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curriculum revision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9초

Issues Concerning the Curriculum Revision Process and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 Park, Kyungmee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8권2호
    • /
    • pp.95-10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agnose the problems of the revision process of the curriculum, and identify the issues in relation to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From the review on the curriculum revision process in Korea, three issues were identified; timing and scale of curriculum revision, research and curriculum revis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vision of the overall curriculum and that of a subject curriculum. Regarding the mathematics curriculum, the three issues were raised for further discussion; lack of philosophy behind the mathematics curriculum, optimization of mathematics educational content, and differentiated curricula for students of different abilities.

  • PDF

우리 나라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분석 및 제언 - 교육과정 총론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and a Proposal on the Revision of the Mathematics Curriculum -Focused on the Relationship with Curriculum -Introductions-)

  • 나귀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369-381
    • /
    • 1999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nd propose the desirable relationships between mathematics curriculum and curriculum-introduction. Un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coherence of mathematics curriculum and curriculum-introductions which have been revised through the seven curriculum-revisions to the present. And we analyze the change in the education. On the basis on this analysis, we propose mathematics textbooks which can be said that have a strong impact on the practice of mathematics the important poi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revision. First, we need to reconsider the order of the mathematics curriculum-revisions which has been going on from curriculum-introduction to mathematics curriculum. Second, we should take more efforts in developing the mathematics textbooks and reflect the voice of the mathematics textbooks and reflect the voice of athematics leachers in the more positive way.

  • PDF

교육과정 개정의 시사점 도출을 위한 싱가포르와 인도 수학 교육과정의 비교${\cdot}$분석 (A Comparative Study of Mathematics Curriculum in Singapore and India to Search for the Implication for the Curriculum Revision in Korea)

  • 박경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4호
    • /
    • pp.497-508
    • /
    • 2005
  • The investigation of the curriculum in other countries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to reflect our own curriculum. Since Korea is now under the curriculum revision, international comparativ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curricula of Singapore and India to elicit some implications. These two countries were especially chosen because their curricula have not been actively investigated yet. Singapore mathematics curriculum starts the tracking based on students' mathematical ability from the 4th grade, and provides different curricula for the three tracks. This differentiated curriculum provides rich implications to next Korean curriculum which aims to classify the contents based on students' mathematical achievements. Indians, who have contributed significantly in the history of mathematics, have unique mathematics curriculum, remote from so called 'canonical curriculum'. After the U.S. announced the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 for School Mathematics in 1989 and the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in 2000, many countries benchmarked these NCTM documents, and Korea was no exception. Since each country has their own school system, educational environment, and national mentality, it is not desirable to just adopt the curriculum of other countries. In this regard, Indians who have preserved their own mathematics curriculum can be a model. In sum, when we revise the curriculum, it is required to keep the balance between the open-mindedness to accept the strengths of other curricula, and the conservative attitude to preserve our own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 PDF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절차에 관한 제언 (A Suggestion for Direction and Process of Revision on Mathematics Curriculum)

  • 신현용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2호
    • /
    • pp.169-178
    • /
    • 2005
  • We briefly survey the previous researches on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n. Without discussing deeply on each issue, we do on some issues. At the end of this article we suggest some direction and process for future revision of mathematics curriculum.

  • PDF

한국의 수학교육 평가 유형에 관한 연구동향

  • 김영옥;정성희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8권4호
    • /
    • pp.487-504
    • /
    • 2012
  •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related to mathematics education evaluation in the analysis of the articles on , . The study explores the future direc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assessment research by investigating whether such evaluation was suitable for the expectation about the assessment required in the current mathematics curriculum.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evaluation-related researches based on Korea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from 1991-2010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 on the mathematics education evaluation in each season in Korea, analyze the articles by 'monitoring of student's progress', 'judgement on instruction', 'giving the value on mathematics achievement of students', 'value judgement of the program' that were the purpose of evaluation presented in 1995 NCTM(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As a result, looking at the research trend classified by the time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had the most number of the papers announced from 1997-2006. Despite 2007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was the short period from announced 2007-2008 before the next educational curriculum was placed, 11 papers(34.4%) were published. According to the category by the purpose of the assessment prescribed in NCTM, it showed that researches of 'monitoring of student's progress(46.9%)' were the most, those of 'value judgement of the program' and 'giving the value on mathematics achievement of students had a similar percentage.

