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aximum economic yield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61초

유휴 논토양에서 조사료 생산을 위한 적정 액상구비 시용수준의 추정 I. 액상구비의 시용이 Reed Canarygrass의 연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Estimation of Optimum Raate of Cattle Slurry Application for Forage Production Using Idled Rice Paddy I. The Effect of cattle slurry application on annual dry matter yield in reed canarygrass.)

  • 이주삼;조익환;김성규;안종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0-56
    • /
    • 1994
  • 본 시험은 농산물의 수입자유화 추세로 들어가고 있는 유휴 경작지에 조사료 자원확보와 날로 심각하게 증가되는 가축분뇨를 유기질 비료로서 재활용하여 환경보전을 목적으로 유휴 논 토양에 조성된 리드카나리그라스의 초지에 액상구비를 시용하여 연 평균 건물수량과 계절적 분포 및 적정 액상구비의 시용수준을 추정코자 실시되었다. 2. 3개의 예취빈도(연간3, 4및 5회 예취)조건에서 연 평균 건물수량은 ha당 8.9~10.9톤을 기록하였는데 3회 예취 이용시에 가장 높은 건물수량을 나타내었다. 2. 액상구비의 시용은 연간 ha당 300~360kg의 질소수준 이상에서 전혀 비료를 시용하지 않았던 대조구보다 유의한 연 평균 건물수량의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3. 연간 3회와 4회 예취 이용한 시험구에서는 액상구비의 시용수준 주 제 1단계(3회 예취구: 90kg N/ha, 4회 예취구: 120kg N/ha/년)에서 이전 수준인 무비구보다 ha당 연간 각각 1.23톤과 2.34톤의 가장 높은 건물수량의 증가를 기록하였고, 5회 예취구에서는 2단계의 액상구비 수준 (300kg N/ha/년)에서 이전 수준(150kg N/ha)보다 2.11톤의 연간 건물 수량의 증가를 초래하였는데, 이들의 질소효율은 각 예취조건 하에서 각각 kg질소당 13.7, 19.4 및 14.1kg의 건물 수량에 해당되었다. 4. 연 건물수량의 계절적 분포는 3회 예취구에서 2번초, 4회 예취구의 3번초 및 5회 예취구의 3번초에 각각 전체의 42.37 및 32%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5. 본 시험조건에서는 5회 예취구에서만 생장곡선이 결정계수 $r^2$=0.9993으로 시그마 형태에 가장 근접하였는데, 이를 이용하면 최고 한계수량은 액상구비의 형태로 연간 ha당 250kg의 질소수준에서 도달하고 경제적 액상구비의 이용수준은 371.0~402.2kg의 질소였으며, 최대수량은 연간 ha당 489.3kg의 액상구비 시용시 얻을 수 있었다.

  • PDF

국내 아마란스(Amaranthus spp.)에 발생하는 주요 해충의 발생소장과 수량 감소율 (Seasonal Occurrence of Insect Pests and Related Yield Loss in Amaranth Crop in South Korea)

  • 권민;김주일;김창석;지삼녀;남화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305-312
    • /
    • 2021
  • 2019~2020년 동안 강원도 강릉지역의 아마란스 포장에서 진딧물류 3종(잠두진딧물,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노린재류 12종(애긴노린재, 각시장님노린재, 풀밭장님노린재 등), 나방류 4종(흰띠명나방,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도둑나방) 등 총 7과 18종의 해충을 확인하였다. 이 가운데 발생량이 많아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주는 종류는 잠두진딧물, 애긴노린재, 각시장님노린재, 파밤나방, 흰띠명나방 등 5종이었다. 진딧물류는 4월 하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6월 초순에 최대 발생을 보였다. 애긴노린재는 5월 중순부터 발생하여 8월 하순에 최대 발생량을 보이다가 9월 초순부터 밀도가 감소하였고, 각시장님노린재는 9월 중순부터 밀도가 급격히 늘어나서 10월 하순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다. 흰띠명나방과 파밤나방은 8월 중순부터 유충 발생이 시작되어 10월 중순까지 아마란스에 피해를 주었다. 각각의 해충에 대한 방제구와 무방제구의 수량을 비교한 결과, 진딧물류와 노린재류에 의한 종실 수량 감소율은 각각 51.9%, 69.8%였다. 또한 흰띠명나방과 파밤나방에 의한 잎 생체량 감소율은 각각 72.5%, 36.5%였다.

