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urity spawning period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2초

척과천에 서식하는 점몰개(Squalidus multimaculatus)의 생태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udgeon, Squalidus multimacultus in Cheokgwa Stream, Korea)

  • 변화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01-608
    • /
    • 2021
  • 점몰개(Squalidus multimacultus)의 생태적 특징을 연구하기 위해 2020년 1월부터 12월까지 태화강 지류 척과천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종의 서식지 하상구조는 모래(sand)가 매우 풍부하였으며, 수심은 25~164cm이었고 평균 68cm로 다소 깊었으며, 유속이 0.21±0.26(0.16~0.43)m/sec로 느렸다. 암수 성비는 1 : 0.99이었다. 전장빈도분포도에 따른 연령은 여름(6-7월)기준으로 50mm 미만(29.4~49mm)은 만1년생, 50~69mm은 만 2년생, 70~89mm은 만 3년생, 90mm 이상은 만 4년생으로 추정되었다. 생식가능 전장의 크기는 암컷과 수컷 모두 40mm 이상 되면 성적 성숙이 이루어졌다. 산란시기는 7월에서 8월(산란성기 8월)이었며 수온은 23.8~25.4℃이었다. 포란수는 평균 1,395(648~2,201)개 이었고 성숙란은 노란색 구형으로 직경이 0.67±0.24(0.62~0.83)mm이었다. 먹이생물은 부착조류(Attached algae), 동물플랑크톤(Zooplankton), 수서곤충(Aquatic insects), 연체동물(Mullusca) 등이었다. 식성은 잡식성이었으나 섭취한 먹이의 양이 95% 이상은 부착조류로 식물성 먹이를 섭취하고 있었다. 점몰개의 크기가 클수록 동물성 먹이인 수서곤충을 섭식하는 양과 섭식 빈도가 증가하였으며 수서곤충을 섭식한 개체는 식물성 먹이를 거의 섭취하지 않았다.

한국 해역에 분포하는 오징어 (Todarodes pacificus)의 생식생태학적 방법에 의한 계군분석 (Population Analysis by the Reproductive Ecological Method for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Korean Waters)

  • 김영혜;강용주;최수하;박차수;백철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23-527
    • /
    • 1997
  • 본 연구는 분리된 세 개의 군이 서로 다른 독특한 생식생태를 가지는 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각군의 산란기, 난경 조성, 포란수 및 성숙 외투장을 조사하였다. 하계군의 산란기는 7월$\~$8월 (주산란기, 7월), 난경 분포는 $0.4\~2.4mm$ (최빈값, 0.8 mm)이었고, 포란수는 $F=0.1\times10^{-6}{\times}ML^{0.5036}$이었다. 추계군의 산란기는 9월$\~$이듬해 1월 (주산란기, 9월), 난경 분포는 $0.2\~1.4mm$ (최빈값, 0.8mm)이었고, 포란수는 $F=1.0017{\times}ML^{3.2864}$ 이었다. 동계군은 3월$\~$4월 (주산란기, 3월)이었으며, 난경 분포는 $0.4\~2.0mm$ (최빈값, 1.0 mm)이었다. 포란수는 $F=1.0499{\times}ML^{1.2953}$ 이었다. 성숙외투장은 하계군, 추계군 및 동계군 모두 $20\~22cm$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산란기, 포란수 및 난경의 분포는 군간에 차이가 있었으나 성숙외투장은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 (TEMMINCK et SCHLEGEL)의 체장$\cdot$체중의 상관 관계 (LENGTH-WEIGHT RELATIONSHIP OF SYNECHOGOBIUS HASTA)

  • 백의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7-119
    • /
    • 1970
  • 1967년 11월부터 1968년 12월까지 사이에 부산부근의 낙동강 유역인 선암, 가락, 성산, 하단에서 채집된 체장 7cm부터 33cm까지 사이의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 (TEMMINCK et SCHLEGEL) 1,050개체를 재료로 체장$\cdot$체중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1) 전 개체에서 체장의 신장에 따른 체중의 회귀를 식으로 표시하면 $Y=0.09863X^{2.17926}$이였다. 2) 체장 20.5cm부터 27.5cm까지 사이에서는 성숙자 산란의 영향으로 정상적인 상대 성장을 보이지 않는다 (Fig. 1). 3) 체장 7.5cm부터 19.5cm까지의 상대 성장은 $Y=0.04995X^{2.472l6}$, 체장 28.5cm부터 32.5cm까지의 상대 성장은 $Y=0.0004127X^{3.67265}$으로 표시되었다.

