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keting mix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26초

Distributing data in Virtual-reality: factors influencing purchase intention of cutting tools

  • JITKUSOLRUNGRUENG, Nitichai;VONGURAI, Rawin
    • 유통과학연구
    • /
    • 제19권9호
    • /
    • pp.41-52
    • /
    • 2021
  • Purpose: Virtual reality is a unique technology to distribute data and demonstrates user's understanding towards complex product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virtual reality on real world purchase intention of automotive cutting tools in Thailand's exhibitions. Hence, the research framework was constructed by telepresence, perception narrative, authenticity, trustworthiness, functional value, aesthetics, and purchase inten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Samples were collected from 500 visitors who participated in the selected top two metalworking exhibitions. Mix sampling approach is applied by usi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of purposive or judgmental sampling, quota sampling, and convenience sampling method, respectively to reach target sample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ere used to analyze and confirm goodness-of-fit of the model and hypothesis testing.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that authenticity, functional value, and trustworthiness induced higher experiential value towards purchase intention. Those variables are stimulated by telepresence and perception narrative towards VR experience. Conclusions: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owards VR experience on engineering cutting tools rely on consumer's sense of authenticity, trustworthiness, and functional value. Hence, marketing practitioners in automotive companies are encouraged to develop VR which focusing on significant factors to enhanc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Nuclear power in jeopardy: The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greenhouse gas/fine dust concerns and nuclear power acceptance in South Korea

  • Lee, Jin Won;Roh, Seungkoo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10호
    • /
    • pp.3695-3702
    • /
    • 2022
  • South Korea, a country that built a world-class nuclear power infrastructure, shifted to a nuclear phaseout during the previous government's reign. This shift was pursued as part of a larger task of electricity mix reform, and one of the integral motives for such reform is addressing greenhouse gas (GHG) and fine dust problems. Thus, ver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ublic's concerns about GHG/fine dust and their acceptance of nuclear power generation is essential for designing public communication strategies to revive nuclear power under the ongoing environmental regime. Our analysis using a nationwide survey sample of South Korea (N = 1009, through proportionated quota sampling method) showed that the more people are concerned about GHG and fine dust, the less they accept nuclear power. These relationships held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 of a third variable-energy-related environmentalism. This finding means that despite past communication efforts positioning nuclear power as a generation source that can mitigate GHG/fine dust emissions and the widely accepted scientific evidence that supports such positioning, nuclear power in Korea is in jeopardy. Our finding provides implications for public communications and fundamental knowledge for research on the determinants of nuclear power acceptance.

Qualitative Study: The Development of Music Business Distribution Channels to Attract Potential Customers

  • Jeong-Eun PARK
    • 유통과학연구
    • /
    • 제21권6호
    • /
    • pp.13-20
    • /
    • 2023
  • Purpose: This research explores the development of music business distribution channels to attract potential customers based on the current and prior literature. As a result, the research will provide solutions for practitioners in the music distribution channel how they create effective channel in new industry phase which has experienced significant changes due to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consumer behavior.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o obtain textual data in the literature storage, the author conducted content analysis. Even though there are numerous textual resources, selecting only high-quality text data that is only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and books consistently indicate a high degree of reliability and validity to keep the advantage form content analysis approach. Results: The present study figured out that there are five strategies to attract potential consumers in the music distribution channel, such as (1) 'Marketing Mix', (2) 'Streaming Platforms and Online Music Stores', (3) 'Brick and Mortar Stores and Concerts, and Events', (4) 'Platforms Exclusives and Limited-Edition Merchandise', and 'Partnerships and collaborations. Conclusions: In sum, the practitioners need to consider include building relationships with the fans, studying and understanding their target market, utilizing multiple available distribution channels, embracing new technologies, and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the adopted distribution channels.