남부지역 논에서 사료맥류-사료용 옥수수-하파귀리 삼모작 시 조사료 생산성 및 사료가치 (Forage Productivity and Feed Value in Triple Cropping Systems with Winter Forage Crops-Silage Corn-Summer Oat Cultivation at Paddy Field in Southern Region of Korea)

  • 송태화;박태일;강현중;박형호;한옥규;조상균;오영진;장윤우;노재환;박광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87-93
    • /
    • 2014
  • 이 연구는 남부지역에서 동계 사료맥류, 하계 옥수수, 추계 하파귀리 등 삼모작 재배기술 확립하기 위해 옥수수의 앞그루에 적합한 사료용 맥류 맥종 선정과 더불어 옥수수 뒷그루로 귀리를 가을재배 시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월동 사료작물을 옥수수 파종기에 맞춰 수확할 경우 호밀이 생초수량 32.0톤/ha, 건물수량 5.8톤/ha로 다른 작물에 비해 높은 수량을 보였다. 하계 사료용 옥수수는 생초수량으로 72.1톤/ha, 건물수량으로 20.2톤/ha 수확되었으며, 사료가치는 조단백질 함량이 7.4%, 가소화영양소 함량이 69.3%로 양호한 생육과 사료가치를 보였다. 가을재배용 귀리의 출수기는 10월 10일이었으며, 생초수량은 44.3톤/ha, 건물수량은 8.5톤/ha이었고, 사료가치는 조단백질이 11.3%, 가소화영양소 함량이 59.1%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남부지역에서 조사료 연중 생산을 위해 가을재배용 귀리의 도입으로 삼모작이 가능하며, 하계 옥수수의 최대 안전 생산을 위한 월동 사료작물은 호밀이 가장 유리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Nannochloris eucaryotum growth: Kinetic analysis and use of 100% CO2

  • Concas, Alessandro;Lutzu, Giovanni Antonio;Locci, Antonio Mario;Cao, Giacomo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2권1호
    • /
    • pp.19-33
    • /
    • 2013
  • Microalgae are receiving an increasing attention because of their potential use as $CO_2$ capture method and/or as feedstock for biofuels production. 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microalgae-based technology is still not widespread since it is characterized by technical and economic constraints that hinder its full scale-up. In such contest the growth kinetics of Nannochloris eucaryotum (a relatively unknown marine strain) in batch and semi-batch photobioreactors is quantitatively investigated with the aim of obtaining the corresponding kinetic parameters suitable for process engineering and its optimization. In particular the maximum growth rate was evaluated to be 1.99 $10^{-3}\;h^{-1}$. Half saturation concentrations for nitrates ($K_N$) and phosphates uptake ($K_P$) were evaluated as 5.4 $10^{-4}\;g_N\;L^{-1}$ and 2.5 $10^{-5}\;g_P\;L^{-1}$, respectively. Yield factors for nitrogen ($Y_N$) and phosphorus ($Y_P$) resulted to be 5.9 $10^{-2}\;g_N\;g^{-1}$ biomass and 6.0 $10^{-3}\;g_P\;g^{-1}{_{biomass}}$, respectively. The possibility of using 100% (v/v) $CO_2$ gas as carbon source is also evalua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literature as far as N. eucaryotum is concerned. The strain showed a good adaptability to high concentrations of dissolved $CO_2$ as well as to low pH. The lipid content under 100% $CO_2$ is about 16.16 %wt $wt^{-1}$ and the fatty acid methyl esters composition of the extracted oil is in compliance with the European regulation for quality biodiesel.

Growth, Dry Matter Partitioning and Photosynthesis in North American Ginseng Seedlings

  • Proctor, John T.A.;Palmer, John W.;Follett, John M.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4권3호
    • /
    • pp.175-182
    • /
    • 2010
  • North American ginseng seedlings (Panax quinquefolius L.) were grown in pots in heated greenhouses, in a cool greenhouse, or in the field, in 11 experiments at various times over 16 years. Crop establishment, dry matter partitioning, photosynthesis, radiation use efficiency and carbon budget were measured and/or calculated in some years. Once the seedling canopy, of about $20\;cm^2$ per seedling, and a leaf area index of 0.37, was established, about 40 days after germination, full canopy display lasted about 87 days. Only 16.6% of the incoming solar radiation was intercepted by the crop, the remainder falling on the mulched soil surface. Total and root dry matter accumulations in the cool greenhouse and in the field were about double that in the heated greenhouses. Partitioning of dry matter to roots (economic yield or harvest index) in the cool greenhouse and in the field was 73% whereas it was 62.5% in the heated greenhouses. The relationship between root dry matter and radiation interception during the full canopy period was linear with growth efficiencies of $2.92\;mg\;MJ^{-1}$ at 4.8% of incoming radiation and $0.30\;mg\;MJ^{-1}$ at 68% of incoming radiation. A photosynthetic rate of $0.39\;g\;m^{-2}\;h^{-1}$ was attained at light saturation of about $150\;{\mu}mol\;m^{-2}\;s^{-1}$ (7.5% of full sunlight); dark respiration was $0.03\;g\;m^{-2}\;h^{-1}$, about 8.5% of maximum assimilation rate. Estimates of dry matter accumulation by growth analysis and by $CO_2$ uptake were similar, 6.21 vs. 7.62 mg $CO_2$, despite several assumptions in $CO_2$ uptake calculations.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Organic Yield by Continuous Percolation Processes of Bio-wastes at K Composting Plant

