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mum trimmed likelihood estimator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범주형 자료분석을 위한 최대절사우도추정 (Maximum Trimmed Likelihood Estimator for Categorical Data Analysis)

  • 최현집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6권2호
    • /
    • pp.229-238
    • /
    • 2009
  • 범주형 자료분석을 위해 고려할 수 있는 모형들은 일반적으로 최우추정에 의하여 적합이 이루어지므로 이상값에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할표 자료에 포함된 이상칸(outlying cell)에 영향을 받지 않는 최대 절삭우도 추정 값(maximum trimmed likelihood estimates)을 얻기 위한 추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우도에 의존하여 분할표에 포함된 칸을 제거해나가며 절사우도의 최대값을 찾기 때문에 완전탐색(complete enumeration)에 비해 계산의 양이 매우 적다. 따라서 일반적인 다차원 분할표 자료분석을 위해 쉽게 적용될 수 있다. 실제 자료분석 예를 통해 제안된 추정방법을 설명하였으며, 모의실험을 통해 문제점과 특징을 토론하였다.

Reexamination of Estimating Beta Coecient as a Risk Measure in CAPM

  • Phuoc, Le Tan;Kim, Kee S.;Su, Yingcai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5권1호
    • /
    • pp.11-16
    • /
    • 2018
  • This research examines the alternative ways of estimating the coefficient of non-diversifiable risk, namely beta coefficient, in Capital Asset Pricing Model (CAPM) introduced by Sharpe (1964) that is an essential element of assessing the value of diverse assets. The non-parametric methods used in this research are the robust Least Trimmed Square (LTS) and Maximum likelihood type of M-estimator (MM-estimator). The Jackknife, the resampling technique, is also employed to validate the results. According to finance literature and common practices, these coecients have often been estimated using Ordinary Least Square (LS) regression method and monthly return data set.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research pointed out that the robust Least Trimmed Square (LTS) and Maximum likelihood type of M-estimator (MM-estimator) performed much better than Ordinary Least Square (LS) in terms of eciency for large-cap stocks trading actively in the United States markets. Interestingly, the empirical results also showed that daily return data would give more accurate estimation than monthly return data in both Ordinary Least Square (LS) and robust Least Trimmed Square (LTS) and Maximum likelihood type of M-estimator (MM-estimator) regressions.

거리영상과 밝기영상의 fusion을 이용한 영상분할 (Image Segmentation Based on Fusion of Range and Intensity Images)

  • 장인수;박래홍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5S권9호
    • /
    • pp.95-103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거리영상과 발기영상의 fusion을 이용한 영상분할을 제안한다. Bayes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Markov random field (MRF)로 선험적인 정보를 모델링한다. 거리영상과 밝기영상에서 추출한 특징을 이용하여 maximum a posteriori (MAP) 추정기를 구성한다. 거리영상에서 물체는 국부적인 평면으로 근사되어 각 점마다 평면 계수를 추정해 계수 공간을 구성한다. 밝기영상에서는 ${\alpha}$ 트림드 (${\alpha}$-trimmed) 분산이 밝기특성을 구성한다. 각 공간상의 특징을 에지에 대한 likelihood를 설정하여 구성된 MAP 추정기를 최적화함으로써 영상을 분할한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구조가 그림자, 잡음 그리고 광원의 blurring에 관계없이 영상을 잘 분할한 것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