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supialization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8초

낭종성 법랑아세포종으로 변위된 매복치의 외과적-교정적 치료 (Surgical-Orthodontic Treatment of Impacted Teeth displaced by Unicystic Ameloblastoma)

  • 황현식;김현혜;김종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15-521
    • /
    • 1997
  • 하악 좌측 부위 부종을 주소로 내원한 10세 남환이 낭종성 법랑아세포종으로 진단되었다. 외과적 술식으로 조대술을 시행한 후 근심 매복되었던 제1대구치는 helical spring으로 인위적 맹출을 시행한 반면, 심하게 하방 변위되었던 제2소구치는 자연적 맹출을 기대하였다. 비교적 간단한 교정치료와 교합유도에 의해 양호한 영구치 교합이 확립되었다.

  • PDF

상악동을 침범한 함치성 낭종의 내시경을 이용한 치험례 (ENDOSCOPIC APPROACH FOR TREATMENT OF DENTIGEROUS CYST IN MAXILLARY SINUS)

  • 박용희;윤현중;김성원;이상화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9권3호
    • /
    • pp.250-254
    • /
    • 2007
  • Dentigerous cysts are the most common type of developmental odontogenic cysts. They form as a result of a separation of the follicle from around the crown of an unerupted tooth. Usually this lesion can be asymptomatic. Such cysts are often discovered accidently on inspection of x-rays. In other advanced cases, cortical bone expansion, displacement of teeth, secondary infection can be observed. The treatment of dentigerous cyst is enucleation. And according to size, location of lesion and environmental structure marsupialization can be considered. However, Marsupialization takes long treatment time and, cystic tissues are remained so secondary surgery may be needed for total removal., Risks of oroantral fistula, damage on maxillary sinus wall and infraorbital nerve can be considered as complications of conventional surgical treatment of cysts located in maxillary sinus. We treated third molar origin dentogerous cyst located in maxillary sinus removing endoscopically both the tooth and an associated dentigerous cyst. We report our clinical experience with literature review.

Reconstruction of extensive jaw defects induced by keratocystic odontogenic tumor via patient-customized devices

  • Park, Seok-Yong;Shin, Young-Jo;Kim, Chul-Hoon;Kim, Bok-Joo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7권
    • /
    • pp.37.1-37.4
    • /
    • 2015
  • Keratocystic odontogenic tumors can occur in any area of the maxilla or mandible. According to their size, location, and relations with surrounding structures, they are treated by cyst enucleation or enucleation after either marsupialization or decompression. Enucleation is performed when cysts are not large and when only minor damage to adjacent anatomical structures is expected. Although marsupialization and decompression follow the same basic bone-regeneration principle, which is to say, by reducing the pressure within the cyst, the former leaves a large defect after healing due to the large fistula necessary to induce the conversion of the cyst-lining epithelia to oral epithelia; the latter leaves only a relatively small defect, because of the continuous washing carried out by means of a tube inserted into a small hole in the cyst. In the latter case too, a decompressor appropriate for the focal position is required, owing to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the device and controlling for oral hygiene. We report herein decompression treatment with a patient-customized device for an extensive cyst in the anterior region of the mandible.

보존적 치료를 통한 단방성 총상형 법랑모세포종의 치험례 : 증례보고 (CASE REPORT : THE CONSERVATIVE TREATMENT OF UNILOCULAR PLEXIFORM AMELOBLASTOMA)

  • 최수진;지영덕;고세욱;김형우;최지연;이재환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4권4호
    • /
    • pp.498-502
    • /
    • 2008
  • Ameloblastoma is the most common aggressive benign odontogenic tumor of the jaws. Because of slow growth and tendency to local invasion of bone and soft tissue, high rates of recurrence are common. The treatment for ameloblastoma is still controversial and poses some special problems in children. Because of growth of the jaw and the different incidence, prognosis of the tumor make the surgical consideration different from adults. Radical resection cause facial deformity, jaw abnormal movement and masticatory disturbance especially to child and adolescents. So conservative treatment as enucleation, curettage is acceptable initial treatment of ameloblastoma in children who can be followed up in a precise, detailed manner. This report describes a case of unilocular plexiform ameloblastoma treated by enucleation and curettage followed by marsupialization.

