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mum-likelihood detection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31초

불검출 자료를 포함한 작업환경측정 자료의 분석 방법 비교 (A Comparison of Analysis Methods for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Databases Including Left-censored Data)

  • 박주현;최상준;고동희;박동욱;성예지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1-30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optimal method by comparing the analysis methods of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datasets including left-censored data where one or more measurements are below the limit of detection (LOD). Methods: A computer program was used to generate left-censored datasets for various combinations of censoring rate (1% to 90%) and sample size (30 to 300). For the analysis of the censored data, the simple substitution method (LOD/2), β-substitution metho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LE) method, Bayesian method, and regression on order statistics (ROS)were all compared. Each method was used to estimate four parameters of the log-normal distribution: (1) geometric mean (GM), (2)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GSD), (3) 95th percentile (X95), and (4) arithmetic mean (AM) for the censored dataset. The performance of each method was evaluated using relative bias and relative root mean squared error (rMSE). Results: In the case of the largest sample size (n=300), when the censoring rate was less than 40%, the relative bias and rMSE were small for all five methods. When the censoring rate was large (70%, 90%), the simple substitution method was inappropriate because the relative bias was the largest, regardless of the sample size. When the sample size was small and the censoring rate was large, the Bayesian method, the β-substitution method, and the MLE method showed the smallest relative bias. Conclusions: The accuracy and precision of all methods tended to increase as the sample size was larger and the censoring rate was smaller. The simple substitution method was inappropriate when the censoring rate was high, and the β-substitution method, MLE method, and Bayesian method can be widely applied.

비동기 복조 DS/CDMA 역방향 링크에서 채널 추정 및 다중 사용자 검파를 이용한 성능 개선 (Performance Improvement for Nonchoherent DS/CDMA Reverse Links using Channel Estimation and Multiuser Detection)

  • 홍대기;윤석현;홍대식;강창언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755-76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M-ary 직교 변조를 사용하는 직접 확산 코드 분할 다중 접속 (DS/CDMA: Direct Sequence/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을 위한 최대 근사 (Maximum Lkelihood : ML) 결정 궤환 채널 추정(Decision Feedback Channel Estimation : DFCE)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결정 궤환 정보로서 RAKE 수신기의 최대 결합 출력을 사용한다. 제안된 시스템으로부터 추정된 채널 값을 이용하면 파일럿의 삽입없이 RAKE 수신기에서 동기 검파 (coherent demodulation)를 할 수 있고, 동시에 최대 비 결합(Maximum Ration Combining : MRC)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제안된 DFCE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다중 사용자 간섭 (Multiple Access Interference: MAI)으로 인해 심각한 성능의 저하가 발생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단 병렬 간섭 제거기(Multistage Parallel Interference Cancellation : PIC)를 제안된 시스템과 결합해 본다. 제안된 DFCE에서 추정된 정확한 채널 값은 동기식 검파뿐 아니라 PIC에서 다중 사용자 간섭 신호의 재 생성(regeneration)을 위해서도 쓰인다. 이럴 경우 PIC와 EFCF간에 서로 도움을 주는 이중 효과를 얻게 된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제안된 시스템은 기존의 비동기 검파(noncoherent demodulation) 방식에 비해 다단 PIC를 쓰지 않는 동기 검파의 경우 IE-02의 E$_{b}$/N$_{0}$에서 수용 가능한 사용자 수가 5명에서 약 10으로 2배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단 PIC를 사용한 동기 검파의 경우 약 30명으로 6배 정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변화점을 고려한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모형의 모수추정 (A Parameter Estimation of Software Reliability Growth Model with Change-Point)

  • 김도훈;박천건;남경현
    • 응용통계연구
    • /
    • 제21권5호
    • /
    • pp.813-823
    • /
    • 2008
  • 비동질적 포아송과정(NHPP) 모형은 신뢰성 공학에서 소프트웨어 내에 남아있는 결함발견현상을 설명하는데 자주 사용된다. 이때 결함발견율은 연속적이며 단조함수를 가정하였으나 현실적으로 소프트웨어 시험환경, 전략 및 자원할당 등으로 인해 결함발견율이 변하는 경우가 있다. 본 논문은 결함발견율이 변화하는 변화점 문제를 고려한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모형(SRGM)을 고려하여 모수를 추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자료를 모의 생성한 후 평균값 함수의 각 모수를 최우추정법과 최소제곱법을 이용하여 추정하며, 결함발견구간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경우와 일정하게 증가하지 않는 경우를 각각 고려한다. 이때 각 모수의 적합도 비교 평가를 통하여 변화점을 고려한 SRGM에서의 최적 추정법을 수치적 방법으로 판단한다.

