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easuring volume

검색결과 793건 처리시간 0.025초

불꽃원자 흡수광법에 의한요중 카드뮴 배설량 측정의 지적조건 (Measurement conditions for cadmium in urine by flame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 최호춘;정규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7권1호
    • /
    • pp.269-279
    • /
    • 1984
  • The optimum conditions for measuring cadmium content of less than 0.2ppm by flame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were investigated. The cadmium in urine was extracted by APDC-MIBK for the analysis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after ashing them by a wet method. 1. Optimum conditions by APDC-MIBK and DDTC-MIBK extractions. The acidic aqueous solution was prepared with appropriate amount of 0.IN nitric acid, 5ml of 25% (W/V) sodium potasstum tartarate, 10ml of saturated ammonium sulfate, and 2ml of 2% APDC(or 1 ml of 5% DDTC) chelating agent. The total volume of solution was adjusted to 55 ml and pH to $2{\sim}10$ (or$7{\sim}10$). The aqueous solution was extracted with 10ml MIBK. Concentration of Triton X-100 did not effect the absorbance for APDC-MIBK extraction of cadmium, but absorbance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for DDTC-MIBK extraction. The sensitivity and detection limits for the cadmium determination from APDC-MIBK extraction were 0.0038ppm and 0.0102, 0.0022ppm and 0.0116 for DDTC-MIBK, and 0.0132ppm and 0.0034 for 0.1N nitric acid. APDC-MIBK and DDTC-MIBK extractions were 3 times higher than 0.1N nitric acid for the sensitivity. 2. Excretion of cadmium in 24-hour urine by APDC-MIBK extraction. Determination of cadmium in urine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of A.A. (Cd=2 mA) mode and B.C. (Cd=4 mA) mode and B.C. (Cd=4mA, $D_2=20mA$) mode showed some difference (p<0.05). The difference of cadmium determination and recovery according to method of standard additions and standard calibration curve method in urine was not significant (p>0.05, $93.48{\pm}11.78%,\;94.83{\pm}22.00%$). Excretion of cadmium in 24-hour urine collection from normal person and variance analysis within measurement variation was not significant (p>0.05), but between interindividual was significant (0.05). Determination of cadmium content by two different methods of flame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and dithizone colorimetry showed that the results from the two methods can be described by a regression line with a good correlation (y=1.0153x-0.2927, x=Cd by D.C., y=Cd by A.A.S., $r=0.8651^*$, p<0.01).

  • PDF

Ethylene Glycol과 물의 혼합비에 따른 자연발화온도 특성 (Characteristic of Auto Ignition Temperature due to the Mixture Ratio of Ethylene Glycol and Water)

  • 김정훈;최재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1호
    • /
    • pp.24-30
    • /
    • 2016
  • 자연발화 특성은 가연성물질의 취급 및 화재예방을 위한 중요한 인자이다. 본 연구는 ASTM D2155식 발화온도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Ethylene Glycol과 물을 혼합한 시료의 자연발화 특성을 고찰하였다. Ethylene Glycol 100%는 시료량 $75{\mu}l{\sim}160{\mu}l$의 범위에서 $434^{\circ}C$로 나타났다. 물을 첨가하여 Ethylene Glycol 80%와 물 20%를 혼합한 시료는 시료량 $100{\mu}l{\sim}125{\mu}l$의 범위에서 $434^{\circ}C$로 나타났고, Ethylene Glycol 60%와 물 40%를 혼합한 시료에서 시료량 $120{\mu}l{\sim}160{\mu}l$의 범위에서 $437^{\circ}C$로 나타났다. 또한 순간발화온도는 시료량 $125{\mu}l$에서 각각 $579^{\circ}C$, $595^{\circ}C$$611^{\circ}C$를 구하였으며, 물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자연발화온도와 순간발화온도는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봉착용 유리와 Mn-Zn 단결정 Ferrite와의 봉착특성에 관한 연구 (The sealing Characteristics of sealing glasses and Mn-Zn single crystal ferrite)