관광유람선 고객의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gmenting of Cruiser Customers)

  • 이준혁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73-91
    • /
    • 2006
  • 본 연구는 국내 관광유람선의 신규출항에 따른 시장세분화를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시장세분화의 절차면에서는 먼저 Chung 등(2004)의 혜택에 의한 세분화를 시도하였으며, 관광유람선의 서비스속성을 모두 도출하여 속성을 정제한 후 요인분석을 시도하였다. 요인분석결과 5개의 유의미한 요인은 시설 및 서비스, 유람선분위기, 일탈성, 선택성, 안전성 등이었다. 한편 군집분석결과 중립형, 관광유람선선호형, 무관심형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는데 평균값이 가장 높았던 관광유람선선호형 집단은 안전성, 시설 및 서비스, 유람선분위기, 선택성, 일탈성의 순으로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다.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으로 표적시장전략은 1차 표적시장으로 각 요인의 점수가 가장 높았던 관광유람선선호형 잡단을 선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며, 2차 표적시장으로 중립형의 집단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경쟁대상으로는 부산지역(특히 해운대지역)유명레스토랑, 놀이공원, 영화관이 될 것이며, 주요 혜택으로서는 경쟁대상지역과는 차별화된 안전성을 고려한 시설 및 서비스가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유형적 단서로의 조작에서 청결한 이미지를 위해서는 선상의 색상을 그린색상과 흰색계열로 하여 청결한 이미지를 세워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여름철의 계절성을 만끽하고 있는 모델이 담긴 브로셔의 제작, 환상적인 이벤트를 연출하고 있는 선상의 모습 등이 담긴 브로셔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획일성의 유지로서 시설 및 서비스, 유람선의 분위기, 일탈성의 요인들이 반영된 연출믹스, 제품믹스, 가격믹스, 촉진믹스, 분배믹스등의 전략이 구사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은 부산지역에 국한되었으며, 관련 속성의 연구가 부족하였고, 기존고객과 신규고객의 차이분석이 시도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관련 속성의 보다 심도있는 정제작업과 기존고객, 신규고객, 충성도의 변수(집중도, 애정도, 재방문의도)등을 고려하여 연구에 임해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감성소구에 있어서 포장디자인 연구- 베이커리 제품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ackage design approach on sensitive)

  • 장욱선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117-126
    • /
    • 2001
  • 식생활의 단계는 생존(Survival), 인지(Recognition), 선택(Selection) 그리고 기호(Reference)의 단계에서 예술(Art)의 단계로까지 승화한다고 한다. 식생활도 먹는 일에서 즐거움으로 변화하고 있고, 식품포장의 기능은 단순한 포장보다는 다양한 기능을 요구하고 있다. 최근 평균적인 생활수준 향상등 생활환경의 변화가 현저히 나타나고 있고 이 같은 생활환경의 변화는 우리 식문화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 정부의 유통개방정책에 즈음하여 속속 외국의 유명 베이커리가 국내 시장에 진출을 고려하고 있고, 、93년 7월 유통시장의 완전개방 이후 국내시장의 베이커리업계의 많은 어려움이 있다. 제품디자인이나 포장디자인 분야는 선진국의 경우를 답습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어 앞으로의 시장에 대한 업계의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시기일 것이다. 즉 우리실정에 맞는 제품과 포장디자인의 강화된 상품력으로 시장에서 확고한 소비자 거점을 확보해 놓는 일을 서둘러야 한다. 기업의 목적을 위한 수단은 마켓팅, 생산, 판매에 의해 성취 될 수 있다. 이것은 각각의 전략을 필요로 하고 마켓팅 전략 역시 광고선전, 판매, 포장 등과 연계되어 생각되어야 한다. 이중에도 포장은 Marketing Mix의 가장 중요한 도구중의 하나이다. 그것은 시장에서 생산자의 포지셔닝과 판매후의 역할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모든 분야가 합리화, 과학화되어 가는 현대의 시장에서 경쟁사간의 마케팅 전쟁은 끊임없이 되풀이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시대적 환경 속에서 포장이 마케팅의 수단이나 도구로써 존재하는 것이 아닌, 소비자의 심리를 자극하는 포장디자인의 진정한 목표달성을 위한 패키지로, 또 도외시되어 가는 휴머니즘의 회복에 중요한 요소로써 제몫을 하기 위해 소비자 감성에 소구할 수 있는 포장디자인 계획으로 기업의 상품력 강화나 이미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 PDF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한 동적인 고객분석에 따른 고객관계관리 기법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Techniques Based on Dynamic Customer Analysis Utilizing Data Mining)

