열법은 jelly강도 보강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잉어 어묵을 가공할 때 수세회수는 $2\~3^{\circ}C$의 수도수를 원료육에 대하여 10배량 가하여 30분간씩 8회 세척하고, 수세한 육에 대하여 NaCl은 $3\%$, 전분 $5\~15\%$, polyphosphate $0.3\%$를 첨가하여 고기 갈이한 다음 $35^{\circ}C$에서 1시간 일단 가열한 후 $90^{\circ}C$에서 30분간 이단가열하는 것이 가장 좋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Tenderness-related index and proteolytic enzyme response to the marination of spent hen breast by a protease extracted from Cordyceps militaris mushroom

  • Barido, Farouq Heidar;Lee, Sung Ki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11호
    • /
    • pp.1859-1869
    • /
    • 2021
  • Objective: The effects of a crude protease extracted from Cordyceps militaris (CM) mushrooms on the postmortem tenderization mechanism and quality improvement in spent hen breast were investigated. Methods: Different percentages of the crude protease extracted from CM mushrooms were introduced to spent hen breast via spray marination, and its effects on tenderness-related indexes and proteolytic enzymes were compared to papain.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possible improvement by the protease extracted from CM mushroom through the upregulation of endogenous proteolytic enzymes involved in the calpain system, cathepsin-B, and caspase-3 coupled with its nucleotide-specific impact. However, the effect of the protease extracted from CM mushroom was likely dose-dependent, with significant improvements at a minimum level of 4%. Marination with the protease extracted from CM mushroom at this level led to increased protein solubility and an increased myofibrillar fragmentation index. The sarcoplasmic protein and collagen contents seemed to be less affected by the protease extracted from CM mushroom, indicating that substrate hydrolysis was limited to myofibrillar protein. Furthermore the protease extracted from CM mushroom intensified meat product taste due to increasing the inosinic acid content, a highly effective salt that provides umami taste. Conclusion: The synergistic results of the proteolytic activity and nucleotide-specific effects following treatments suggest that the exogenous protease derived from CM mushroom has the potential for improving the texture of spent hen breast.

초임계 추출 Lard를 이용한 Maillard 반응생성물 유래 육류향미제의 향기패턴 및 관능적 특성 (Flavor Pattern and Sensory Properties of Meat Flavor Based on Maillard Reaction Products with Supercritical Fluid Extracted Lard Fractions)

  • 문지혜;최인욱;최희돈;김윤숙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44-651
    • /
    • 2012
  • MRP유래 육류 향미제의 향미 증강을 위하여 리보오스와 저 Glu 소맥글루텐 산 가수분해물을 기본 기질로 한 향미 조성물에 온도와 압력 조건별로 추출한 lard SC-$CO_2$ 분획을 첨가하여 향미제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육류 향미제의 SMart nose를 이용한 향기패턴과 관능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향 특성이 우수한 육류 향미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Lard SC-$CO_2$분획 추출시 $40^{\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추출 수율이 증가하지 않았으며, 추출온도를 $40^{\circ}C$로 고정하여 30-60 MPa의 압력에서 추출하였을 때 40 MPa 이상에서 추출효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추출된 lard SC-$CO_2$ 분획들의 SMart nose를 이용한 향기패턴 분석을 실시한 결과, $40^{\circ}C$에서 원료 lard와 30 MPa에서 추출한 lard SC-$CO_2$ 분획의 향기패턴은 40 MPa 이상의 압력에서 추출한 분획들과 구별되었으나 40 MPa 이상의 압력에서 추출한 분획들은 서로 유사한 향기패턴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40 MPa 이상 압력 추출 lard SC-$CO_2$ 분획은 다른 flavor전구체와 반응시켰을 때 다른 전구체들과의 상호반응을 통해 뚜렷한 향기패턴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MRP based 육류향미제의 전체적 기호도는 $40^{\circ}C$, 50 MPa에서 추출한 lard SC-$CO_2$ 분획을 첨가한 MRP based meat flavor과 $40^{\circ}C$, 60 MPa에서 추출한 lard SC-$CO_2$ 분획첨가 MRP based meat flavor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육류 향 증강 MRP based meat flavor의 전구체로 lard를 초임계 추출하기 위한 최적 조건은 $40^{\circ}C$에서 압력을 50 및 60 MPa로 이 조건에서 추출시 높은 경제성과 관능적 우수성이 확보된 육류 향미제 생산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녹차와 오미자 첨가 육제품(양념계육 및 패티)이 흰쥐의 체중, 혈청지질 및 간조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at Products (Seasoned Chicken Product and Patty) Added with Green Tea and Schizandra chinensis on Body Weight, Serum Lipid and Liver in Rats)