  • 윤성기;한중희;강원호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권4호
    • /
    • pp.221-228
    • /
    • 1991
  • 본 연구는 computerdisk drive와 VTR head에 사용되어 지고 있는 ferrite head cores의 gap 형성에 적합한 유리의 봉착특성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유리의 특성측정은 열팽창 계수, 미세경도, 내마모성을 측정하였으며 계면에서의 원소 농도분포는 WDS에 의해 관찰하였고 젖음성은 고온 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bO-B_2O_3$계 봉착용 유리에 있어서 PbO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열팽창계수와 마모량이 증가하였으며 $B_2O_3$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는 열팽창계수와 마모량이 감소하였다. 2. $PbO-B_2O_3$계 유리에 있어서 contact angle은 PbO함량에 주로 영향을 받는다. 3. 열팽창계수의 증가에 따라 봉착온도는 비례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 Mn-Zn single crystal ferrite와 $PbO-B_2O_3$계 봉착용유리의 융착 계면에서의 확산은 ferrite성분이 glass측으로 소량확산이 이루어졌으며 봉착 열처리 시간에 따라서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 PDF

국내 서식하는 뉴트리아(Myocastor coypus)의 형태측정 및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rphology Measurement and Comparison of Nutria(Myocastor coypus) Inhabiting in Korea)

  • 이도훈;길지현
    • 환경영향평가
    • /
    • 제22권3호
    • /
    • pp.241-254
    • /
    • 2013
  • The nutria(Myocastor coypus) that is originated from South America is a representative Invasive alien species in Korea. invasive alien species is one of the biggest causes for the loss of biodiversity and it may threaten the conservation and function of ecology as well as the welfare of mankind. Intense habitation has been made around the Nakdong River basin area that this study has analyzed the habitat density of nutria for the subject of 3 survey sites in the Nakdong River basin area. As a result of survey on habitation density in 2011 and 2012, under St.1 it was shown $2.01{\pm}0.21$/ha in 2011 and $0.69{\pm}0.55$/ha in 2012. Under St.2, it was shown $0.91{\pm}0.37$/ha in 2011 and $0.55{\pm}0.39$/ha in 2012. Under St.3, it was shown $5.31{\pm}0.72$/ha in 2011 and $3.99{\pm}2.31$/ha in 2012. The wet survey areas of St.1 and St.3 had shown relatively high habitation density compared to St. 2, the river survey area, and the average annual habitation density of the survey area was $2.74{\pm}2.29$/ha in 2011 and $1.74{\pm}1.18$/ha in 2012 that it has shown slightly reducing tren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morphology by capturing the habitation individuals, the average body length of adults is $92.23{\pm}9.41cm$, the length from the head to body for $53.90{\pm}5.15cm$, tail length for $38.33{\pm}4.83cm$, hind foot length for $13.82{\pm}1.00cm$, front foot length for $6.02{\pm}0.56cm$, and weight for $5.48{\pm}1.08kg$.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ypes between genders, male showed a slightly higher figure in all parts compared to female and it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otal body length, head-body length, front foot length and total weight. As a result of analysis for each head-body length, other measured parts, weight and relativity for each measured part, all bodily part is shown to have the higher volume of correlations. The condition index of individuals in the survey area was shown in the average of $35.67{\pm}4.78$ with female for an average of $36.60{\pm}5.19$ and male for an average of $34.73{\pm}4.34$. The winter temperature in the southern area of Korea is considered for not greatly impacting on the habitation and development of nutria that, if there is no artificial control, it is considered to have certain concern of showing drastic breeding and territory expansion for the habitation group.