  • 하성호;이재신
    • 지능정보연구
    • /
    • 제9권3호
    • /
    • pp.23-47
    • /
    • 2003
  • 전통적인 고객관계관리 연구는 특정 시점에서 고객관계관리에 중점을 두어 연구되었다. 이러한 정적인 고객관계관리와 고객 행동에 관한 지식은 마케팅 관리자가 제한된 마케팅 자원을 이익의 극대화를 위해 사용할 수 있게 해주었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이러한 정적인 지식은 쓸모가 없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고객관계관리는 고객의 동적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 과거 고객의 구매 행위를 관찰하여 현재 또는 미래 시장의 고객을 세분화하며 구분된 고객 군집에 대해 서로 다른 마케팅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고객의 구매행동을 근간으로 한 고객관계관리는 수십 년 전부터 연구되어왔지만 동적인 고객관계관리에 대한 연구는 최근에 들어와서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인터넷 상점의 고객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지식과 시간 경과에 따른 고객 행동 패턴의 분석을 위해 데이터마이닝과 모니터링 에이전트 시스템(MAS)을 이용하며, 이를 통한 동적인 고객관계관리 모델을 제시한다. 이 모델은 고객이력경로에 대한 예측과 고객에게 나타나는 집단이력경로의 분석, 그리고 시간 경과에 따른 고객 군집의 변화에 대한 분석과 그에 따른 마케팅 전략 도출을 포함한다. 이 모델의 제안은 많은 온라인 소매상이 직면하고 있는 경영상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 PDF

혁신적인 소매업태의 출현과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mergence of Innovative Retailing and Its Development Process)

  • 박철주;정태석
    • 유통과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29-38
    • /
    • 2011
  • 우리나라 대부분의 소매업태가 성장 또는 성숙단계에 머물고 있는 현재, 어떤 혁신적인 소매업태가 새로 출현하고 발전해 갈 것인가? 그리고 그 혁신적인 소매업태가 출현하고 발전해 갈 성장동력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에 근거하여 소매업태의 차별화경쟁과 소비자선택과의 상호행동을 연동하여 논의할 수 있는 소비자선택모델을 구축하여 혁신적인 소매업태의 출현과 발전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소매시장에서 새로운 진공지대가 발생하면 그곳에 저가격·저서비스 또는 고가격·고서비스의 혁신적인 소매업태가 출현한다. 둘째, 진공지대에서 신규업태의 수가 많아지면 신규업태간의 수평적 경쟁이 야기되고, 이를 통해 각 신규업태는 격올림을 전개한다. 셋째, 신규업태가 격올림을 전개하면 신규업태와 기존업태간의 이업태간 경쟁이 야기되고, 이 경쟁에서 기존업태와 신규업태간의 동화과정이 전개된다. 넷째, 각 소매업태는 기존의 유통기술 프론티어를 돌파하기 위해 유통혁신을 추진하게 되고, 다른 소매업태는 그 혁신자를 추종한다. 위에서 언급한 분석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세가지 시사점을 제언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소매업태가 차별화전략을 추진할 때 사용되는 점포 속성에 대한 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구도에 대응하면서 최종적으로는 시장점유율의 변화와도 연동하여 논의할 수 있는 소비자선택모델을 구축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본 연구는 이러한 소비자선택모델을 토대로 혁신적인 소매업태의 출현과 발전과정에 대한 분석을 보다 정교한 논리 구조에 입각해서 설명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의 논의한 소매업태의 발전과정은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획득하기 위해서 소매업태가 소매믹스를 어떻게 전개할 것인지에 대한 소매업자의 경영관리 측면에서의 해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 PDF

업종별 프랜차이즈 선택결정요인이 가맹점 성과의 만족도와 성공·실패에 미치는 영향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Franchise Business Members on Affiliate Outcomes)