  • 김수민;조영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980-986
    • /
    • 2005
  • 녹차와 오미자추출분말을 양념닭고기제품과 패티 (patty)에 각각 $1\%$의 농도로 첨가했을 때, 녹차를 첨가한 닭고기 제품은 대조구보다 관능적 특성 이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오미자를 첨가한 패티는 대조구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양념닭고기 제품과 패티를 사료에 1:1로 배합하여 45일간 실험 동물에게 식이 급여 후 식이섭취량에 대한 체중증가량은 일반 고형사료를 섭취한 대조구의 경우 $23.1\%$의 체중증가량을 나타낸 반면 양념 닭고기제품 급여구와 패티 급여구의 경우 각각 $27.5\%,\;26.0\%$로 대조구보다 유의 적으로 높은 증가량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녹차를 첨가한 양념 닭고기제품과 오미자를 첨가한 패티 급여구의 경우 대조구와 같은 $23.5\%,\;23.3\%$의 체중증가량을 나타내어 고지방 육제품 섭취시 녹차와 오미자는 체중증가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지방식이 섭취로 인한 실험동물의 장기중량의 변화는 치킨과 패티 급여구 모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육제품 첨가식 이를 섭취한 실험 동물의 혈장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및 총지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양념 닭고기 제품과 패티 섭취군은 증가하는 반면 녹차를 첨가한 양념 닭고기 제품과 오미자를 첨가한 패티 섭취군은 혈장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및 총지질 함량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조직에서의 지방산화도는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동물실험 결과 육제품에 녹차와 오미자추출분말을 첨가함으로써 체중감소 및 혈중 중성지질 및 콜레스테롤 함량이 미미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정어리 단백질 제조와 이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Utilization of Sardine Protein)

  • 이경하;차월석;김종수
    • KSBB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426-429
    • /
    • 2001
  • 정어리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정어리 단백질 농축액을 명태 냉동풀에 0, 15, 20, 25%로 첨가하여 어육 연제품을 제조하여, 그 굳기의 변화, 관능검사를 하였으며 아미노산 및 지방산 특성을 검토하였다. 정어리 용출 단백질의 함량은 72%였으며, 10$0^{\circ}C$에서 1시간 전후에 거의 용출되었다. 연육제품의 굳기는 농축 단백질을 15% 첨가하였을 때 0.54 kg으로 명태 단백질만의 굳기 0.52 kg 보다 더 높은 수치로서 정어리 농축 단백질 첨가시에 더 좋았다. 아미노산 조성으로 볼 때 total amino acid는 농축 단백질을 15% 첨가하였을 때가 90.701 mg/g으로 가장 높았다. 지질 성분으로서는 불포화 지방산이 61.8634%와 61.9384%로 높은 상태이며, 생정어리의 경우 $C_{20:5}$$C_{22:6}$인 경우 7.2931%와 27.7843%로 매우 우수한 수치로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있었다.

  • PDF

Effect of NaCl/Monosodium Glutamate (MSG) Mixture on the Sensorial Proper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odel Meat Products

  • Chun, Ji-Yeon;Kim, Byong-Soo;Lee, Jung-Gyu;Cho, Hyung-Yong;Min, Sang-Gi;Choi, Mi-J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76-581
    • /
    • 2014
  • Sodium chloride is an important ingredient added to most of foods which contributes to flavor enhancement and food preservation but excess intake of sodium chloride may also cause various diseases such as heart diseases, osteoporosis and so on.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nosodium glutamate (MSG) as a salty flavor enhancer on the quality and sensorial properties of the NaCl/MSG complex and actual food system. For characterizing the spray-dried NaCl/MSG complex, surface dimension, morphology, rheology, and saltiness intensity were estimated by increasing MSG (0-2.0%) levels at a fixed NaCl concentration (2.0%). MSG levels had no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Cl/MSG complex, although the addition of MSG increased the surface dimension of the NaCl/MSG complex significantly (p<0.05). Furthermore, the effect of MSG on enhancing the salty flavor was not observed in the solution of the NaCl/MSG complex. In the case of an actual food system, model meat products (pork patties) were prepared by replacing NaCl with MSG. MSG enhanced the salty flavor, thereby increasing overall acceptability of pork patties. Replacement of NaCl with MSG (<1.0%) did not result in negative sensorial properties of pork patties, although quality deterioration such as high cooking loss was found. Nevertheless, MSG had a potential application in meat product formulation as a salty flavor enhancer or a partial NaCl replacer when meat products were supplemented with binding ag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