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tial art training satisfaction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전공만족과 무도만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경호전공과 무도전공 중심으로 - (Causal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of major and martial arts education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Security Service Major and Martial Arts Major -)

  • 김영현;김우진;민왕식;양영모;곽한병
    • 시큐리티연구
    • /
    • 제36호
    • /
    • pp.57-92
    • /
    • 2013
  • 본 연구는 경호 및 무도 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진로준비행동이 취해지는 매커니즘(mechanism)을 확인하고,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 준비행동을 촉진할 수 있는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 경호전공과 무도전공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 하였다. 이에 따른 표집방법은 비확률 표본추출법(nonprobability sampling)중 유의표집(purposive sampling)방법이며, 총 434부가 자료 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공만족과 무도수련만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을 각각 매개변수와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만족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둘째, 무도수련만족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만족은 진로준비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매개변수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공만족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공 집단별 잠재평균분석 결과, 전공만족, 무도만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 변인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 PDF

여가활동으로서의 무도스포츠 역할 재고를 위한 고찰 (A Study on Martial art for suggesting the role of Martial art Sports as a Leisure Activity)

  • 임영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564-570
    • /
    • 2020
  • 본 연구는 여가활동으로서의 무도스포츠의 역할과 가치를 정립하기 위한 연구의 방향 설정을 위하여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대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여가관련 학술지의 키워드, 주제 등을 추출하여 국내 학술지의 무도관련 연도별 논문과 현황을 SPSS 기술통계 방법을 사용하여 도출하였으며, 2016 국민생활체육 실태조사 보고서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대상은 2005년부터 2017년 사이의 여가관련 학회지의 '무도'와 '여가'를 키워드로 수집하였으며, 개별 연구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텍스트 분석(interpretative textual analysis)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2016 국민생활체육 참여실태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생활체육 중 강습경험이 있는 종목 중 태권도가 6.1%로 상위 5개 종목 중 5위로 나타났고, 학생들의 교외 체육활동 참여 종목과 향후 가입하고 싶은 동호회 역시 태권도와 검도가 각각 1순위와 2순위로 확인되어 이미 무도스포츠는 생활스포츠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관련 학회지의 무도관련 연구는 2006년과 2010년 각 3편씩으로 가장 많이 발견되었으나 2014년 이후에는 단 한편의 연구도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절대적인 연구 편수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여가관련 학회지의 연구 주제는 진지한 여가, 여자 대학생, 신체적 자기개념, 사회성 발달, 여가레크리에이션 수업, 직무만족, 생활만족, 수련, 여가제약 등으로 여가와 관련된 무도연구는 양적, 질적으로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내 학술지의 연도별 무도관련 연구 현황을 살펴보면 2007년 23편의 연구 중 2편이 여가를 주제로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 무도관련 연구와 여가관련 논문 수의 평균은 5.65%로 그 비율이 매우 낮다. 결론적으로 무도스포츠로서의 여가를 주제로 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한 결과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개선을 통한 미래사회에서의 삶의 질과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여가활동으로서의 무도스포츠의 역할과 가치를 재고할 수 있는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기계경비원의 경비능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Electronic Security Guard's Security Performance on Job Satisfaction)

  • 신재헌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627-639
    • /
    • 2021
  • 연구목적: 이 연구는 기계비원의 경비능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채용실태개선과 직무만족 개선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 연구이다. 연구방법: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관련분야에 대한 선행연구 등을 참조하여 이론적 배경을 구성하였고, 기계경비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얻어진 자료를 통계적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기계경비원의 경비능력인 학력, 무도능력, 근무기간, 신장, 체중, BMI지수는 직무만족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기계경비원들의 직무만족 수준을 강화하기 위하여 보수체계계선과 함께 이직율을 약화시키기 위한 방안 제시 및 채용 시 신체적 기준 강화 및 실무에 맞는 교육 강화 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