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keting

검색결과 10,074건 처리시간 0.035초

일본의 소비자운동, 소비자정책, 소비자지향적 경영에 관한 소고 (Consumer Movements, Consumer Policies, and Firms' Policies for Consumer Satisfaction in Japan)

  • 허경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73-190
    • /
    • 1998
  • This study reviewed both consumer movement and consumer policy of government in Japan. Their evolution since the Second World War will be reviewed and compared multiple periods, after the Second World war till the late 1960s, the period of the 1970s, the period after 1980s. In addition, firms' consumer satisfaction policies were briefly reviewed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consumer protection activities in japan. This study found four major characteristics of consumer protection activities led by both voluntary consumer organizations and government. First, consumer protection policy of government in Japan after the late 1960s was more active than that of consumer movement by consumer organizations. Second, major concerns for consumer protection were variant over time. The major goal in the first stage of period(during the 1960s) was to protect consumer safety from defective and dangerous goods and services, whereas the goal after the late 1970s was extended to cover various areas concerning the quality of life. Those areas refer to the quality of services, the way of sales and marketing, pollution of environment, and the quality of consuming life. Third, this study found that computer networks, aiming at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very useful to improve the consuming life of Japanese by providing sufficient consumer information to encourge rational choices of consumers. Forth, a close cooperation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administrations was crucial for the successful outcome In Japan This paper gives us useful guideline regarding how to improve consumer movement and govemments' policies for protecting consumer in Korea. In addition, other lessons on successful consumer satisfaction policies of Japanese firms may enable Korean firms to shape effective consumer policies of enhancing their competitiveness.

  • PDF

CATV 홈쇼핑에서의 충동구매 자극 요인과 구매 경험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Impulsive Buying Stimulus and Buying Experience in Cable TV Home Shopping)

  • 서미정;김혜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05-118
    • /
    • 2004
  • Cable TV Home Shopping is one of the popular distribution channels in modem society because of purchasing convenience and saving in shopping time. However, in spite of these advantages, there are some problems because of marketing strategies of many Cable TV shopping companies which stimulate impulse purchases. This study is aim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buying experience and reaction to impulsive buying stimulus. This study can give a valuable insight in consumer education regarding impulsive purchase behavior in Cable TV home shopping. Study results can also give useful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of consumer campaign and consumer protection policies. The data was collected by using a questionnaire and the final 496 cases were analyzed by SPSS Win 10.0 program. The major finding were that: 1. Younger, more educated and unmarried consumers tend to response more to impulsive purchasing stimulus. 2. consumers with higher response to impulsive purchasing stimulus had more buying experience, higher shopping frequencies and spent more money in Cable TV home shopping than consumers with lower response. Thes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some relationship between impulse purchasing stimulus and buying experience in Cable TV home shopping. Therefore, Cable TV Home Shopping companies should provide correct information to the consumers, so they can make resonable decisions. And the consumers should also try to restrain themselves from purchasing impulsively. A law that will regulate all false or exaggerated ads should be provided. To reach righteous and beneficial home shopping culture for both consumer and companies, all these means should be cooperated.

전남지역의 문화관광축제 상품현황 분석 (Market Analysis of Cultural Products Sold in Jeonnam Cultural Tourism Festivals)

  • 이미숙;정경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97-11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evelopment strategies of high value-added cultural products in order to help promote Jeonnam cultural tourism festival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we carried out a market survey of cultural products sold in cultural tourism festivals held successfully within the Jeonnam area.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ocal festivals which were labeled as cultural tourism festivals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from 2000 to 2008.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a store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ategories of products on offer. As a result, the most frequent product was accessories (46.2%), followed by clothing and miscellaneous goods (25.2%), ceramic products (14.8%), interior decoration products (9.1%), and stationery (4.6%). Secondly, in the design motif used for cultural products, most products did not contain festival or local images. Cultural products with festival images made up 47.2% of the range, while only 2.3% of products on offer contained local imagery. The remaining 50.3% of cultural products for sale did not use festival or local images. Finally, in terms of materials used, most products used metal (36.7%), followed by textiles (32.9%), ceramic (13.8%), wood (6.2%), plastic (6.2%), paper (3.6%), and leather (0.2%). For price range, 52.4% of product were equal to or below 10,000 won, followed by 33.1% between 10,000-30,000 w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ultural products of Jeonnam festivals lacked symbolism of the region or festival itself. Furthermore, items and the price ranges were not diverse enough. A possible solution would be to address this short coming, but more importantly, design a marketing and commercial strategy tailored towards the promotion of cultural products which contain both regional and festival imageries.