  • Seo, Jeoung-Yoon;Jager, Johannes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123-130
    • /
    • 2014
  • Percolation is the important process of extracting the soluble constituents of a fine mesh, porous substance by passage of a liquid through it. In this study, bio-wastes were percolated under various conditions through continuous percolation processes, and the energy potential of percolate was evaluated. The representative bio-wastes from the K composting plant in Darmstadt, Germany were used as the sample for percolation. The centr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amount of process water and the optimum duration of percolation through the bio-wastes. For economic reasons, the retention time of the percolation medium should be as long as necessary and as short as possible. For the percolation of the bio-wastes, the optimal percolation time was 2 hr and maximum percolation time was 4 hr. After 2 hr, more than two-thirds of the organic substances from the input material were percolated. In the first percolation process, the highest yields of organic substance were achieved. The best percolation of the bio-wastes was achieved when the process water of 2 L for the first percolation procedure and then the process water of 1.5 L for each further percolation procedure for a total 8 L for all five procedures were used on 1,000 g fresh bio-waste. The gas formation potentials of 0.83 and $0.96Nm^3/ton$ fresh matter (FM) were obtained based on the percolate from 1 hr percolation of 1,000 g bio-waste with the process water of 2 L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the gas formation in 21 days (GB21). This method can potentially contribute to reducing fossil fuel consumption and thus combating climate change.

제주도(濟州島) 임해지역(臨海地域)에서의 해수침입(海水侵入) (Sea Water Intrusion in the Coastal Area of Cheju Volcanic Island, Korea)

  • 최순학;김영기;이동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24권3호
    • /
    • pp.319-327
    • /
    • 1991
  • 제주도(濟州島)는 화산암(火山岩)과 화산쇄설오퇴적층으로 형성(形成)된 한반도(韓半島)에서 가장 큰 섬이다. 지형(地形)은 저지대(低地帶)로 현무암(玄武岩)이 넓게 분포(分布)하며 섬 중앙(中央)에는 1950m의 화산(火山)이 우뚝 솟아 있으며 정상에는 화산분출(火山噴出)에 의(依)해 형성(形成)된 화구(火口)가 존재(存在)한다. 지표수(地表水)의 유출(流出)은 대단히 빈약하여 용수이용(用水利用)은 지하수(地下水)와 용출수(湧出水)에 거의 의존(依存)한다. 본(本) 도(島)에는 약(約) 1650여개소의 지하수개발공(地下水開發孔)이 있는데 대부분 $1,000{\sim}2,000m^3/day$의 산출(産出)이 가능(可能)하다. 근래에 와서 지하수이용증대(地下水利用增大)에 따라 해안(海岸) 인접지역 특(特)히 동부지역중(東部地域中) 일부(一部)에서는 해수침입현상(海水侵入現象)이 일어나고 있다. 이 지역(地域)의 지형(地形)은 아주 평저하고 지하수위(地下水位)도 해수면(海水面)가까이에 위치(位置)하여 지하수의 과잉 양수(揚水)는 결국 해안(海岸)으로부터 최고(最高) 6km 내륙까지 해수침입(海水侵入)을 초래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爲)하여서는 장기(長期) 수리화학적(水理化學的)인 감시체계망 설치가 무엇보다도 필요(必要)하다.

  • PDF

Effect of Restricted and Ad. libitum Feeding during Late Pregnancy on the Performance of Crossbred Cows and Their Calves