열분해 조건에 따른 펠렛형 다공성 흡착재의 제조 및 톨루엔 가스 흡착 특성 (Preparation of Pelletized Porous Adsorbent with Pyrolysis Temperature and Its Toluene Gas Adsorption Characteristics)

  • 김도영;김예솔;조세호;정진영;김민일;이영석
    • 공업화학
    • /
    • 제24권6호
    • /
    • pp.587-59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인 톨루엔(toluene)을 제거하고자 활성탄소와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을 바인더로 이용하여 여러 가지 열분해 온도에 따른 펠렛형 다공성 탄소 흡착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렛형 다공성 탄소 흡착재의 물리적 특성은 주사전자현미경(FE-SEM), 비표면적측정장치(BET), 열중량분석기(TGA)를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톨루엔 가스 흡착능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활성탄소, PVA 및 용매가 각각 1 : 0.1 : 0.8의 질량 비율로 배합될 경우 펠렛의 성형성이 가장 뛰어났다. 톨루엔 흡착 성능은 펠렛에 99% 이상의 톨루엔이 흡착되는 최대 시간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300^{\circ}C$에서 열처리된 흡착재 비표면적은 열처리 전에 비하여 약 4.7배 증가된 약 $941.9m^2/g$로 측정되었다. 펠렛형 다공성 탄소 흡착재의 미세 기공의 부피는 0.30 cc/g으로 약 5배, 톨루엔 흡착 능력은 26 h으로 약 13배로 각각 증가하였다. 이는 바인더의 함량 및 열분해 온도 변화에 따른 활성탄소의 기공 크기 및 비표면적 변화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연조직 결손을 일으킨 가토에서 진피 이식재에 따른 조직반응 비교 (TISSUE REACTION IN RESPONSE TO AUGMENTATION OF SOFT TISSUE DEFECTS ACCORDING TO THE DERMIS GRAFT MATERIALS IN RABBITS)

  • 하현;김선국;유선열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3권2호
    • /
    • pp.114-120
    • /
    • 2007
  • The augmentation of soft tissue defects is one of the critical problems in the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Various types of graft materials, both autologous and non-autologous, have been used for the augmentation of soft tissue in the facial region. However, it is not easy to choose an ideal material for soft tissue augmentation because each has it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 ideal graft material should meet the following criteria : it should not leave a scar at the area from which it was taken; should have less likelihood of causing infection; should feel natural after implanted; and should be not absorbed. Among the materials meeting these criteria, human dermis and artificial dermis are commonly used for clinical purposes.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resorption rate and the histological change following the use of the autologous dermis, the human homogenous dermis $Alloderm^{(R)}$, and the artificial dermis $Terudermis^{(R)}$ to reconstruct the soft tissue defect. Twenty mature rabbits of either sex, weighing about 2 ㎏, were used. Each rabbit was transplanted with the autologous dermis, $Alloderm^{(R)}$, and $Terudermis^{(R)}$ size $1{\times}1-cm$ at the space between the external abdominal oblique muscle and the external abdominal oblique fascia. They were then divided into 4 groups (n=5 each) according to the time elapsed after the surgery: 1, 2, 4, and 8 weeks. The resorption rate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volume change before and after the transplantation, and H-E stain was preformed to observe the histological changes. The resorption rate after 8 weeks was 21.5% for the autologous dermis, 16.0% $Alloderm^{(R)}$, and 36.4% $Terudermis^{(R)}$, suggesting that $Alloderm^{(R)}$ is the most stable while $Terudermis^{(R)}$ is the most unstable. In microscopic examinations, the autologous dermis graft was surrounded by inflammatory cells and showed foreign body reactions. The epidermal inclusion cyst was observed in the autologous dermis graft. $Terudermis^{(R)}$ and $Alloderm^{(R)}$ demonstrated neovascularization and the progressive growth of new fibroblast. The results suggest that $Terudermis^{(R)}$ and $Alloderm^{(R)}$ can be availably for substituting the autologous dermis.