함치성 낭의 조대술 후 이환치아의 맹출 양상 (ERUPTION PATTERN OF A CYST-ASSOCIATED MANDIBULAR PREMOLAR AFTER MARSUPIALIZATON OF A DENTIGEROUS CYST)

  • 김주영;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73-384
    • /
    • 2003
  • 사춘기 전 아동에서 흔히 발생되는 함치성 낭을 조대술로 치료한 후 낭에 이환된 치아의 맹출에 영향 미치는 제반요인을 분석하여 이환된 치아의 외과적 또는 교정적 치료 유무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하악 소구치 부위가 함치성 낭으로 이환되어 있으며 조대술 실시 후 8개월 이내에 촬영된 파노라마 관찰사진이 있는 5-12세 아동 총 22명의 증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초진과 재진 시의 관찰기간 동안에 촬영 한 파노라마 사진으로 트레이싱 용지에 필요한 구조물과 치아를 모두 그렸으며 사진 상의 수직, 수평적인 상의 확대 및 축소의 보상을 위하여 초진사진의 제1대구치 치관크기를 기준으로 모든 사진을 표준화시켰다. 각 사진 상에서 낭에 이환된 부위를 실험군, 동일 악궁의 반대측 부위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교두깊이, 각의 크기, 낭의 크기, 교두점 위치지수를 계측하여 측정값을 얻은 후, 각 치아의 발육단계, 이환치아의 경사도, 위치의 변위율, 낭종의 면적 감소량과 치아의 맹출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맹출 속도, 각의 변화율, 낭면적의 감소율, 실험군 내의 조대술 후의 평균 기간(month)을 산정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낭에 이환된 부위의 영구치의 맹출 속도는 비이환측에 비해 평균 3.5배 빨랐으며 치축의 변화는 평균 $2.7^{\circ}/month$였다. 치근의 성장 단계에 따른 변화에서는 치근의 성장단계가 낮을수록 더욱 빠른 맹출 성향을 보였으며 각의 변화에서도 치근의 성장이 1/4이하 군에서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낭종내 이환치의 변위에 따른 변화에서는 교두점 위치지수 차이가 30%될 때까지는 맹출 속도가 증가하다가 그 이상에서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낭의 면적 감소율이 $80mm^2/month$이상 감소하는 경우 현저하게 높은 맹출 속도를 보였고 이환된 치아가 근심 변위한 경우 원심 변위한 치아보다 맹출 속도는 낮았지만 각의 변화율은 크게 나타났다. 이환된 치아의 각도 변위가 작을수록 맹출의 속도는 증가하였으며 $15^{\circ}$ 이하의 경우 각도 변화도 높게 나타났다. 조대술 후 대부분의 경우 급격한 맹출 속도와 치축 각의 변화는 6개월 이내에 일어났다.

  • PDF

Marsupialization of the Nictitating Membrane Cyst Following Cherry Eye Repair in a Dog

  • Kim, Sunhyo;Kang, Seon-mi;Susanti, Lina;Kim, Boyun;Park, Yoonji;Shim, Jaeho;Go, Seokmin;Lee, Eunji;Seo, Kangmoo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49-152
    • /
    • 2020
  • One-year-old male Cocker Spaniel dog was referred for the third eyelid enlargement and inflammation in the left eye (OS). It gradually swelled for 2 weeks after the cherry eye repair by conjunctival mucosa pocket procedure at a private animal clinic. Routine ophthalmic examinations including neuro-ophthalmic examination, Schirmer tear test, intraocular pressure and corneal fluorescein staining were all normal. No lesions were found on slit lamp biomicroscopy and indirect ophthalmoscopy except for third eyelid swelling in the OS. Ultrasonography revealed cystic structure within the OS nictitating membrane. Fluid from the cyst was aspirated and there were no microorganisms or neoplastic changes. Surgical intervention was performed under general anesthesia. On the day of the surgery, there was a deep corneal ulcer in the OS, which had not existed before. Ventral palpebral surface of the third eyelid was incised horizontally to the shaft of the T-shaped hyaline cartilage. And then, a full thickness of the cystic wall was incised and marsupialized. Additionally, a direct suture was performed on the ulcerated cornea. Topical and systemic antibiotics and anti-inflammatory drugs were prescribed. One month after the surgery, the third eyelid swelling and the discharge were improved. Marsupialization of the nictitating membrane cyst relieved the swelling of the third eyelid and inflammation. It could be a simple but effective surgical intervention for the cystic complication of conjunctival mucosa pocket procedure in dogs.

최소 침습적 조대술을 이용한 치성낭종의 치료 증례 보고 (Minimally Invasive Marsupialization for Treating Odontogenic Cysts: Case Reports)

  • 류지연;신터전;현홍근;김영재;김정욱;김종철;장기택;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35-242
    • /
    • 2017
  • 조대술 및 감압술은 악골내 치성기원 낭종에 대한 치료법으로서 여러 문헌을 통해 그 효과가 확립되어 왔다. 특히, 소아치과 영역에서 병소 크기가 크거나 발육 중인 치배 등 중요 구조물을 포함한 경우 보존적인 치료로서 우선적 대안이 될 수 있다. 조대술 후에는 낭종의 개방성 유지를 위해 맞춤 제작 아크릴 폐쇄장치(obturator) 또는 공간유지장치, 실리콘 관, 비강 캐눌라 등의 감압 스텐트(decompression stent)를 사용하는데, 이는 주변 연조직 자극 및 환아의 불편감, 낭종 크기 감소에 따른 탈락 가능성 등 임상적 문제점을 지니며 환아 협조도 저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증례들에서는 하악골 부위 영구 치배를 포함한 치성 낭종에 대하여 감압술시행시 16게이지 정맥 주사바늘을 활용한 금속관을 발치와를 통해 낭종 내부로 삽입하고 인접치에 레진으로 고정하는 최소 침습적 시술을 통해 환아의 양호한 협조하에 병소 제거 및 자발적 맹출을 유도하는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9세 소아에서 나타난 비구개낭의 치험례 (CASE REPORT : A NASOPALATINE DUCT CYST IN 9-YEAR-OLD CHILD)

