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discussions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7초

단답형 문제를 이용한 수학 토론에 수반된 교수 업무 분석 (A Decomposition of the Work of Leading Mathematical Discussions with Single Case Questions)

  • 김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4호
    • /
    • pp.449-466
    • /
    • 2013
  • 수학 토론은 학생들의 수학 학습 및 수학적 관행을 신장시키는 방안으로서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수학 토론의 진행에 수반되는 교수 업무가 무엇인지 명시되지 않아서, 토론하는 방법을 교사들에게 가르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수학 토론 수업을 분석하여, 토론의 다섯 단계에 따라 수학 토론에 수반된 교수 업무를 구체적으로 구분하였다. 수학적 토론을 진행하는 주요 사안으로, 본 연구는 학생들이 중요한 수학적 아이디어를 탐험하도록 하며, 일관성있는 토론을 위해 수학적 관련성을 명백하게 밝혀야 하며, 교사 교육의 관점에서 교수 업무 분석의 중요성을 주장한다. 향후 연구로서 다양한 문제 유형에 대한 수학 토론과 관련된 교수 업무 분석을 제안한다.

  • PDF

수학교육의 통합적 접근에 대한 탐색적 논의 (Exploratory discussions on an integrated approach to mathematics education)

  • 유충현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2권2호
    • /
    • pp.291-300
    • /
    • 2016
  • The integra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is required Fundamentally discussion about the nature and purpose of mathematics education. After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that, Practical approach of that can be correctly realized. However, It is the impression that theoretical discussions and practical action about the current discourse about integra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are the wrong order. To understand the practical action for the integrated approach in mathematics education, theoretical discussion of the integrated approach of mathematical education is properly required.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한 5가지 관행의 적용 과정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이 직면하는 어려움 (Challenges faced by elementary teachers in implementing the five practices for effective mathematical discussions)

  • 방정숙;김소현;안효주;정지수;곽기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1호
    • /
    • pp.95-115
    • /
    • 2023
  • 많은 교사들이 수학 수업에서 효과적인 논의를 하고 싶어 하지만 정작 성공적으로 수행하기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해 교사가 알아야 할 5가지 관행'에 대해서 학습하고 이를 수업에 적극적으로 적용하는 과정에서 15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이 실제적으로 어떤 어려움에 직면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특히 본 연구 대상 교사들이 3~4명씩 교사 공동체를 구성하여 5가지 관행을 적용한 수업을 설계·실행·반성하는 과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학생들의 수준과 수업 환경에 적합한 과제를 선정하는 데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었고, 모든 학생들의 해결 방법을 점검하는 것, 그리고 학생들의 해결 방법을 핵심적인 수학적 아이디어와 연결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도안 작성하기, 다양한 교사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기, 학생의 발표를 시각적으로 공유하기 등과 같이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 강조되지 않았던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어려움을 분석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가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효과적인 논의를 이끌어 가고 싶은 교사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교사교육자에게 구체적인 사례를 통한 논의의 장을 확장하기를 기대한다.

Reconceptualizing Learning Goals and Teaching Practices: Implementation of Open-Ended Mathematical Tasks

  • Kim, Jinho;Yeo, Sheunghyu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35-46
    • /
    • 2019
  • This study examines how open-ended tasks can be implemented with the support of redefined learning goals and teaching practices from a student-centered perspective. In order to apply open-ended tasks, learning goals should be adopted by individual student's cognitive levels in the classroom context rather than by designated goals from curriculum. Equitable opportunities to share children's mathematical ideas are also attainable through flexible management of lesson-time. Eventually, students can foster their meta-cognition in the process of abstraction of what they've learned through discussions facilitated by teachers. A pedagogical implic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s that teachers need to improve additional teaching practices such as how to tailor tasks relevant to their classroom context and how to set norms for students to appreciate peer's mathematical ideas in the discussions.

수학 수업의 일부 국면에 나타나는 수업의 실제에 대한 일 논의

  • 김진호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8권2호
    • /
    • pp.233-249
    • /
    • 2012
  • Some discussions are made about practices which take places in some aspects of instructions from the viewpoints of traditional and reform based instruction. This kind of discussion is needed to be done, because there is no evidences to show that reform based instruction is mainly implemented among teachers even through reform based instruction has continued to be stressed sinc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as released. Some suggestions was made for consideration of further deep discussions based on the practices discussed earlier.

