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uration firmness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7초

매실의 성숙중 경도, 무기성분 및 펙틴질의 변화 (Changes in Firmness, Mineral Composition and Pectic Substances of Mume(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during Maturation)

  • 차환수;박용곤;박정선;박미원;조재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488-494
    • /
    • 1999
  • 매실의 성숙중 경도, 무기성분 및 펙틴질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과실중량은 성숙과 더불어 증가되어 개화 후 92일이 경과한 과실의 평균 중량은 64일 것에 비하여 212∼232% 정도로 증가되었다. 그리고 과실중핵 중량 비율은 감소한 반면, 횡경은 성숙과 함께 증가하였다. 과실의 경도는 '소매'의 경우 개화 78일 이후 급격히 감소한 반면 나머지 3가지 품종(남고, 백가하, 앵숙)은 유사한 경도의 감소를 보였다. 무기성분은 K이 전체의 85%를 차지하고 있으며, 과육의 비대와 함께 Ca와 Mg함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매실의 총펙틴 함량은 개화 후 71일까지 증가하다가 성숙이 진행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과실의 연화와 함께 수용성펙틴 함량은 증가하고 염산 가용성펙틴은 감소하였다. 총펙틴에 대한 가용성펙틴의 구성비는 염산 가용성펙틴이 66∼76%로 가장 높았고, 수용성펙틴 8.4∼19.7%, 염가용성펙틴 5.4∼7.5%, 알칼리 가용성펙틴 7.1∼8.3%등이었다.

  • PDF

온주밀감의 성숙과 저장 중 펙틴 함량의 변화 (Changes in Pectin of Satsuma Mandarin during Ripening and Storage)

  • 강문장;고경수;고정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8-43
    • /
    • 2000
  • Changes in firmness and pectin contents during maturation and sotrage of Stsuma mandarin (Citrus Unshiu Marc. var. miyagawa) were investigated. Firmness of fruits was decreased quickly from 1,176.8g-force to 503.6g-dorce. Satsuma mandarin was stored at 3$^{\circ}C$ and 85%${\pm}$5% relative humidity. Firmness were decreased from 538.9g-force to 336.9g-force during storage. Alcohol-insoluble solid(AIS) of peel and flesh were decreased quickly from 27.04g/100g to 12.30g/100g, and from 2.67g/100g to 1.91g/100g during maturation of fruits. During storage of fruits, AIS of peel was decreased from 14.32g/100g to 12.06g/100g . During maturation of fruits, water soluble pectin (WSP) of peel were increased from 420.82mg/100g to 601.62mg/100g as wet basis. Hexametaphosphate soluble pectin (HMP) was also increased from 450.17mg/100g to 577/53mg/100g. hydrochloricacid soluble pectin (HSP) was decreased from 1938.30 mg/100g to 695.14mg/100g. During storage of fruits, HMP and HSP of peel was decreased from 507.82mg/100g to 695.14mg/100g. During storage of fruits, HMP and HSP of peel was decreased from 527.82mg/100g to 275.47mg/100g , and from 672.28mg/100g to 351.36mg/100g, respectively. WSP of peel was increased from 543.70mg/100g to 584.31mg/100g. Total pectin substance (TPS) of peel was decreased from 2809.79 mg/100g to 1874.29mg/100g during maturation, and from 1723.80mg/100g to 1211.14mg/100g during storage, respectively. Composition ratio of pectin was in order of WSP>HSP>HMP.

  • PDF

복숭아의 품종과 숙도에 따른 세포벽 성분, 효소활성 및 조직의 변화 (Changes in the Cell Wall Components, Enzyme Activities and Cell Structure of Peach during Maturation)

  • 김미현;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07-116
    • /
    • 1994
  • This paper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activities of cell-degrading enzymes, cell wall components and cell structure of peach during maturation and storage for valuation of quality. The firmness of peach was decreased during maturation and storage, and was remarkably decreased in Daegubo than Yumyung. Polygalacturonase and $\beta$-galactosidase activities of peach were increased during maturation and storage, and were remarably increased in soft peach and in mature and soft peach, respectively. Contents of alcohol-insoluble substance, cell wall, and total and insoluble pectin of peach were decreased during maturation and storage, but cellulose and soluble pectin were increased. Intracellular space was enlarged during maturation and middle lamella was gradually degraded during maturation.

