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ss concrete, adiabatic temperature rise, temperature distribution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저발열 결합재 및 CGS를 잔골재로 치환한 매스콘크리트의 수화열 해석 (Hydration Heat Analysis of Mass Concrete Replacement of Low Heat Binder and CGS with Fine Aggregate)

  • 한준희;임군수;최일경;윤치환;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35-236
    • /
    • 2021
  • This study evaluated temperature distribution through adiabatic temperature rising test and hydration heat Analysis as a performance verification to utilize CGS as a hydration heat reduction material for mass concrete when replacing it with fine aggregat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 and the surface was the highest at about 30℃, followed by the CGS 50% at 26℃ and the low heat combiner FA 30% at 23℃.

  • PDF

매스 콘크리트의 온도분포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Variables in Temperature Distribution of Mass Concrete)

  • 정철헌;강석화;정한중;박칠림;오병환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6권5호
    • /
    • pp.203-212
    • /
    • 1994
  • 콘크리트는 경화도중 시멘트의 수화발열로 인한 비선형 온도분포가 발생한다. 이는 초기재령시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초과하는 인장응력을 유발시키고, 결국에는 균열을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온도분포에 주요한 영향을 주는 매스콘크리트의 발열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주요변수에 따른 단열온도 상승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단위시멘트량과 플라이애쉬 혼입량에 따른 콘크리트의 발열특성을 평가하였다. 이에 의해서 현장실험을 실시한 모의시험체에 대해서 유한요소 열전도해석(ADINA-T)을 수행하여 현장실험에서 결정된 실측결과와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와 실험결과는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향후 콘크리트 반죽 온도 변화가 콘크리트의 발열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 연구가 수행되면 보다 광범위하게 현장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