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classroom discourse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5초

"Heart beating" of the classroom-Interaction in mathematics lessons as reflected in classroom discourse

  • Levenberg, Ilan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8권3호
    • /
    • pp.187-208
    • /
    • 2014
  • This study engages in the features of interaction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lessons as reflected in the class discourse. 28 pre-service teachers documented the discourse during observation of their tutor-teachers' lessons. Mapping the interaction patterns was performed by a unique graphic model developed for that purpose and enabled providing a spatial picture of the discourse conducted in the lesson. The research findings present the known discourse pattern "initiation-response-evaluation / feedback" (IRE/F) which is recurrent in all the lessons and the teacher's exclusive control over the class discourse patterns. Hence, the remaining time of the lesson for the pupils' discourse is short and meaningless.

중국 수학 교실에서 교사 발문과 담화 유형에 대한 탐색 (Exploration of Teacher Questions and Discourse Types in Chinese Mathematics Classrooms)

  • Liu, Wenti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4호
    • /
    • pp.487-509
    • /
    • 2022
  • 본 연구는 고등학교 진학을 위한 입시라는 독특한 수학 교실 배경이 있는 중국 중학교 수학 교실에서 일어나는 교실 담화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실 담화를 시작 발화로서 교사 발문 통계와 교사 발문 유형별 에피소드를 분석하였고, 교실 담화 구조 분석으로는 특히 다섯 가지 IRF 하위 유형을 밝혀낼 수 있었다. 중국 귀주성 귀양시에 위치한 H학교에 재직 중인 세 명의 수학 교사가 녹화했던 수학 수업 총 15개의 녹취록과 교사 서면 인터뷰 내용을 중심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보면, 차시별로 평균 20개 교사 발문이 관찰되었고 교사 발문의 사회적 스케폴딩 역할이 있었으며, 교사 발문 유형은 확인형 발문(이해확인 발문, 설명요구 발문, 상세요구 발문, 재확인 발문)과 정보형 발문(정보제시 발문)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교실 담화 분석에 따르면 IR형 담화 구조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IRF형 담화 구조의 경우는 단편적인 평가, 평가 및 이유, 근거 설명, 평가 및 학생 반응 재진술, 다른 사고나 해법 안내, 그리고 학생 답 수정이나 교사 의견 제시로 구분되었다.

예비교사들은 학생의 대답에 어떻게 피드백 하는가? - Lesson Play의 분석 -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Lesson Plays: How Do Preservice Teachers Give Feedbacks to Students in an Imaginary Classroom Discourse?)

  • 이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1호
    • /
    • pp.19-41
    • /
    • 2017
  • 이 연구는 a) 예비교사들이 생각하는 학생의 대답에 대한 피드백 패턴 및 교실 담화양상을 확인하고, b) 예비교사들의 피드백 패턴과 교실 담화를 개혁 지향적인 수업 동영상과 비교 분석하여, 교실 담화에 대한 교수전문성의 신장 방안에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동일한 교수 상황에 대해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가상적 교실 담화인 lesson play와 개혁 지향적 수업에 나타난 교사 피드백 패턴을 분석하여, 네 가지 피드백 패턴으로 구분하고 그에 따른 교실 담화의 특징을 논의하였다.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생각했던 교사 피드백은 주로 학생의 대답을 평가하고 의미를 전달하는 단성적 기능(univocal function)을 수행하는 것이었으나, 개혁 지향적 수업은 학생 전체에게 제기된 답에 대한 정당화-반박의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학생들의 의미 생성을 촉진하는 대화적 기능(dialogical function)의 피드백을 포함하고 있었다. lesson play의 단성적 담화와 수업 동영상의 대화적 담화의 비교 분석은, 교사의 피드백 발화가 교실 담화의 주 기능과 학생들의 인지적 참여 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 이자 '변수'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의 결과는 교사들이 높은 질의 교실 담화를 구현하기 위하여, (예비) 교사들이 구체적인 담화 맥락에서 선택할 수 있는 피드백의 다양한 가능성을 인지하고, 피드백 발화에서 '의미 전달'과 '의미 생성' 기능을 어떻게 조화시킬 수 있는지 성찰하는 경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담화 중심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의 분석 (An Analysis of Mathematics Instruction Focused on Discourse-Based Communication)