  • PDF

에테폰 처리가 자두과실의 성숙과 수확후 유통방법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phon treatment on the maturation of Plum fruits(Prunus salisina) and changes of the quality as affected by storage conditions)

  • 임병선;이종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55-170
    • /
    • 1996
  • In order to determine the physiolosical characteristics of plum fruits(Oishi wase) during maturation and guilty according to temperature after harvest, (2-chloroethyl) phosphonic acid(ethphon) 390ppm was sprayed on plum tree 11days before commercial matuarity in Suwon area. And also this study was acted to investigate fruits quility(Formosa) influenced by temperature(room, low) and polyethylene films(0.03, 0.06, 0.1mm), 1. Effect of ethphon on the fruits maturation and fruits(Oishi wase) quility according to temperature ofter harvest. Ethephon stimulated fruits ripening but the firmness was reduced rapidly. Soluble solids and titratable acidity was not very different than each treatment. Carbon dioxide and ethylene production were advanced and the production peak were shown earlier by ethephon treatment as compared with control fruit. Anthocyanin development was enhansed rapidly by ethephon treatment but it exerted a bad influence on fruits color after harvest, The soluble sugars in fluits were mainly glucose, sucrose, and fructose. Those content were higher in treated fruit than control. The organic acid was mainly malic acid. The shelf life was less than about 5days at room temperature and about 10 days at low temperature. 2. Fruits(Formosa) quility as affected by polyethylene film bagging. The polyethylene films well maintained the firmness both room and low temperature. Low temperature was more effective in maintaining titratable acidity than room temperature, especially polyethylene films. On the Other hand, soluble solids content was not shown wide differance between room and low temperature. Polyethylene film showed a high resperation rate, the rate was higher at room temperature than low temperature and thicker films revealed higher rate. Otherwise, ethylene production was low in all treatment Polyethylene film inhibited the coloration of fruits, decreased anthocyanin content. Fruits coloration delayed by low temperature in control. The shelf life of plum fruits was about 6 days at room temperature and 13 days at low temperature in control Polyethylene film had no advantage on shelf life both at room and low temperature.

  • PDF

‘Bing’ 체리의 숙기에 따른 당도와 이화학적 품질인자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Soluble Solid Content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ing’ Cherry at Different Stages of Ripening after Harvest)

  • 홍윤표;최선영;조미애;최선태;김성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70-375
    • /
    • 2010
  • `Bing' 체리의 품질 요인간 상관성을 구명하기 위해 숙기에 따른 착색 정도 정도로 light red (LR)와 dark red (DR) 단계로 시료를 분류하였다. 분류된 체리를 사용하여 당도에 미치는 이화학적 품질 요인들 간의 상관성을 조사하여 소비자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품질 지표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체리의 주요 유리당 함량 분포는 착색이 많이 진행된 DR 단계의 체리에서 높았으며, 유기산은 숙기에 따라 차이는 없었으나 고경도구가 저경도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LR 단계의 'Bing' 체리의 경우 경도, 색도, 산도가 당도와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DR 단계의 체리에서는 경도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경도와 당도간의 상관성은 200개의 과실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구한 결과에서도 마찬가지로 정의 상관성을 보였다. 따라서, 'Bing' 체리의 당도, 경도, 색도는 관능적 적합성에서 좋은 지표로 사용될 수 있고, 특히 경도는 품질특성을 판단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Ethephon 및 Dichlorprop 처리가 배 '신고'의 과실 생장과 성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ephon and Dichlorprop on the Growth and Maturation of Fruit in 'Niitaka' Pears)