온라인 제품정보와 시각적 심상 : 감정과 제품품질지각에 미치는 영향 (Online Product Information and Visual Imagery: Effects on Mood and Perceived Product Quality)

  • 박민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23-34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쇼핑 환경에서 제품정보에서 유발된 시각적 심상이 소비자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중부호화이론을 이론적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2 (세밀한 vs. 비세밀한 시각적 정보) ${\times}$ 2 (세밀한 vs. 추상적 언어적 정보) 집단 간 실험설계를 통해 연구가설을 조사하였다. 여대생 439명이 실험에 참여하였고, 최종적으로 433명의 응답이 연구결과 분석에 이용되었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1)시각적 정보와 언어적 정보가 시각적 심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시각적 심상과 감정 간에 정(+)의 관계를,(3)시각적 심상과 제품품질지각 간에 정(+)의 관계를, (4)감정과 제품품질지각 간에 정(+)의 관계를, (5)최종적으로 제품품질지각과 구매의도 간에 정의(+)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남아시아 소비자의 한국 국가이미지가 한국제품 평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베트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Effect of Country Image on Product Evalua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Evidence from Vietnam, Indonesia, and Malaysia)

  • 조은선;이진명;나종연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2호
    • /
    • pp.153-166
    • /
    • 2017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cognitive and affective country image of Korea on product evaluation and purchase intention for Korean products. The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from relevant literature based on the halo effect model and data was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online survey of 772 Southeast Asian consumers from Vietnam, Indonesia, and Malaysia.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nalysis of variance revealed that Vietnam consumers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perception compared to Indonesia and Malaysia, regarding the affective country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s Korean products. Second,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ed that the affective country image ha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product evaluation and purchase intention, which means the affective country image is directly and indirectly connected to purchase intention towards Korean products. However, cognitive country image only has an indirec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ird, the results of comparing path coefficient among three countries showed that the direct effect is more effective for consumers in Indonesia and Malaysia, whereas indirect effect has a stronger effect on consumers in Vietnam. Academically, this study contributes to an expansion of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country image by empirically proving the different roles of cognitive and affective dimensions for country image.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businesses that hope to penetrate Southeast Asian countries.

다이나믹 토픽 모델을 활용한 D(Data)·N(Network)·A(A.I) 중심의 연구동향 분석 (Investigation of Research Trends in the D(Data)·N(Network)·A(A.I) Field Using the Dynamic Topic Model)

  • 우창우;이종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21-29
    • /
    • 2020
  • 최근 디지털 사회의 도래로 다양한 데이터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그중 문헌 내 주제어를 도출하는 토픽 모델링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목표는 토픽 모델링 방법 중 하나인 DTM(Dynamic Topic Model) 모델을 적용해 D.N.A.(Data, Network, A.I) 분야에 대한 연구동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실험 데이터는 최근 6년간(2015~2020)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분야 중 기술대분류가 SW·AI에 해당하는 연구과제 1,519개 사업에 대해 DTM 모델을 적용하였다. 실험결과로, D.N.A. 분야의 기술 키워드 Big data, Cloud, Artificial Intelligence와 확장된 의미의 기술 키워드 Unstructured, Edge Computing, Learning, Recognition 등이 매년 연구에 표출되었으며, 해당 키워드 들이 특정 연구과제에 종속되지 않고 다른 연구과제에서도 포괄적으로 연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향후 D.N.A. 분야에 대한 정책기획·과제기획 등 연구개발 기획 과정과 기업의 기술 확보전략·마케팅 전략 등 다양한 곳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2O 음식점 서비스 개발을 위한 스마트폰 앱의 분석/설계 (Analysis and Design of Smart-phone App. for O2O Restaurant Service)

  • 조병호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25-132
    • /
    • 2017
  • O2O 서비스는 온라인을 이용한 오프라인 상점의 마케팅을 통해 매출 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O2O 비즈니스는 모바일기기 사용의 급증으로 스마트폰으로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고 기업은 고객의 위치에 맞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런 O2O 서비스가 오프라인 상점의 실구매로 이루어지는 주요 역할을 하게 되었다. O2O 서비스를 위한 스마트폰 앱 개발에 있어 기존 구조적 설계 방법 보다는 최근의 객체지향 분석/설계 방법인 UML이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비콘 기술에 기반한 O2O 음식점 서비스를 위한 스마트폰 앱 개발에 객체지향 분석/설계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본 분석/설계 방법이 음식점 O2O 상용시스템에 제작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연관 규칙과 협력적 여과 방식을 이용한 추천 시스템 (Recommender System using Association Rule and Collaborative Filtering)