  • 장재남;강창동;안성식
    • 유통과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49-59
    • /
    • 2011
  • 한국프랜차이즈산업은 1970년대 도입된 이후, 외식업, 도·소매업, 서비스업 등 광범위한 영역에 국민생활과 밀접한 지식기반서비스산업으로 고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이제 국내 프랜차이즈산업은 양적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의 전환을 통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해야 할 시기이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가맹본부와 가맹점 사업자 간의 신뢰구축을 위한 가맹본부와 가맹점사업자의 노력과 실천이다(Stanworth & Kaufmana, 1995). 가맹본부와 가맹점사업자간의 우호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관계(Relationship)야 말로 프랜차이즈에 대한 불신을 해소하고 건강한 프랜차이즈시스템을 유지할 수 있는 근간이기도 하다. 가맹사업을 하고자 하는 가맹본부는 프랜차이즈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 가맹점창업의 성공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항목이 무엇인지를 파악해야 한다. 따라서, 가맹점 사업성과의 만족도와 가맹점 사업성공·실패에 미치는 가맹점의 선택속성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업종별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히려는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가맹사업을 하고 있는 가맹본부나 예비 가맹본부 창업자들이 가맹점 모집뿐만 아니라 가맹점 지원시스템 구축력, 브랜드력, 가맹점의 상권 경쟁력, 교육·훈련 프로그램 수준, 가맹점사업자의 금융비용, 가맹점본부와 가맹점사업자와의 파트너쉽, 마케팅 믹스 관리능력(제품, 가격조건, 물류 및 배송서비스, 프로모션, 슈퍼바이징과 슈퍼바이저, 업무절차·과정, 물리적 증거)에 투자와 활동을 집중해야 가맹점의 성공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가맹점 예비창업자들이 우수한 가맹본부를 선택하기 위해 가장 크게 고려하는 사항은 가맹본부의 특성이다. 특히 가맹점에 대한 가맹본부의 지원은 가맹점의 사업성과와 만족도를 높이고 결과적으로 적극적인 추천이나 재 계약률을 높일 수 있다.

  • PDF

인지폐합수요(认知闭合需要), 심리건강화사회인소대충동구매적영향(心理健康和社会因素对冲动购买的影响) (The Impacts of Need for Cognitive Closur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Factors on Impulse Purchasing)

  • Lee, Myong-Han;Schellhase, Ralf;Koo, Dong-Mo;Lee, Mi-Jeong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9권4호
    • /
    • pp.44-56
    • /
    • 2009
  • 冲动购买是指一个没有预先购物意向的立即购买. 以往对冲动购买的研究主要集中于和营销组合变量, 环境因素, 消费人口和特征相关的因素. 在以前的研究中, 营销组合变量如产品种类, 产品类型和氛围, 包括广告, 优惠券, 销售活动, 促销刺激销售点, 和媒体格式都已被用于评估产品信息. 有些作者还着重围绕消费者的情境因素. 如信用卡的使用, 时间, 产品运输性, 发现购物同伴的存在和数量对冲动购买/冲动趋势有积极的影响. 研究也已评估了个体特征的影响, 如年龄, 性别, 以及消费者的教育程度, 以及拥挤的感知, 刺激和接触的需要等因素对冲动购买的影响. 概括来说, 以前的研究发现所有的产品都可以被冲动地购买(Vohs and Faber, 2007), 即环境因素可以影响或至少促使冲动购买行为. 最近新的分销渠道的推出, 例如家庭购物渠道, 折扣店和网上商店, 这些24小时都营业的形式增加了冲动购买的可能性. 然而, 以前的文献重点关注情境和营销变量, 因此这些研究所考虑的消费者的主要特征仍然是缺乏的. 为了弥补这个缺陷, 本研究根据研究的第三个惯例并关注个体特质变量, 这些是很少被研究的. 更具体地来说, 本研究探索了冲动购买趋势对冲动购买行为是否有积极的影响, 并评估了消费者特点例如认知闭合需要(NFCC), 心理健康和人际敏感性是如何影响消费者冲动购买的趋势. 这项调查结果显示, 消费者的情感冲动, 对冲动购买行为产生积极的影响, 而认知冲动并没有对冲动购买行为的影响. 此外, 情感冲动购买倾向是被认知闭合需要的构成因素所推动的, 如果断和模糊不适; 心理健康, 如环境控制和生活的目标, 以及规范和信息的影响. 此外, 认知冲动倾向是被认知闭合需要的构成因素所驱动的决断, 模棱两可的不适和密切的态度, 心理健康和环境控制, 以及规范性和信息的影响. 本研究具有重要理论意义. 第一, 情感冲动对冲动购买行为有巨大影响. 以前的研究根据情感和流动理论提出, 低到中等程度的冲动是自我控制减少或自我监管机制失败所造成的. 本研究证实了上述观点. 二, 本研究通过确认冲动购买趋势可以看做是情感和认知两个维度的二维概念, 并说明冲动购买行为主要是由情感冲动解释, 而不是认知冲动. 第三, 目前的研究有新的概念, 如在本研究的模型中作为潜在影响因子的心理健康和认知闭合需要, 从而对现有的文献做出了贡献. 通过多维概念例如心理健康和认知闭合需要, 有关消费者信息过程的多个方面可以被评估. 第五, 本研究通过确定规范和信息这两个竞争路线扩展了现有的文献. 规范影响发生在个人符合别人的期望或提高他们的自我形象时. 而信息的影响发生在个人搜索来自他人知识信息和观察他人行为之后的推论. 本研究显示了这两个相互竞争的社会影响力的路线, 可以归因于不同影响力的来源. 目前的研究也有许多实际的启示. 首先, 它表明, 公司应该更多关注其首要的目标, 有情感冲动的消费者. 这一方面公司可以创造更振奋精神的购物环境. 二, 目前的结果表明, 认知闭合需要与认知方面的冲动有密切相关的. 这些人是被不经意的想法所驱动的, 而不是感觉或兴奋. 在购买点理性的广告会吸引这些客户. 第三, 容易受规范性影响的消费群是另一个潜在的目标市场. 零售商和制造商, 通过宣传其产品和/或可用于识别或符合愿望组在对他人的期望的产品服务. 但是, 作为一个细分市场, 零售商应避免目标消费群易受信息的影响. 这些人对有关购买的产品服务进行了广泛的信息搜索, 因此更详细, 长期理性的广告信息可以内化这些消费者的思想过程. 本文的结果有几个原因应慎重解释. 这项研究采用了数量较少的便利样本, 而且只调查了两个维度的行为. 为此, 今后的研究应包括更多样化特点和衡量行为的不同方面的样本. 未来的研究还应该调查与情感作用理论密切相关的个性特征. 在以后的研究中, 特征变量会是很另人感兴趣的领域, 如感觉的好奇, 人际敏感性的好奇心, 和气氛反应.