  • 이재창;권오원;황룡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21권2호
    • /
    • pp.81-91
    • /
    • 1994
  • 식물 생장조절제인 ethephon과 dichlorprop 처리가 배 '신고' 과실의 생장과 성숙에 대한 영향을 살피기 위하여 만개후 8주를 전후하여 시기와 농도를 달리 처리한 다음 과실의 비대 생장과 숙기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Ethephon은 25-100ppm, dichlorprop는 20-4ppm 농도 범위에서 처리 시기나 농도에 관계없이 모두 과실의 비대 생장을 억제시켰으며 괴질 비대 억제효과는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커지는 경향이었다. 반면에 과육의 정도는 약제 처리에 의하여 빠르게 저하된 경향이었으며 특히 ethephon 10ppm처리시 성숙기의 경도가 다른 처리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반면에 지색은 약제 처리시 빠르게 변화하였고 따라서 숙기는 ethephon 처리시 2-3일, dichlorprop 처리시 3-4일 촉진되었다. 또한 두 약제 모두 과실의 ethylene 생합성량의 증가를 촉진시켰으며 최대 생합성량도 증가된 경향이었다. 또한 수확기의 phenol 함량도 약제 처리에 의하여 감소된 경향이었다. 그러나 가용성 고형물 및 산 함량은 약제 처리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

  • PDF

대추 성숙중의 세포벽 성분과 세포벽 분해효소의 활성 변화 (Changes in the Cell Wall Components and Cell Wall-Degrading Enzyme Activities of Jujube Fruits during Maturation)

  • 손미애;서지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85-193
    • /
    • 1995
  • This paper was investigated the changes of the cell wall components, enzyme activities during ripening of jujuba fruits for elucidating the softening metabolism of jujuba fruits. Firmness were decreased during ripening. Moisture content did not show any notable cahanges until ripening stage but they decreased a little In overripe jujuba fruits. Polygalacturonase activities were not detected at nature green stage and $\beta$-galactosidase activities were until turning stage. But polygalacturonase activities in ripening and overripening were 51.31 and 100.72 units/100g-fr, wt. respectively. $\beta$-galactosidase activities were 16.05 and 182.55units/100g-fr. wt. in the same stages. The content of water-soluble protein was increased in overripening. Stage the contents of cell wall and alcohol-insoluble material were. decraesed during maturation, but water-soluble material was increased. The pectin and alkali-soluble hemicellulose were increased until ripening stage, but decreased in overripe jujube fruits. The total pectin and insoluble pectin during ripening, but decreased in overripe jujuba fruits.

  • PDF

봄배추의 수확시기가 김치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ring Napa Cabbage Kimchi Harvested at Different Times)

  • 조순덕;방혜열;이은지;김건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88-193
    • /
    • 201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prolong the storage period and maintain quality of kimchi made from spring napa cabbage, which is used less frequently than winter napa cabbage. The results show that the firmness of kimchi from early July, the latest harvest perio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kimchi from mid-June. However, as maturation proceed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following the harvest period when kimchi was stored for 8 weeks. Regarding pH and acidity, which are highly related to maturation of kimchi, pH generally decreased from the initial storage period while acidity increased. In the sensory evaluation, appearance was best in kimchi manufactured in late June according to manufacturing and maturation periods (p<0.05). After 4 and 8 weeks of storage, kimchi manufactured in early July had the highest score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processing period.

배 신품종 '창조'의 성숙 중 품질 요인 변화 및 수송온도 환경에 따른 반응성 (Evaluation of the Fruit Quality Indices during Maturation and Ripening and the Influence of Short-term Temperature Management on Shelf-life during Simulated Exportation in 'Changjo' Pears (Pyrus pyrifolia Nakai))