  • 이기현;고병진;조근식
    • 지능정보연구
    • /
    • 제8권2호
    • /
    • pp.91-103
    • /
    • 2002
  • 기존의 인터넷 웹사이트에서는 사용자의 만족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별로 개인화 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협력적 필터링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협력적 여과 기술은 비슷한 선호도를 가지는 사용자들과의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취향에 맞는 아이템을 예측하여 특정 사용자에게 추천하여준다. 그러나 협력적 필터링은 추천을 받기 위해서 특정 수 이상의 아이템에 대한 평가를 요구하며, 또한 전체 사용자에 대해 단지 비슷한 선호도를 가지는 일부 사용자 정보에 의지하여 추천함으로써 나머지 사용자 정보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나머지 사용자 정보에도 추천을 위한 유용한 정보가 숨겨져 있다. 우리는 이러한 숨겨진 유용한 추천 정보를 발견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협력적 여과 방식과 함께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에서 사용되는 연관 규칙(Association Rule)을 추천에 사용한다. 연관 규칙은 한 항목 그룹과 다른 항목 그룹 사이에 존재하는 연관성을 규칙(Rule)의 형태로 표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생성된 연관 규칙은 개인 구매도 분석, 상품의 교차 매매(Cross-Marketing), 카탈로그 디자인, 염가 매출품(Loss Leader)분석, 상품 진열, 구매 성향에 따른 고객 분류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연관 규칙은 추천 시스템에서 잘 응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연관 규칙을 추천 시스템에 적용해, 항목그룹 사이에 연관성을 유도함으로써 추천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였다 즉 전체 사용자의 히스토리(History) 정보를 기반으로 아이템 사이의 연관 규칙을 유도하고 협력적 여과 방식과 함께 보조적으로 연관 규칙을 추천을 위해 사용함으로써 추천 시스템에 효율성을 높였다.

  • PDF

상품군 연관망 기반의 상품가치 평가모형 (Product Value Evaluation Models based on Itemset Association Chain)

  • 장용식
    • 지능정보연구
    • /
    • 제16권2호
    • /
    • pp.1-17
    • /
    • 2010
  • 연관분석에 의한 연관규칙은 상품 간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교차판매와 상품진열 등의 마케팅 전략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교차판매 효과를 반영하는 더 실질적인 상품가치를 평가한다면, 상품구색과 이윤극대화 등의 기업 의사결정에 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단일상품 간의 연관망과 상품군 간의 연관망 기반에서 상품의 순수가치, 이득가치, 손실가치로 구성되는 유효가치를 바탕으로 상품의 가치를 평가하는 수학적 모형을 제시하고, 두 모형에 대해 각각 예시를 통한 평가과정을 기술하였다. 이 경우, 상품군은 단일상품을 포함하기 때문에 상품군 간 연관망 기반에서의 상품가치 평가모형은 단일상품 기반의 평가모형을 포함하고 있다. 모형의 실질적인 유용성을 보이기 위하여, 국내 한 온라인 쇼핑몰의 과거 1년 간 의류 관련 거래데이터 표본을 이용하여 상품분류군 간의 연관규칙을 발견하고 상품분류별 유효가치를 평가하는 실험을 하였다. 표본은 총 106개 상품분류와 48,044건의 거래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SPSS Clementine 12.0을 이용하여 상품분류군 간 18개의 연관규칙을 발견하였다. 한편, 순수가치와 연관규칙을 바탕으로 이득가치, 손실가치를 계산하고 유효가치를 평가하는 JAVA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였다. 유효가치 평가의 실험결과, 순수가치보다 큰 유효가치를 갖는 상품분류가 있는 반면, 순수가치 보다 작은 유효가치를 갖는 상품분류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상품 연관망에서 일차적인 관계만을 고려한 유효가치를 평가하였다. 향후, 다단계 연관성의 교차판매 효과를 반영하는 고차적인 평가모형 연구는 보다 효과적인 유효가치 평가를 가능케할 것이다.

HTML5를 이용한 물류기업의 모바일 오피스 구현에 관한 연구 (Implementation of Smartphone based Mobile Office for a Logistics Company using HTML5)

  • 임용택;변해권;유우식
    • 정보화연구
    • /
    • 제9권4호
    • /
    • pp.433-442
    • /
    • 2012
  • 본 논문은 HTML5를 이용한 물류기업의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오피스 구현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모바일 오피스는 기존의 사무실개념에서 탈피해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스마트폰 및 휴대용 컴퓨터와 같은 모바일 장치를 사용하여 Wi-Fi 또는 3G/4G 통신을 통해 회사 서버와 연결되는 스마트한 작업 환경이다. 최근에 많은 기업들이 스마트폰 보급에 발맞춰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지만,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플랫폼이 각기 달라 시스템 유지보수 및 업데이트 시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모바일 오피스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플랫폼 독립적인 구현 도구가 필요하게 되었고 HTML5는 그 도구 중 하나인 것이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HTML5를 사용하여 iOS, 안드로이드, 윈도우 모바일 등 모든 모바일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모바일 및 웹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이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은 그룹웨어, 영업관리, 경영실적보고, 화물추적관리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