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experience

검색결과 427건 처리시간 0.026초

Forty-five Years of HPM Activities: A Semi-personal Reflection on What I Saw, What I Heard and What I Learn

  • Keung, Siu Man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261-275
    • /
    • 2020
  • HPM (History and Pedagogy of Mathematics) activities deal with integrating the history of mathematics with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As a teacher of mathematics the author will share his personal experience in the engagement of HPM activities during the past forty-five years with fellow teachers who are interested in such activities and who may wish to know how another teacher goes about doing it.

근거이론을 통한 수학학습의 성공경험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the successful experience in mathematics learning based on grounded theory)

  • 김홍겸;고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4호
    • /
    • pp.491-513
    • /
    • 2023
  • 수학학습에서 좋은 학업성취를 내는 것은 인지적 요인, 정의적 요인, 사회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는 매우 복잡한 과정이다. 지금까지 수행된 다수의 선행 연구들에서 수학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한 요인들이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수학학습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변인을 제한하여 연구를 수행했기에 학습자의 관점에서 수학학습에 있어서의 좋은 성취를 얻기 위해서는 어떠한 점이 필요한지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 결과를 제시하지는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학학습에서 성공을 경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수학학습에서 성공을 경험한 학생들이 어떠한 경험의 과정을 겪었는지를 근거이론의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수학학습의 성공 경험에 이르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새로운 국면 단계', '경험 축적 단계', '견디기 단계', '유지 노력 단계'의 과정을 거쳐 성공적인 학습자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수학학습에서 성공을 경험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수학학습에서 성공을 경험하기 위해 어떠한 행동이 필요한지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Numbers Always Make Sense″: Janie′s Experience of Learning to Teach Elementary Mathematics

  • Pang, Jeong-Suk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7권1호
    • /
    • pp.25-40
    • /
    • 2003
  • In order to provide pre-service teachers with rich contexts for learning to teach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rograms usually combine a mathematics methods course with clinical teaching experiences. This paper explores a student-teacher's experience of loaming to teach mathematics by observing one mathematics methods course she was enrolled in and her actual classroom teaching. In particular, this ethnographic case study examines how the student-teacher understands and applies messages from the methods course to her teaching practices. Some differences emerge with regard to ideas and practices. The underlying factors for explaining the gaps are discussed. Finally, this paper provides some implications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PDF

수학교육의 통합적 접근에 대한 탐색적 논의 (Exploratory discussions on an integrated approach to mathematics education)

  • 유충현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2권2호
    • /
    • pp.291-300
    • /
    • 2016
  • The integra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is required Fundamentally discussion about the nature and purpose of mathematics education. After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that, Practical approach of that can be correctly realized. However, It is the impression that theoretical discussions and practical action about the current discourse about integra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are the wrong order. To understand the practical action for the integrated approach in mathematics education, theoretical discussion of the integrated approach of mathematical education is properly required.

고등학교 수학 교사가 학생 지도에서 겪는 어려움 (Difficulties of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in Guiding Students)

  • 유기종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47-61
    • /
    • 2019
  • 본 연구는 6개 시 도 36명의 고등학교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학생 지도에서 겪는 어려움을 탐색하고, 교사의 성별, 직위별, 경력별로 어려움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 결과 수업 요인 중 학생 지도에서 겪는 교사들의 어려움은 학생 평가, 교수 학습 방법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집단별 평균 차이 검증은 대체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학 교과 내용학과 교육학이 학생 지도에 도움이 된 정도는 선행연구와 달리 두 가지 모두 다소 낮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수학실의 기능 및 활용 방향 탐색 (A Study on the Configuration and Utilization of Mathematics Room in the Elementary School)

  • 고정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4권1호
    • /
    • pp.29-44
    • /
    • 2014
  •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수학교과교실의 활용에 관한 내용이 언급된 후, 중등학교에서는 2014년까지 모든 학교에서 수학교과교실제가 전면 시행될 계획이다. 본 연구는 수학교과교실의 활용이 초등학교로 확장될 것으로 보고, 초등학교에서의 수학실의 기능 및 활용 방향을 탐색하였다. 수학실에 관한 문헌연구를 통해 설문을 구성하여 현직 초등학교 교사들을 중심으로 수학실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수학실의 기능과 활용에 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실의 주요 기능으로 수학문화체험실, 수학레크리에이션실, 수학특별수업실세 가지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차후 중등학교의 수학교과교실과는 차별화되는 초등학교 수학실의 구성 및 활용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수학교육에서 몰입(flow)에 대한 가능성의 탐색 (Understanding Flow in Terms of Perspectives of Mathematics Education)