  • 이욱용;최진호;안영직;천종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78-385
    • /
    • 2017
  • 국내에서 육성된 중생종 동양배 품종인 '창조'는 성숙기간 중 지속적으로 과실이 비대하여 600g대의 편원형 과실로 발달하였다. 성숙기간 중 경도는 경시적으로 저하되어 만개 후 153일인 9월 13일에 32.58N으로 조사되었고 만개 후 160일에는 26.44N으로 급격히 경도가 저하되었다. 식감과 관련된 품질요인 중 과실의 전분함량은 만개 후 153일에 0.737, 만개 후 160일에 0.451로 전분함량이 급속히 감소하였고, 과육의 세포벽함량을 조사하였던 결과, 과실비대가 증가하고 과실성숙의 진행과 더불어 알코올불용성물질 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과피색차 중 적색도($a^*$)는 만개 후 139일 이후 양의 값을 보여 외관상의 과피녹색 발현이 소실되었는데 과피의 SPAD 값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동일하게 엽록소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Hue angle 역시 성숙과 연화기간 중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수확시기의 지표로 활용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성숙기간 중 과육 내에 축적되는 당 성분을 분석한 결과, 만개 후 153일에 총량이 최대치를 보였는데 전 생육시기에 걸쳐 전체 당성분 중 과당이 우점하고 있었고, 과실성숙도가 높아질수록 자당의 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만개 후 160일에 수확한 과실에서는 자당이 과당을 넘어 우점하여 과숙단계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배 신품종 '창조'의 적정 수확시기는 만개 후 153일인 9월 13일 이전으로 평가되었고 수확시기를 놓친 경우에는 경도 등 과실의 품질이 급격하게 하락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대만 지역 수출을 모의하여 단기수송온도 설정을 위한 수확 후 저온순화 실험을 실시한 결과, 만개 후 146일에 수확한 과실이 만개 후 153일에 수확한 과실에 비하여 $25^{\circ}C$ 유통 후 높은 경도를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고 최종 수송 목표온도인 $5^{\circ}C$로 저하되는 속도가 느릴수록 과육장해의 발생심도 및 에틸렌발생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므로 '창조' 품종에 있어 동남아 지역 수출 시 생리장해 및 과실품질 유지를 위해서는 수확시기를 만개 후 146일 이전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창조' 배의 목적별 수확시기 결정 및 과실의 선별 기술에 일조하고 수출 시장에서의 한국산 배의 신인도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한 '미황' 복숭아 과실의 성숙도 분류 (Grading of Harvested 'Mihwang' Peach Maturity with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신미희;장경은;이슬기;조정건;송상준;김진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70-278
    • /
    • 2022
  • 본 연구는 무대재배 복숭아 '미황'을 대상으로 성숙기간 중 RGB 영상을 취득한 후 다양한 품질 지표를 측정하고 이를 딥러닝 기술에 적용하여 복숭아 과실 숙도 분류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실시하였다. 취득 영상 730개의 데이터를 training과 validation에 사용하였고, 170개는 최종테스트 이미지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을 활용한 성숙도 자동 분류를 위하여 조사된 품질 지표 중 경도, Hue 값, a*값을 최종 선발하여 이미지를 수동으로 미성숙(immature), 성숙(mature), 과숙(over mature)으로 분류하였다. 이미지 자동 분류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컨볼루션 신경망) 모델 중에서 이미지 분류 및 탐지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는 VGG16, GoogLeNet의 InceptionV3 두종류의 모델을 사용하여 복숭아 품질 지표 값의 분류 이미지별 성능을 측정하였다. 딥러닝을 통한 성숙도 이미지 분석 결과, VGG16과 InceptionV3 모델에서 Hue_left 특성이 각각 87.1%, 83.6%의 성능(F1 기준)을 나타냈고, 그에 비해 Firmness 특성이 각각 72.2%, 76.9%를 나타냈고, Loss율이 각각 54.3%, 62.1%로 Firmness를 기준으로 한 성숙도 분류는 적용성이 낮음을 확인하였다. 추후에 더 많은 종류의 이미지와 다양한 품질 지표를 가지고 학습이 진행된다면 이전 연구보다 향상된 정확도와 세밀한 성숙도 판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