  • PDF

Age and Growth of the Elongate Ilisha Ilisha elongata

  • Kim, Jin-Koo;Choi, Ok-In;Kim, Joo-Il;Chang, Dae-Soo;Park, Kyeong-Do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0권1호
    • /
    • pp.30-36
    • /
    • 2007
  • We present age and growth data for Ilisha elongata, based on 363 specimens caught in 1999 and 2000 around Jeju Island and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Scale and ring radii of each ring group showed a direct one-to-one relationship, with ring radius increasing as scale radius increased. The relationship between fork length and scale radius was FL=39.553SR+60.935 for females, FL=39.474SR+54.026 for males, and FL=39.608SR+57.547 for both sexes. Monthly changes in the marginal index indicated that a new ring appears once each year (in July). Maximum age, mean age and mean fork length of fish were 10 years, 5.0 years, and 349mm, respectively. Von Bertalanffy's growth equations were $FL_t=495.4{\times}[1-\exp(-0.2586(t+0.6487))]$ for fork length (mm) and $W_t=1,112.5{\times}[1-\exp(-0.2586(t+0.6487))]^{2.874}$ for body weight (g) for both sexes. Monthly changes in the gonadosomatic index (GSI) indicated that the spawning period was in June and July, which corresponded closely with ring formation time. Differences in monthly GSI changes in 1999 and 2000 may be related to water temperature variation. Fecundity ranged from 5,664 to 176,290 eggs per individual (n=43, fork length 264-470mm). The relationship between fecundity(F) and fork length was $F=7.7{\times}10^{-7}{\times}FL^{4.9269}$.

Relationships between Fecundity and Total Length, Body Weight, Ovary Length, and Ovary Weight of Hilsa Shad, Tenualosa ilisha Hamilton, in Patuakhali, Bangladesh

  • Mondal, Borun Kumar;Devnath, Sukumar;Shaha, Dinesh Chandra;Khan, Mohammed Nurul Absar;Choi, Jae-Su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1권2호
    • /
    • pp.98-102
    • /
    • 2008
  • Relationships between total length (TL) and fecundity, body weight and fecundity, ovary length and fecundity, and ovary weight and fecundity of hilsa shad, Tenualosa ilisha Hamilton, collected from Kuakata, Patuakhali, Bangladesh, were studied. During the sampling period, the fecundity of hilsa was found to range from 169,000 (fish TL=28.0cm, weight=250g) to 1,088,000 (fish TL=40.5cm, weight=955g) with a mean of $520{\pm}53{\times}1,000$. The number of eggs per gram of ovary for samples collected from the anterior, middle, and posterior regions of the ovary were also recorded, but no significant variation was found among ovary regions at the 5% level of significance. Fecundity increased with fish TL and weight. The regression equations obtained in arithmetic forms of relationships between TL and fecundity (F), body weight (BW) and fecundity, ovary length (OL) and fecundity, and ovary weight (OW) and fecundity were $F=-887,896+40,511{\times}TL(r=0.85)$, $F=67,577+755.44{\times}BW(r=0.85)$, $F=-562,070+87,668{\times}OL(r=0.75)$ and $F=124,815+6,596.7{\times}OW (r=0.84)$,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s between fecundity and TL, body weight, ovary length, and ovary weight were linear, and the 'r' values were highly significant (p<0.01). These results provide valuable data for the restoration of hilsa resources, which are economically important but have shown reduced productivity in nations adjacent to the Bay of Bengal.

개량조개, Mactra chinensis Philippi의 성성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xual Maturation of Hen Clam Mactra chinensis Philippi)

  • 정의영;김영길;이택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01-508
    • /
    • 1987
  • 개량조개, Mactra chinesis의 자원관리 및 증양식을 위한 기초생물학적 연구로서, 서해안 옥구군 비웅도 근해에서 1984년 1월부터 12월까지 월별로 채집한 재료를 대상으로 생식소발달, 생식년주기, 그리고 군성숙도를 조직학적 방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본 종은 자웅이체형 2매패로서, 생식소는 내장낭의 간중장선 하방으로부터 족부의 섬유성망상결체조직까지 불규칙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완숙란의 난경의 크기는 $50\~60{\mu}m$ 이었으며 젤라틴상의 피막으로 둘러 싸여 있었다. 산란은 수온이 $18.5\~27.0^{\circ}C$인 5월부터 9월에 걸쳐 일어나며 주산란기는 6월과 7월이었다. 개량조개의 생식년주기는 분열증식기, 성장기, 방출기, 퇴화 및 휴지기의 연속적인 5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비남도지수의 월별변화는 생식년주기와 밀접하게 상호관련되어 있었다. 암${\cdot}$수 개체들의 군성숙도는 각장 $3.6\~3.9cm$인 개체들은 $50\% $이상이었고, 각장이 5.0cm 이상인 개체들은 전 개체가 재생산에 참가하였다.