  • PDF

기업특성과 호스트국가 환경이 해외시장 관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Influences of Firm Characteristics and the Host Country Environment on the Degree of Foreign Market Involvement)

  • Maktoba, Omar;Nwankwo, Sonny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5-16
    • /
    • 2009
  • Against the backdrop of the increasing trend towards economic globalisation, many international firms are indicating that decisions on how to enter foreign markets remains one of the key strategic challenges confronting them. Despite the rich body of literature on the topic, the fact that these challenges have continued to dominate global marketing strategy discourses point to someevident lacunae. Accordingly, this paper considers the variables, categorised in terms of firm contexts (standardisation, market research, competition, structure, competitive advantage) and host country-contexts (economic development, cultural differences, regulation and political risk), which influence the degree of involvement of UK companies in overseas markets. Following hypotheses were drawn from literature review: H1: The greater the level of competition, the higher the degree of involvement in the overseas market. H2: The more centralised the firm's organisation structure, the higher the degree of involvement in the overseas market. H3a: The adoption of a low cost-approach to competitive advantage will lead to a higher degree of involvement. H3b: The adoption of an innovation-approach to competitive advantage will lead to a higher degree of involvement. H3c: The adoption of a market research approach to competitive advantages will lead to a higher degree of involvement. H3d: The adoption of a breadth of strategic target-approach to competitive advantage will lead to a lower degree of involvement. H4: The higher the degree of standardisation of the international marketing mix the higher the degree of involvement. H5: The greater the degree of economic development in the host market, the higher the degree of involvement. H6: The greater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home and host countries, the lower the degree of involvement. H7: The greater the difference in regulations between the home country and the host country, the lower the degree of involvement. H8: The higher the political risk in the host country, the lower the degree of involvement. A questionnaire instrument was constructed using, wherever possible, validated measures of the concepts to serve the aims of this study. Following two sets of mailings, 112 usable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data. Statistically, the paper suggests that factors relating to the level of competition, competitive advantages and economic development are strong in influencing foreign market involvements. On the other hand, unexpectedly, cultural factors (especially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low and high power distance dimensions) proved to have weak moderating effects. The reason for this, in part, is due to the pervading forces of globalisation and the attendant effect on global marketing. This paper has contributed to the general literature in a way that point to two mainimplications. First, with respect to research on national systems, the study may hold out some important lessons especially for developing nations. Most of these nations are known to be actively seeking to understand what it takes to attract foreign direct investment, expand domestic market and move their economies from the margin to the mainstream global economy. Second, it should be realised that competitive conditions remain in constant flux (even in mature industries and mature economies). This implies that a range of home country factors may be as important as host country factors in explaining firms' strategic moves and the degree of foreign market involvement. Further research can consider the impact of the home country environment on foreign market involvement decisions. Such an investigation will potentially provide further perspectives not only on the influence of national origin but also how home country effects are confounded with industry effec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