트렐리스 부호화된 CPFSK의 적응 수신기 (An Adaptive Receiver Using Reduced-state Sequence Detection for the Trellis-coded CPFSK)

  • 송형규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746-760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이동 위성 채널에서 트렐리스 부호화된 CPFSK 신호를 검파하는데 있어서 최적의 수신 방식인 MLSD 대신에 복잡도를 크게 줄이면서 MLSD와 거의 같은 성능을 얻는 적응 RSSD 수신 방식을 제안 한다. 제안된 앉줬D를 시변 채널인 이동 위성 채널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채널의 상태를 추정해야 하는 문제 가 발생하며l 본 논문에서는 채널의 특성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steepest desc에t 알고리틈을 이용하며I 보다 효율적인 채널 추정을 위해 symbol-aided방법이 사용된다. syr뼈ol-aided 방법은 신뢰성 있는 채널 추정을 위하여 송신단에서는 주기적으로 알고 있는 섬볼을 삽입한 후에, 수신단에서는 알고 있는 섬볼이 수신되면 비터비 프로세서는 임시 데이터 결정을 하여 채널 추정기로 보내는 방법이다. 이러한 임시 데이터 결정 방법 을 사용한 채널 추정기는 긴 결정 지연 시간올 이용한 방법보다도 이동 위성 채널에서 빠르고 신뢰성 있게 채널을 추정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적웅 RSSD 수신 방식은 적웅 MLSD에 대한 준최적 수신 방식임에도 불구하고 복잡도를 크게 줄이면서 이통 위성 채널을 빠르고 신뢰성 있게 추적한다.

  • PDF

적응형 검색 범위 기반 복잡도 감소 QRD-M MIMO 검출 기법 (Low Complexity QRD-M MIMO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Adaptive Search Area)

  • 김봉석;최권휴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6A호
    • /
    • pp.614-62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MIMO 시스템을 위한 적응형 검색범위 기반 복잡도 감소 QRD-M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QRD-M 기법은 각 단계에서 survivor path들을 현 단계의 모든 가능한 성상도 심벌들로 확장하여 그 중 가장 작은 path metric을 가지는 M개를 선택한다. 그러나, 채널 상황에 따라 모든 심벌이 아닌 임시적으로 추정된 심벌의 이웃하는 포인트들로 그 검색 범위를 적절하게 줄인다 하더라도, 성능저하가 없음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본 논문에서는 작은 계산양으로도 MLD의 성능에 근접하는 새로운 기법을 제안한다. 채널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지표 (indicator)로써, SNR값을 측정한 필요없는 단계들 간의 채널 이득의 비를 이용한다. 실험 결과에서는 제안된 기법이 Maximum Likelihood Detection (MLD)의 성능에 근접하면서, 계산양은 기존의 QRD-M 기법에 비해 확연하게 작다는 것을 보인다.

CHANGE DETECTION ANALYSIS OF FORESTED AREA IN THE TRANSITION ZONE AT HUSTAI NATIONAL PARK, CENTRAL MONGOLIA

  • Bayarsaikhan, Uudus;Boldgiv, Bazartseren;Kim, Kyung-Ryul;Park, Kyeng-Ae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7
    • /
    • pp.426-429
    • /
    • 2007
  • One of the widely used applications of remote sensing studies is environmental change detection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The study area Hustai Mountain is situated in the transition zone between the Siberian taiga forest and Central Mongolian arid steppe. Hustai National Park carries out one of several reintroduction programs of takhi (wild horse or Equus ferus przewalskii) from various zoos in the world and it represents one of a few textbook examples of successful reintroduction of an animal extinct in the wild.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results of an analysis on the change of remaining forest area over the 7-year period since Hustai Mountain was designated as a protected area for reintroduction to wild horses. Today the forested area covers approximately 5% of the Hustai National Park, mostly the north-facing slopes above 1400 m altitude. Birch (Betula platyphylla) and aspen (Populus tremula) trees are predominant in the forest. We used Landsat ETM+ images from two different years and multi temporal MODIS NDVI data. Land types were determined by supervised classification methods (Maximum Likelihood algorithm) verified with ground-truthing data and the Land Change Modeler (LCM) which was developed by Clark Labs. Forested area was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land types, namely the forest land, mountain meadow and mountain steppe. The study results illustrate that the remaining birch forest has rapidly changed to fragmented forest land and to open areas. Underlying causes for such a rapid change during the 15-year period may be manifold. However, the responsible factors appear to be the drying off and outbreak of forest pest species (such as gypsy moth or Lymantria dispar) in the area.

  • PDF

부여 취수장의 $NH_3-N$자료에 대한 평균 및 분산추정 (Estimation of Mean and Variance for $NH_3-N$ data of Puyeo Intake)

  • 김형수;정건희;김응석;김중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357-364
    • /
    • 2001
  • 실험 또는 계측에 의해 관측된 관측치들은 종종 어떤 기준치 이하의 작은 값들이 기록되는데, 이들 기준치 이하의 값들이 크기는 미소할지라도 평균이나 분산 추정시 왜곡된 결과를 줄 수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관측오차로 간주하여 N.D.(Not Detected)로 처리하는 것을 관례로 하고 있어 미소치들이 기록되지 않고 있다. EK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여 취수장의 암모니아성 질소(NH$_3$-N)자료가 크기에 따라 분표형이 다름을 조사하고 그 분포를 구별할 수 있는 기준치와 기준치 이하의 자료들에 대한 평균과 분산 추정시 가장 적절한 기법을 찾고자 하였다. 즉, 기준치 이하의 값들과 이상의 값들을 구분하여 평균과 분산을 위한 적절한 기법을 선정하여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부여취사장의 자료는 편기 수정된 최우도(Bias Corrected ML)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결정되었으며, 시행착오법에 의하여 기준치를 설정하였다.