  • Khan, M.A.A.;Islam, M.N.;Khan, M.A.S.;Akbar, M.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9호
    • /
    • pp.1267-1272
    • /
    • 2002
  • The present research was undertaken to monitor the effects of restricted and ad. libitum feeding during last trimester of pregnancy on the performance of crossbred dairy cows and their calves. For this purpose two groups of crossbred cows having eight animals in each group were put into two plane of nutrition during their last three months of pregnancy. Dietary energy level in one group was calculated as per Ministry of Agriculture, Fisheries and Food, (MAFF, UK) and the cows on other group received ad. libitum feeding (concentrate level similar to MAFF, recommendation+ad. libitum roughage). After calving, the cows of both groups were given same diet (ad. libitum) to study the effect of feeding during pregnancy on subsequent lactation performance of the cows. It was observed that during pre-calving period cows on ad. libitum feeding gained significantly (p<0.05) more body weight than that of cows on restricted feeding ($38.50{\pm}6.04$ vs $21.37{\pm}8.04kg/cow$).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birth weight of calves of restricted ($21.31{\pm}2.18kg$) and ad. libitum ($20.31{\pm}3.27kg$) groups. Dietary energy intake of ad. libitum group ($50.22{\pm}4.24$ MJ ME/d/cow) was significantly higher (p<0.01) than that of restricted group ($39.76{\pm}1.03$ MJ ME/d/cow). During lactation period cows that were on restricted feeding produced little more milk (3.06 lit/cow/day), than that of the cows on ad. libitum feeding (2.84 lit/cow/day). Although growth rate of the calves of restricted group upto one month ($0.23{\pm}0.09kg/calf/d$) was significantly (p<0.01) higher than that of ad. libitum group ($0.17{\pm}0.08kg/calf/d$) but after four months the growth rate of the calves of two groups become nearly similar ($0.35{\pm}0.02$ vs $0.37{\pm}0.03kg/calf/d$) and difference between them was non-significant. During lactation period cows of restricted group gained little weight but cows of ad. libitum group lost significantly (p<0.05) more weight. Per day metabolizable energy intake in both group during lactation period was nearly similar (67.54 vs 69.58 MJ ME). It is concluded that ad. libitum feeding during last trimester of pregnancy is neither economic for getting maximum milk yield nor for calf growth rate and MAFF, recommended level of dietary energy during that period could be applied on our pregnant crossbred dairy cows.

솔잎혹파리가 소나무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한 연구(研究)(II) - 소나무의 피해(被害) -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on the Growth of the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II) - Growth impact on red pine -)

  • 박기남;현재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87-95
    • /
    • 1983
  • 솔잎혹파리가 소나무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그 발생경과년수(發生經過年數)가 서로 다른 충청남도(忠清南道) 서천군(舒川郡), 보령군(保寧郡), 홍성군내(洪城郡內) 9개(個) 지역(地域)에서 조사(調査), 비교(比較)하였다. 이 조사(調査)는 피해허용한계(被害許容限界)를 알기 위한 첫 단계(段階)로 소나무피해(被害)의 개황(槪況)을 본 것으로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솔잎혹파리가 발생(發生)된 소나무의 피해(被害)는 4~5년간(年間) 지속(持續)되는데 2~3년차(年次)에 가장 심(甚)하였다. 2) 솔잎혹파리의 충영형성(蟲廮形成)은 소나무의 직경생장(直径生長)과 수고생장(樹高生長)의 저해(沮害)를 동시(同時)에 일으킨다. 3) 소나무의 직경생장(直径生長)과 수고생장간(樹高生長間)에는 밀접(密接)한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으며 솔잎혹파리 피해(被害)에도 불구하고 이 관계(關係)는 교란되지 않았다. 따라서, 주신초(主新梢)의 생장저해(生長沮害) 상황(狀況)을 가지고 직경생장(直径生長)의 저해정도(沮害程度)를 추정(推定)할 수 있을 것이다. 4) 솔잎혹파리의 충영율(蟲廮率)은 북향(北向)에서 월등(越等)하게 높아 소나무의 고사(枯死)도 북향(北向)에서 높았다. 5) 솔잎혹파리로 인(因)한 13년생(年生) 소나무의 재적생장손실(材積生長損失)은 수확표와 비교(比較)할 때 75~85% 이상(以上)이 되고 이 피해(被害)는 정상적(正常的)인 생장(生長)을 되찾아도 복구(復舊)되기 어려울 것 같다.

  • PDF

영구형 큰느타리버섯 재배사의 환경요인 분석 (Analysis of Environment Factors in Pleurotus eryngii Cultivation House of Permanent Frame Type Structure)

  • 윤용철;서원명;이인복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5-13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큰느타리버섯 재배사의 환경조절을 최적화하고 시스템 설계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진주인근에 위치한 샌드위치패널을 이용한 영구형 재배사 2동을 대상으로 2003년 11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재배사 내부에서 측정한 환경인자들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실험지역의 외기온은 평년의 것과 대체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시스템 변경전의 경우, 동절기에는 전체적으로 설정온도보다 낮게 유지되었고, 또 최상부와 최하부의 최대온도 편차도 $5.1^{\circ}C$ 정도로 상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시스템의 변경 후의 경우, 난방시 대체로 설정온도 범위에서 조절되는 경향을 보였고, 공기정체나 온도층의 역전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상대습도는 시스템 변경 후, $80{\sim}100%$ 정도의 범위로서 권장상대습도 범위에 있었다. 전체 재배기간동안 탄산가스 농도는 $400{\sim}3,300mg{\cdot}L^{-1}$ 정도의 범위에 있었다. 조도는 권장조도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산도는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수확량은 전체적으로 일정하지 않았고, 포기재배의 경우가 상대적으로 등외품이 적었으며, 증수 효과도 있었다. 전력소비량은 계절별로 일정한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하절기보다 동절기에 전력소비량이 현저히 많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