초등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문자와 식 내용 분석 -6차와 2007년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Analysis on letter and expressions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김성애;김성준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05-128
    • /
    • 2013
  •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7차 이후 2007, 2009 개정 교육과정을 거치면서 다양한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 가운데 초등수학 교과서의 내용 변화에 주목하고 있으며, 특히 초등수학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문자와 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문자와 식은 6차 교육과정에서는 '관계' 영역에서, 7차 교육과정에서는 '문자와 식' 영역에서, 그리고 2007 교육과정에서는 '규칙성과 문제해결' 영역에서 다루어져왔다. 특히 7차 교육과정에서는 초등수학에서 문자가 도입되지 않았으나, 6차와 2007년 교육과정에서는 초등수학에서 문자 x의 도입, 등식의 성질, 방정식 등이 다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수학에서 이러한 변화를 겪고 있는 문자와 식에 대하여 교육과정별 교과서에 제시된 문자와 식의 내용 및 지도 시기, 지도 방법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자 x의 도입, 등식의 지도, 방정식의 지도와 같이 3가지 주제를 구분하고, 이들 각각에서 초등수학을 중심으로 6차 교육과정과 2007년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동시에 그 사이에 놓여 있는 7차 교육과정에서는 중학교 7-가 단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초등수학에서 문자와 식을 이해하고 지도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수학전쟁의 기원과 우리나라 수학교육과정 개정 - '중등수학교육의 문제점'과 '1923 Report' - (Mathematics Curriculum Revising Processes & Directions from the Standpoints of the Comtemporary Two Reports in the 1920's as the Origin of Math Wars)

  • 장경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4권4호
    • /
    • pp.645-668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학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과정에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최근 수학교육과정 개정에 나타나는 전통과 개혁, 내용과 방법 사이의 갈등을 일컫는 '수학전쟁'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수학전쟁의 기원이라 할 수 있는 1920년대 중등 수학교육과정에 관한 두 보고서, 일명 Kilpatrick 보고서와 1923 보고서에 주목하고, 보고서의 배경과 저자, 수학과 수학교육에 대한 관점과 보고서 내용, 그 파급 효과 등을 상세히 비교 대조하여 거시적 안목에서 교육과정 개정의 쟁점을 정리하였다. 또 Standards 중심의 개혁에 대한 최근 미국 수학전쟁의 양상, 해외 수학교육의 동향, 우리나라와 미국 수학 교육 개정 과정의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현재 우리나라 수학교육과정 연구와 개발에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과 현안 과제를 제안하였다.

  • PDF

중국 수학 교육과정의 내용과 구성 방식의 특징 (The Features of Contents and Structures of Mathematics Curriculum of China)

  • 박경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6권2호
    • /
    • pp.119-134
    • /
    • 2004
  • 중국은 여러 측면에서 우리에게 중요한 국가로 부상하고 있으며, 교육 분야도 예외는 아니다. 그러나 현재까지 수학교육 분야에서 중국에 대한 주목할 만한 연구는 이루어지고 못하다. 이에 찬 연구에서는 중국의 최근 수학 교육과정을 소개하고 우리나라의 교육과정과 비교하였다 중국 수학교육과정의 특징으로 내용 영역 구분의 광역화, 집중형, 선형적 내용 구성, 학습 목표의 구체적 진술과 예제의 제시 등을 추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차기 교육과정 개정에 참고할 만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한·일 수학과 교육과정의 외·내적 체재 비교 분석 : 직전 교육과정과의 변화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external & internal structure of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Japan : Focusing on the aspects of recent revisions)

  • 권오남;이경원;이아란;한채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2호
    • /
    • pp.187-223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이 나아가야할 변화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의 2009,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일본의 2008, 2017 수학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초, 중, 고등학교급 전반에 걸쳐 직전 교육과정과의 변화를 살피고, 그 변화를 양국 간 비교하였다. 비교결과를 토대로 세 가지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양휘산법(楊輝算法)과 중학교 수학의 방정식과 함수 영역의 비교

  • 이광연;방지혜;이유호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7권2호
    • /
    • pp.243-259
    • /
    • 2011
  • The Yang-Hui arithmetic(楊輝算法) is a crucial textbook on mathematics for make out the Orient mathematics. In this thesis, compare the Yang-Hui arithmetic and the part of the equation and the function both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As well, drawing a parallel between two things is the solution that had given in the Yang-Hui arithmetic and have given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