  • PDF

네트워크에서 루머 중심성 기반 질의를 통한 루머의 근원 추정 (Estimating the Rumor Source by Rumor Centrality Based Query in Networks)

  • 최재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8권7호
    • /
    • pp.275-288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에서 충분히 많은 노드가 루머를 들었을 때 그 근원이 어디서부터 시작 되었는지를 추론하는 문제를 고려한다. 이것은 신기술의 확산, 인터넷에서의 컴퓨터 바이러스/스팸 감염, 인기 있는 주제의 tweeting 및 retweeting과 같은 많은 실제 환경에서 네트워크의 정보 확산이 빠르게 진행되고, 이 정보 중 일부는 다른 노드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 문제는 선행연구에 의해 감염된 노드의 수가 충분히 많으면 정규 트리의 경우에도 탐지 확률이 31%를 초과 할 수 없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네트워크에 감염된 후보 노드에게 몇 가지 추가 질의를 하는 방법에 대해 조사하고 네트워크 관리자가 한정된 자산을 가지고 있을 때 각 노드에 대한 질의의 수를 어떻게 분배하는지에 대한 자산 할당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방법에 대하여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기존 선행 연구보다 우수한 성능을 확인하였다.

종 분포 모형을 이용한 국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위험지역 추정 (Application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 for Predicting Areas at Risk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in the Republic of Korea)

  • 김으뜸;박선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3-29
    • /
    • 2019
  • Whil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the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 is the leading cause of economic loss in Korean poultry industry with an estimated cumulative impact of $909 million since 2003, identifying the environmental and anthropogenic risk factors involved remains a challeng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reas at high risk for potential HPAI outbreaks according to the likelihood of HPAI virus detection in wild birds. This study integrates spatial information regarding HPAI surveillance with relevant demographic and environmental factors collected between 2003 and 2018. The Maximum Entropy (Maxent)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with presence-only data was used to model the spatial risk of HPAI virus. We used historical data on HPAI occurrence in wild birds during the period 2003-2018, collected by the National Quarantine Inspection Agency of Korea. The database contains a total of 1,065 HPAI cases (farms) tied to 168 unique locations for wild birds. Among the environmental variables, the most effective predictors of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HPAI in wild birds were (in order of importance) altitude, number of HPAI outbreaks at farm-level, daily amount of manure processed and number of wild birds migrated into Korea.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for the 10 Maxent replicate runs of the model with twelve variables was 0.855 with a standard deviation of 0.012 which indicates that the model performance was excellent. Results revealed that geographic area at risk of HPAI is heterogeneous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with higher likelihood in the west and coastal areas. The results may help biosecurity authority to design risk-based surveillance and implementation of control interventions optimized for the areas at highest risk of HPAI outbreak potentials.

위성영상의 방사적 특성을 고려한 구름 탐지 방법 개발 (Development of Cloud Detection Method Considering Radiometric Characteristics of Satellite Imagery)

  • 서원우;강홍기;윤완상;임평채;이수암;김태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6_1호
    • /
    • pp.1211-1224
    • /
    • 2023
  • 구름은 광학위성을 이용한 국토 관측 및 재난 대응, 변화 탐지 등 지표의 현상을 관측하는데 있어 많은 어려운 문제를 야기한다. 구름의 존재는 영상 처리 단계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는 데이터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반드시 식별하고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내 구름의 분광패턴에 가장 근접한 화소를 탐색 및 추출해 최적의 임계값을 선정하고 임계값을 바탕으로 구름 산출물을 제작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새로운 구름 탐지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구름 탐지 기법은 크게 세 단계로 구성된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Digital Number (DN) 단위 영상을 대기상층 반사율 단위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대기상층 반사율 영상을 이용하여 Hue-Value-Saturation (HSV) 변환 및 삼각형 임계 처리, 최대우도 분류 등의 전처리를 적용하고 각 영상별로 초기 구름 마스크 생성을 위한 임계값을 결정한다. 세번째 후처리 단계에서는 생성된 초기 구름 마스크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고 구름 경계 및 내부를 개선한다. 구름 탐지를 위한 실험 자료로 구름의 공간적, 계절적 분포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4~11월 시기에 한반도 지역에서 촬영된 국토위성 L2G 영상을 사용하였다. 제안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단일 임계화 방법으로 생성된 결과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 방법은 기존 방법과 비교하여 전처리 과정을 통해 각 영상의 방사학적 특성을 고려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게 구름을 검출할 수 있었다. 또한, 구름 개체를 제외한 나머지 밝은 물체(판넬식 지붕, 콘크리트 도로, 모래 등)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제안 방법은 기존 방법 대비 F1-score 기준으로 30% 이상의 개선된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눈이 포함된 특정 영상에서 한계점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