  • PDF

한국 서해 흰베도라치 (Pholis fangi)의 생식과 초기 생활사 (Reproduction and Early Life History of Gunnel, Pholis fangi in the Yellow Sea off Korea)

  • 황선도;이태원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18
    • /
    • 2001
  • 흰베도라치, Pholis fangi의 초기 생활사를 밝히기 위해 한국 서해의 대천 연안에서 1988년 3월에서 6월 사이와 1989년 2월에 흰베도라치 치어를 채집하였다. 성장에 따라 외부형태 변화와 이석을 관찰, 측정함으로써 출현양상과 산란시기 및 초기성장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1998년 5월부터 1999년 11월 사이에 매월 대천 해역에서 채집된 흰베도라치의 생식소 관찰로 산란기를 추정하였다. 2월에는 흰베도라치 치어가 천수만 안팎에서 넓게 분포하였다. 3월에서 4월 사이에 만 안쪽에서 주로 출현하였고, 5월에는 만밖에서 주로 나타났으며, 6월 이후에는 본 연구 해역에서는 채집이 되지 않았다. 이석은 초기에 둥근 모양에서 체장이 30~40 mm 정도 성장하면 타원형으로 변하며, 일륜으로 볼 수 있는 미세 성장선이 나타났다. 또한, 핵으로부터 30개의 미세성장선 이후에 깊게 파인 불연속선이 나타나는데, 체장 10 mm 이하의 자어 형태에서는 성장 정지선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불연속선은 연안측으로 회유하는 동안에 신진대사의 변화에 따라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흰베도라치의 초기성장은 다음과 같은 Gomertz식 TL = 6.702 exp {2.925 "1-exp (-0.0076 t)"} ($r^2=0.94$, N = 92)에 의해 추산되었다. 흰베도라치 이석에 처음으로 미세 성장선이 형성된 시기는 12월에서 1월 사이로 보여지며, 흰베도라치 성어의 생식소는 10월부터 성숙하기 시작하며 11월에서 12월 사이에 주로 산란하고 1월에는 산란을 마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흰베도라치의 부화시간은 한 달 정도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양식산 뱀장어 Anguilla japonica에 있어서 인공성성숙시기와 번식률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ship between Artificial Maturation Season and Reproduction Coefficient in the Cultured Eel Anguilla japonica)

  • 배준영;김대중;이정의;손상규;이종관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19-225
    • /
    • 2007
  • 본 연구는 양식산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인위적인 성성숙 처리시기와 번식률과의 상호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5월(봄)부터 익년 1월(겨울)까지 각 계절별로 수행되었다. 실험어의 인공 성성숙 유도를 위해 암컷($400{\sim}600\;g$) 뱀장어에 salmon pituitary extraction (SPE, 20 mg/fish/week)를 매주 복강에 주사하여 인위적인 성성숙을 유도하였다. 호르몬 처리 $8{\sim}13$주 이후 대부분의 개체들은 난황형성이 완료되었고, $17{\alpha}$, $20{\beta}-dihydroxyprogesteron$ (DHP, $2\;{\mu}g/g$ body weight)를 주사하여 배란을 유도하였다. 수컷 뱀장어($200{\sim}350\;g$)는 human chronic gonadotropin (HCG, 1 IU/g body weight/week)을 매주 복강에 주사하여 정자형성 및 배정을 유도하였고, 이후 상기의 개체들에 대해 자연산란에 의한 수정 및 인공수정을 병행하였다. 배란율, 부상률, 수정률 및 부화율을 포함한 계절별 번식률에 있어서 봄과 여름($5{\sim}7$월)에 인공성성숙을 유도한 실험구가 다른 계절에 비해 높았다. 산란수와 부화 유생수 및 부화유생의 생존일수는 번식률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양식산 뱀장어에 있어서 호르몬 처리에 의한 인공성성숙유도의 시기는 자연계에서 주산란시기인 봄과 여름철이 적합함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양식산 뱀장어의 적절한 인공성성숙시기는 배란율, 부상률, 수정률 및 부화율을 포함한 번식률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