디클로로메탄과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혼합용매에서 Simvastatin 약물의 상거동과 초임계 역용매 공정을 이용한 Simvastatin 약물 미세입자의 제조 (Phase Behavior of Simvastatin Drug in Mixtures of Dichloromethane and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and Microparticle Formation of Simvastatin Drug Usins Supercritical Anti-Solvent Process)

  • 오동준;이병철
    • 청정기술
    • /
    • 제13권1호
    • /
    • pp.34-45
    • /
    • 2007
  • 고지혈증 치료제로 잘 알려져 있는 난용성 약물인 심바스타틴(simvastatin)을 대상으로 디클로로메탄을 용매로 사용하고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역용매로 사용하는 초임계 역용매 재결정법에 의해 약물 미세입자를 제조할 때, 운전 조건을 설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기 위하여 simvastatin/디클로로메탄/초임계 이산화탄소 3성분계 혼합물의 상거동을 연구하였다. 가변부피 투시 셀이 장착된 고압 상평형 장치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조건에서 3성분계 혼합물의 구름점(cloud point)을 측정함으로서 디클로로메탄과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혼합용매에서 simvastatin의 용해도를 온도, 압력, 용매 조성의 함수로 결정하였다. 주어진 온도에서 Simvastatin 약물의 용해도는 디클로로메탄의 조성과 압력이 증가할수록 온도가 감소할수록 증가하였다. 상거동 데이터를 바탕으로 교반기가 설치된 실린더 모양의 고압 용기에서 초임계 역용매 재결정 공정을 이용하여 simvastatin 약물을 미세입자로 제조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운전 조건인 압력 ($8{\sim}12\;MPa$), 온도(303.15 K, 313.15 K), 이산화탄소 공급 속도, 교반 속도 (최대 3,000 rpm)를 변화시키면서 simvastatin 미세입자를 제조함으로써 재결정되는 약물 입자의 크기와 모양에 미치는 공정 변수들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 PDF

도공층 구조 및 도공지의 인쇄적성에 관한 연구(제3보) - 도공용 안료와 이온성 라텍스와의 상호작용이 도공지 품질에 미치는 영향 - (Studies on the Coating Structure and Printability of Coated Paper(III) - Effect of the interaction with pigments and ionic latices on the property of coated paper -)

  • 박규재;이용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7권3호
    • /
    • pp.73-81
    • /
    • 1999
  •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도공용 안료인 클레이와 탄산칼슘의 배합비율을 실제 도공공정의 안료 혼합비와 근사하게 설정한 후, 이온성 라텍스를 적용해 봄으로서 이들의 상호작용과 도공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1,2급 클레이를 각각 35부, 탄산칼슘을 30부씩 혼합한 후, 제조한 도공액의 탈수량 및 침강중량비 측정 결과, 양성라텍스는 음이온성 라텍스보다 다분산 안료 배합하에서도 안료와의 상호작용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형성된 필터케이크충의 구조가 다공성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제조한 도공지의 표면거칠기 및 투기도 등의 도공지 표면 및 내부육특성 측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양성라텍스를 사용하여 제조한 도공지의 인쇄적 성이 음이온성 라텍스를 사용한 경우보다 우수하였다. 이는 양성라텍스가 탄산칼슘이 일정비율 첨가된 안료 배합조건 하에서도 이오기의 전하반전 특성을 통해 클레이와의 정전기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었으며, 1급 클레이의 혼합비율 일부를 2급 및 탄산칼슘으로 대체하여 도공지의 품질 및 인쇄적성을 개량하였다.

  • PDF

폐타이어 분말과 난연제가 혼입된 모르타르의 화재안전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Fire Safety of Mortar-Containing Waste Tire Powders and Flame Retardant)