  • 고상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1-11
    • /
    • 2008
  • 요즘 사회 현상학에선 몰입(flow)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몰입이란 쉽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아주 버겁지도 않은 과제를 극복할 때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황홀한 상태라고 한다. 누구나 몰입경험으로 인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면 여러 교과분야에서도 학생들이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돕고 안내하는 것은 미래에 더욱 능력 있는 문제해결자가 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 될 것이므로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수학교육입장에서 몰입을 이해하고 이를 해석해보아 그 유용성을 인식하고, 또한, 앞으로의 몰입을 구체화할 수 있는 연구의 선행연구로써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참여수학을 통한 수학교육 활성화를 위한 모델 개발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Enhance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Using Participatory Mathematics)

  • 박만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557-571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주어진 수학을 피동적으로 사용하는 기존의 입장을 넘어 수학적인 개념을 실생활에 적용하고 참여하는 수학적인 경험을 통하여 수학의 힘을 체험하도록 하는 모델을 적용하여 보다 발전된 모델을 만드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소재를 가지고 서울 시내 초등학교 6학년 2개 반을 선정하여 60차시의 수학 수업을 한 후 교사 및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처음에 학생들은 익숙하지 않은 수업의 방식에 쉽게 적응하지 못했으나 몇 차시의 수업을 하고 난 후에는 매우 적극적인 참여를 하였으며, 수학이 이상생활에 적용되고 수학이 생활을 바꾸어 나갈 수 있음을 체험하며 수학적인 힘을 경험하며 이를 흥미를 가지고 활발히 수학 학습에 임하였다. 이 모델은 전통적인 수업의 보완적인 학습으로 일반 학급에서도 한 학기에 몇 번이라도 적용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단순히 주어진 수차의 연습에서 벗어나 보다 적극적인 참여자로 그리고 사회를 바꾸어 나가는데 수학을 사용하는 시민으로 살아가도록 할 필요가 있다.

  • PDF

중등수학 탐구를 위한 예비수학교사의 수학프로그램(GrafEq.) 활용 사례 (The Case Study of Using GrafEq, b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for Exploring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 김남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3권4호
    • /
    • pp.405-417
    • /
    • 2004
  • This study is on the use of mathematics program for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According to the ‘technology principle’ by NCTM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by the 7th curriculum, we developed mathematics learning activities with mathematics program. This activity is to construct designs with graphs by using mathematics program(GrafEq.). In this study, we practiced these learning activities with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he mathematics educational effects of these learning activities in this study are analyzed as follows; active & spontaneous search for mathematical knowledge, the experience of problem solving, affirmative view-point of mathematics, understanding of practical use of mathematics, acquisition an interest & motivation of learning mathematics etc. When students learn graphs of function, the concept of inequality in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class., mathematics teachers can make a good use of constructing designs by mathematics program(GrafEq.). This will help to practice of teaching-learning methods by the 7th curriculum.

  • PDF

Authentic Investigative Activities for Teaching Ratio and Propor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 Ben-Chaim, David;Ilany, Bat-Sheva;Keret, Yaff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2권2호
    • /
    • pp.85-108
    • /
    • 2008
  • In this study, we created, implemented, and evaluated the impact of proportional reasoning authentic investigative activities on the mathematical content and pedagogical knowledge and attitudes of pre-servic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For this purpose, a special teaching model was developed, implemented, and tested as part of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training programs conducted in Israeli teacher colleges. The model was developed following pilot studies investigating the change in mathematical and pedagogical knowledge of pre- and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due to experience in authentic proportional reasoning activitie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that application of the model, through which the pre-service teachers gain experience and are exposed to authentic proportional reasoning activities with incorporation of theory (reading and analyzing relevant research reports) and practice, leads to a significant positive change in the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content and pedagogical knowledge. In addition, improvement occurred in their attitudes and beliefs towards learning and teaching mathematics in general, and ratio and proportion in particula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