  • 김상화;방정숙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523-545
    • /
    • 2010
  • 수학적 의사소통이 학습과정에서 뿐만 아니라 수학교육의 목표로 강조되고 있으나 실제적으로 초등학교에서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에 대한 구체적인 지도방법이나 수업 사례 분석 등의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수학적 의사소통 중에서 담화 중심 의사소통 수업의 성취 요소와 목표를 고려하여 2 4 6학년 수학 수업을 실시한 후, 수업에서 나타난 성취수준을 분석하고 교사와 학생 간의 언어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담화 중심 수업을 실시한 세 교실에서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담화 중심의 수학수업 구현에 관한 시사점과 논의거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예비 수학 교사의 교사 담화에 대한 인식 분석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 of Teacher Discourse)

  • 이지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465-49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권위적 및 대화적 담화 사례의 교사 담화 평가에서 드러난 예비 수학 교사들의 인식을 질적 내용 분석으로 탐색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교사의 일방적 설명이나 학생 대답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지 않는 폐쇄적 발화에 비판적이었으며, 학생의 이유를 탐색하는 질문과 오답에 대한 개방적 태도를 지지했다는 측면에서 표면적으로 대화적 담화를 지향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사가 대부분의 인지활동을 대행하는 테스트 질문에 무비판적이었고, 학생들에게 제기된 답에 대한 수학적 판단 기회를 부여하여 대화적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교사 발문에 대해 심리적 저항을 보였다는 점에서, 예비교사들의 심층적인 권위적 담화 지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보고한 교사교육 입문 초기 예비교사들의 담화인식은, 교실 담화에 대한 교사 전문성 교육 과정 설계에 유용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Understanding of Science Classrooms in Different Countries through the Analysis of Discourse Modes for Building 'Classroom Science Knowledge' (CSK)

  • Oh, Phil Seok;Campbell, Todd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97-625
    • /
    • 2013
  • This study explored how teachers and students in different countries discursively interact to build 'Classroom Science Knowledge' (CSK) - the knowledge generated situatedly in the context of the science classroom. Data came from publicly released $8^{th}$ grade science classroom videos of five nations who participated in the Third TIMSS (Trend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video study. A total of ten video-recorded science lessons and their verbatim transcrip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a framework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of the study. It was revealed that a range of discourse modes were utilized and these modes were often sequentially connected to build CSK in the science classrooms. Although dominant discourse modes and their sequences varied among different lessons or different countries, the study identified three salient patterns of science classroom discourse: teacher-guided negotiation and the sequences of exploring - building on the shared and retrieving - elaborating. These patterns were found to be different from the discursive features commonly witnessed in the community of professional scientists and interpreted as implying the existence of unique epistemic cultures shared in science classrooms of different countries. Further studies are suggested to reveal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se epistemic cultures of science classrooms, as well as to confirm whether any cultural traits inherently shape the differences in science classroom discourse among different nations.

초등 수학 수업의 이해를 위한 관찰과 분석 (Observation and analysis of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discourse)

  • 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4권3호
    • /
    • pp.435-461
    • /
    • 2002
  • In this paper I attempt to survey on the theories of observation and analysis of mathematics classroom discourse. In order to discuss applicability of the theories I look at preservice teachers' observation of mathe-matics classroom and teachers' conception of mathematics lesson. In examining reports from preservice teachers' I identify how they understand mathematics lesson and how the theories can enhance their understanding. Not surprisingly, there are lots of obstacles for teachers to practice mathe-matics educational theories. 1 find some features of their efforts or attempts to overcome the obstacles in an attempt to gain insights into alternative ways of concep-tualizing the methods of observation and analysis through the interview and the discussion with teachers.