  • 박정진;손기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12-17
    • /
    • 2010
  • 본 연구는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적용한 폐타이어 분말을 혼입한 모르타르에 난연제를 첨가하여 그 난연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폐타이어 분말의 혼입으로 단열성능 향상은 이미 검증이 되었으나, 단열성과 결합력의 상반된 재료 특성으로 인해 화재에는 취약한 바. 이에 난연제를 첨가하여 인명안전에 만전을 기하고자 한다. 폐타이어 분말을 혼입한 모르타르의 난연제를 첨가하여 첨가 비율에 따른 그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화재 초기의 특성을 알 수 있는 재료의 가연성 여부를 실제 화재와 유사한 복사열에 의해 시험하고자 하였으며. 실험방법은 한국건자재 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ISO 5657 절차에 의한 재료의 착화시간, 불꽃 발생여부, 시험체의 형태변화 등을 고찰하고자 한다. 폐타이어 분말이 혼입된 모르타르와 난연제(무기계)의 배합비율은 폐타이어 분말의 0%, 30%, 60%, 90% 비율로 수산화알루미늄을 첨가하며 조연제인 삼산화안티몬은 난연제의 10%를 첨가한다. 시험체를 수평설치하여 일정한 복사열($1{\sim}5W/cm^2$)을 시험체 상부표면에 노출시키면 열이 시험체 표면에서 내부로 전도되어 온도가 상승한다. 온도가 충분히 높다면 시험체는 열분해하면서 가연성가스를 발생시킨다. 이 때 점화원인 점화기구의 작은 불꽃은 시험체 중앙 위의 10mm 지점에 규칙적인 간격으로 접염하였을때의 재료의 지속적인 표면 착화특성(착화시간) 평가한다. 난연제 미첨가시에도 착화가 일어나지 않아 폐타이어분말이 혼입된 모르타르의 가연성은 적은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화재실내에 존재하는 가연물의 양을 평가하는 화재하중에 이를 반영할 수 있다. 폐타이어 분말에 무기계 난연제를 첨가함에 따라 흡열효과에 의해 불꽃은 발생하지 아니하고 폐타이어 분말입자의 분해속도도 지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복사열로 인해 난연제인 수산화알루미늄이 열분해하여 모르타르내 수증기 분압이 증가하여, 폐타이어 분말의 불꽃이나 연소형태는 보이지 않았다.

고기구이 스모크에서 채취한 PM10입자에서 콜레스테롤, 지방산과 PAH의 분포 (Determination of Cholesterol, Fatty Acids and Polyaromatic Hydrocarbons in PM10 Particles Collected from Meat Charbroiling)

  • 서영화;고광윤;장영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5-164
    • /
    • 2010
  • 고기구이 스모크와 같은 바이오매스 소각에서 발생하는 스모크는 도시의 미세먼지중 유기성 탄소물질을 구성하는 주요 오염원이다. 미세먼지의 오염원 기여도를 산출하기 위한 화학수지모델(Chemical Mass Balance:CMB)에서는 배출원 오염물분포자료(Source Profile)가 필수이다. 바이오매스를 비롯한 고기구이 스모크의 오염물분포자료를 작성하기 위하여 유기성 지표물질들을 분석하였다. 고기구이에서 발생한 스모크를 PM10 채취기로 채취하여 용매추출, 유도체화반응, 중수소가 함유된 표준물질을 투입하여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GC/MS)로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인산과 같은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를 측정하였으며, 동시에 PM10 필터시료의 유기성(OC) 및 원소성 탄소(EC)를 OCEC 분석기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쇠고기구이 스모크로부터 채취한 PM10시료의 OC에서 콜레스테롤, 총포화지방산,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0.056 wt%, 2.727 wt%, 0.278 wt%이며, 돼지고기 구이 스모크로부터 채취한 PM10시료의 OC에서는 0.062 wt%, 2.022 wt%, 0.438 wt%를 차지하고 있었다. 쇠고기와 돼지고기 구이 스모크 OC에서 총 PAH화합물의 함량은 0.116 wt%와 0.044 wt% 이었는데, 그중에 단일 화합물로서 benzo(a)pyrene은 0.0071 wt%와 0.0023 wt%이었다. 콜레스테롤을 기준으로 각 지표물질의 무게 비율은 외국에서 발표된 고기구이 배출원 오염물분포자료와 거의 일치하여 유기성 에어로솔의 오염원 기여도를 산출하는 배출원 오염물분포자료로서 사용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