  • 이상호;모경희;박종휘;이난영;이창섭;윤정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83-488
    • /
    • 2003
  • 비구개낭은 절치관낭이라고도 불리우며 가장 흔한 비치성낭이다. 발육성으로 비구개관내에서 태생 상피잔사가 증식하여 낭변성을 일으킴으로써 발생한다. 비구개낭은 악골낭의 약 1.7-11.9%를 차지하며 남자에게서 악 3배 정도 호발한다. 연령 분포는 매우 광범위하나 대개 40대에서 60대 사이에서 발견되며 10세 이전에 발견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비구개낭을 위한 적절한 치료는 적출이며 비구개신경에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낭이 커서 치아의 생활력에 영향을 주거나 비구강누공이나 구강 상악동 누공을 형성 할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조대술로 치료할 수 있다. 본 증례의 환아는 구개부의 무통성 종창을 주소로 내원하여 임상 및 방사선 검사를 실시한 결과 소아에서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비구개낭으로 방사선사진에 $32{\times}25.5mm$크기를 나타내었으며, 매우 팽창되어 순측 피질골판을 관통하고 상순소대 하방과 전정부위까지 종창되어 있었다. 병소와 인접한 상악 4전치 치근은 심하게 이개되어 있었다. 낭의 크기가 매우 커서 조대술을 시행하였으며 obturator를 장착하고 있으며 향후 계속 관찰이 요한다.

  • PDF

조대술을 이용한 함치성 낭종의 치험례 (A CASE REPORT OF A DENTIGEROUS CYST TREATED BY MARSUPIALIZATION)

  • 전은민;김태완;김현정;남순현;김영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73-480
    • /
    • 2007
  • 함치성 낭종은 치관이 형성된 후 성상세망(stellate reticulum)의 변성으로 인하여 치관과 환원법랑질상피 사이에 유동물질이 축적되어 나타난다. 연령별로는 10대 또는 20대에서 발생율이 높고 거의 미맹출 치관과 관련되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무증상이지만 낭이 크거나 염증이 동반된 경우 종창과 통증을 유발한다. 함치성 낭종은 방사선 검사 시 미맹출 치아의 치관을 둘러싸는 경계가 명확한 단방성의 방사선 투과성 병소로 나타나며, 인접치의 변위나 치근흡수가 관찰되기도 한다. 함치성 낭종의 치료 목적은 비정상조직을 완전히 제거하되 낭종내 전위된 치아를 가급적 보존하여 맹출을 유도하고 악궁 내에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제거술식으로는 적출술과 조대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조대술은 낭벽의 일부분을 제거하여 구강점막과 연결시켜 주는 술식으로 낭내의 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결손부 골 재생이 일어나며 낭벽은 정상적인 점막으로 변하게 된다. 특히 이는 인접 주요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고, 맹출 공간이 충분하다면 낭에 포함된 영구치의 맹출을 유도할 수 있는 가장 보존적인 치료이다. 본 증례들에서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검사소견상 함치성 낭종으로 판단하고 조대술을 이용하여 낭종을 제거하였으며 전이된 치아를 보존하고 자연맹출을 유도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상악 전치부에 발생한 함치성 낭종의 임상적 특징과 치료에 대한 후향적 연구 (Retrospective Study of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f Dentigerous Cysts Involving the Maxillary Anterior Tooth)

  • 서예진;김영진;김현정;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80-288
    • /
    • 2017
  • 본 연구는 상악 전치부에 이환된 함치성 낭종의 다수의 증례 분석을 통해 임상적 특징 및 치료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상악 전치부에서 함치성 낭종으로 진단 받은 55명의 환아 중에서 절치부에서 33증례, 견치부에서 22증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절치부에서는 남자가 7.2배 더 높았고 종창을 주소로 내원한 경우가 많았으며, 견치부는 여자가 1.7배 더 높았고 정기검진에서 발견된 경우가 더 많았다. 이환된 낭의 영향으로 92.7%에서 치아 변위가 관찰되었고 치료는 41증례에서 조대술이, 14증례에서 적출술이 시행되었다. 낭종 처치 후 자발적 맹출은 견치부보다 절치부에서 더 높았다. 하지만 자발적 맹출 이후 절치부에서는 부정교합으로 인해 교정치료가 시행된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상악 전치부에 발생한 함치성 낭종의 분포 및 특성을 알 수 있었고, 치료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치료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