  • PDF

수학교사의 신념, 교실 규범 및 교실 담화가 교실 내의 공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Teachers' Beliefs, Classroom Norms and Discourse, and Equity in Mathematics Classrooms)

  • 황성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1권2호
    • /
    • pp.163-19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사의 신념, 교실 규범 및 교실 담화가 교실 내의 공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동일한 학교에 근무하는 세 명의 초등 교사의 신념과 수학 수업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교사의 수학 교수 학습에 대한 신념과 교실 내 학생들의 수학적 능력과 흥미에 관한 신념을 인터뷰를 통해 분석을 하였다. 둘째, 수학 교실 내의 교실사회규범과 (Classroom social norms) 사회수학적 규범 (Sociomathematics norms)을 탐험적 사례분석 (Exploratory case study) 방법을 통해 분석을 하였다. 셋째, 교실 담화의 주체와 목적을 분석하기 위해 카이 자승 검증을 (Chi-square test) 실시하였으며, 각 교실간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넷째, 수학교사의 신념, 교실 규범 및 교실 담화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교실 내 낮은 학업성취도를 가진 소외된 학생들이 (Marginalized low-achieving students) 어떻게 '수학을 하는 학생으로서'의 (doers of mathematics) 정체성을 형성해가고 이것이 어떻게 교실 내의 공정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사가 학생들의 수학적 탐구과정에 관심을 갖고 개개인의 능력과 참여를 고려해서 수학수업을 구성할 때 소외된 학생들이 긍정적인 자아를 형성하였으며 교실 내의 공정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교사가 학생의 수학적 흥미나 수학적 정확성에만 관심을 갖고 교사가 제시한 수학적 절차만을 사용하여 정확한 한 개의 답을 구하도록 지도할 경우 수학적 개념을 학원에서 미리 배워서 알고 있거나 기존에 높은 학업성취도를 가진 학생들만이 (Dominant high-achievers) 수학수업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수학 교사의 신념, 교실 규범 및 교실 담화가 교실 내의 공정성을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하는 연구에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고등학교 통계 수업 시간에 나타난 교사-학생 간 수업담화 분석 - Mehan의 이론을 중심으로 - (Classroom Discourse Analysis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in High School Statistics Class - Focused on Mehan's Theory -)

  • 이윤경;조정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2호
    • /
    • pp.203-22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통계 수업 시간에 발생하는 교사와 학생 사이의 수업담화의 특징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Mehan(1979a)의 이론을 바탕으로 교사와 학생 사이의 수업담화를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참여 수학교사의 전형적인 통계 수업담화에 해당하는 1차시를 선정하고 이를 수업의 구조, I-R-E 연속체, 수업의 사회적 참여 구조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참여 교사의 통계 수업은 Mehan(1979a)의 기본적인 수업 3단계인 도입-전개-정리의 틀이 분명하게 나타나는 지식 전달 위주의 강의식 수업 방식을 따르고 있었다. I-R-E 연속체를 살펴본 결과, 교사가 질문하고 교사가 답을 이야기하는 $I_T-R_T$ 구조가 자주 나타났으며, 학생의 참여가 거의 없는 독백적 수업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교사는 학생들이 담화에 참여할 수 있는 통계적 맥락을 형성하여 담화 학습 공동체를 만들고 메타과정적 유도행위를 통한 논증적 담화를 유도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An Elementary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of Using mathematical Tasks for Promoting Students' Understanding and Discourse

  • Cho, Cheong-Soo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6권1호
    • /
    • pp.39-51
    • /
    • 2002
  • This study described an elementary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of selecting and using mathematical tasks for promoting students' understanding and discourse. The informant of this ethnographic inquiry was a third grade teacher and has 1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multiple data sources, this study showed that based on his beliefs about the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and discourse, he continually employed two different types of tasks: open-ended tasks and tasks from students' mistakes and comments during discours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of teaching mathematics and the classroom norms for students' understanding and discourse are suggested to be given attention for further research on this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