수학적 정당화가 문제 해결과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thematical Justification on Problem Solving and Communication)

  • 정인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6권3호
    • /
    • pp.267-283
    • /
    • 2013
  • 수학적 정당화란 일반적으로 적절한 근거에 기초하여 자신의 주장이 참임을 보이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교실 실제에서의 수학적 정당화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수학적 의사소통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수학적 정당화 활동이 학생들의 문제해결과 의사소통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학적 정당화 활동이 강조되는 문제해결 중심 수업을 실시하고 문제 이해 활동, 개별 탐구 활동, 소집단 토의 활동, 전체 논의 과정에서의 수학적 정당화 활동과 의사소통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적 정당화 활동은 학생들이 다양한 문제해결 방법을 찾는데 도움을 주었고 의사소통 과정을 촉진하였으며, 다양한 표현 방법을 사용하도록 자극하였다. 또한 수학적 정당화 활동은 학생들의 이해를 평가하는 방법이 될 수 있으며, 교실에서의 사회적 관계 및 역동적인 교실 문화를 형성하는데 기여하였다.

교사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초등 수학 수업 개선: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한 5가지 관행의 적용 (Improvement of Elementary Instruction via a Teacher Community: Focused on the Implementation of Five Practices for Orchestrating Productive Mathematics Discussions)

  • 방정숙;김주현;최예원;곽은애;김정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4호
    • /
    • pp.433-45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 15명과 교사 교육자 1인으로 구성된 교사 공동체에서 전체 논의와 학년별 논의를 바탕으로 Smith와 Stein(2018)이 제안한 5가지 관행을 적용하여 초등 수학 수업을 개선하고자 노력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활동을 통하여 대부분의 학년에서 관행이 매우 잘 실행되는 4수준을 유지하거나 관행의 수준이 점차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행별로 살펴보면, 목표 설정, 과제 선정, 예상하기, 선정하기의 경우 대부분의 학년에서 실행 수준이 상승하거나 4수준으로 유지되었으나, 계열짓기와 연결하기의 경우 실행 수준의 상승, 하락, 유지가 다양하게 드러났다. 또한 점검하기의 경우 잘못 적용하는 요소를 포함하는 2수준을 유지하거나 기껏해야 수준 상승 후 하락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사 공동체를 중심으로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실현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수학 교실 문화에 관한 소고 (A Consideration on the culture of mathematics classrooms)

  • 김남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5권2호
    • /
    • pp.163-172
    • /
    • 2001
  • Recently, higher discussions are made up on the culture of mathematics classrooms. These discussions are mostly about desirable culture and reform of culture in mathematics education. This paper is to offer a view point of seeing the culture of mathematics classroom. We need to look straightly our classroom as well as to reform the culture of mathematice classroom. This paper recommend sociomathematical norms to analyze and reform classroom culture. A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was analyzed to understand our own culture of mathematics classroom.

  • PDF

수학교과역량과 수학교사의 담론적 역량 (A mathematics teacher's discursive competence on the basis of mathematical competencies)

  • 최상호;김동중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377-39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과역량을 바탕으로 수학교사의 담론적 역량을 분석하여 구체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생들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20년 이상 교수법을 변화시킨 중학교 교사의 수업을 한 학기 동안 관찰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담론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는 문제해결 역량에서 문제 이해를 위해 학생들이 수학적으로 중요한 요소에 초점을 맞추게 하고, 추론 역량에서 수학적 정당화의 필요성 이해를 위해 사고를 명확히 하는 교사의 담론적 역량이 있었다. 그리고 창의 융합 역량에서 동료의 풀이 방법 공유와 다른 풀이 방법 활용을 격려하기 위해 논의를 생성하는 교사의 담론적 역량이 있었고 의사소통 역량에서 다양한 수학적 표현의 필요성과 차이점 협의를 위해 수학적 관계를 탐구하는 교사의 담론적 역량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수학 교수를 위해 필요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바탕으로 실행을 통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안함으로써 향후 교사교육과정 개발에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Mathematical and Pedagogical Discussions of the Function Concept

  • Cha, In-Sook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3권1호
    • /
    • pp.35-56
    • /
    • 1999
  • The evolution of the function concept was delineated in terms of the 17th and 18th Centuries' dependent nature of function, and the 19th and 20th Centuries' arbitrary and univalent nature of function. According to mathematics educators' beliefs about the value of the function concept in school mathematics, certain definitions of the concept tend to be emphasized. This study discusses three types - genetical (dependence), logical (settheoretical), analogical (machine/equations) - of definition of function and their valu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