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natural extracts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5초

치자(Gardenia jasminoides Ellis fructus) 종자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지질과산화 저해능 (Antioxidant Activities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Ability of Gardenia jasminoides Ellis Fructus Seed Extracts)

  • 강동수;진동혁;오다영;김한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893-90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io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seeds of Gardenia jasminoides Ellis fructus (GJE) found in Namhae, Korea. Extraction was performed using three solvents, 70% methanol, Distilled Water (DW), and Ethyl Acetate (EA). We determined the total phenol and phytic acid contents of the extracts to evaluate their nitrogen oxide scavenging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reducing power,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ability. The phytic acid content of GJE was found to be 1.157 mg PAE (Phytic Acid Equivalent) /g DW. The yields of the three extraction processes were as follows: DW, 36.61%; 70% methanol, 30.10%; and EA, 20.40%.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 solvent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0.2, 0.4, and 0.6 mg/mL) (p<0.05), but were lower than those of ascorbic acid, BHA, and trolox. Total phenol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70% methanol extract, followed by DW and EA extracts. Further, nitrogen oxide scavenging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the highest for the 70% methanol extract followed by DW and EA extrac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bioactivities of the 70% methanol and DW extracts of GJ seeds were excellent. These extracts can be used as natural antioxidants.

싸리속 식물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the Genus Lespedeza)

  • 김상민;정유진;판철호;엄병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769-775
    • /
    • 2010
  • 본 실험에서는 국내에 자생하는 콩과에 속하는 6종의 싸리속 식물의 각 부위별 추출물로부터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고,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폴리페놀성 화합물은 고양싸리의 잎(LR-L)에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풀싸리의 지상부(LTi-A)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이들 시료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DPPH와 ABTS 라디칼에 대한 소거 활성을 조사해 본 결과 DPPH 라디칼에 대해서는 비타민 C보다 소거 활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ABTS 라디칼에 대해서는 비타민 C보다 더 좋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이들 활성과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화합물간의 상관관계에서는 폴리페놀만이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폴리페놀의 농도에 따라 라디칼 소거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하지만 플라보노이드 화합물과 라디칼 소거 활성 간에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볼 수 없어, 싸리속 식물에서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보다는 폴리페놀성화합물이 항산화에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에 있어 싸리속 식물이 천연 항산화제로서 좋은 소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감마선 조사한 총목피(Aralia elata Cortex)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Gamma-irradiated Aralia elata Cortex)

  • 박혜진;이은호;김명욱;이선호;안동현;안봉전;권중호;조영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8호
    • /
    • pp.1236-1247
    • /
    • 2014
  • 천연 약용식물에 있어서 감마선 조사 처리는 기능성 물질탐색에 적용 시 추출수율 증진, 색상 개선 등 산업적 응용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으로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 조사가 총목피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감마선 조사 처리한 총목피의 감마선 조사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광자극 발광(PSL) 및 열 발광(TL) 방법을 활용하여 감마선 조사 판별 확인시험을 진행하였다. PSL법의 경우 비조사구 0 kGy에서 400.00 PCs로 음성(negative) 시료로 판단되었으며, 조사구 5, 10, 30 kGy에서 각각 90,100.00 PCs, 312,614.33 PCs, 321,661.67 PCs로 나타나 감마선을 조사한 양성(positive) 시료로 확인되었다. TL법 적용 시 비조사구 0 kGy에서 자연방사선에 의한 $300^{\circ}C$ 부근에서 조사구 5, 10, 30 kGy는 $150{\sim}250^{\circ}C$의 부근에서 특유의 glow curve를 나타내었다. TL ratio는 비조사구 0 kGy에서 0.011로 0.1 이하의 값을 나타냈으며, 조사구 5, 10, 30 kGy는 각각 1.105, 1.009, 2.206으로 0.1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조사구로 확인되었다. 감마선 조사처리한 총목피의 total phenolics 함량을 측정한 결과 0, 10, 30 kGy 선량 중 10 kGy의 조사선량에서 총목피 열수 및 50% ethanol 추출물의 total phenolics 함량이 각각 $17.30{\pm}0.40mg/g$, $18.87{\pm}0.46mg/g$으로 가장 높은 phenolics 함량을 나타내었다. 감마선 조사 처리한 총목피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효과와 xanthin oxidase 저해효과는 비조사구에 비해 조사구에서 열수 및 50% ethanol 추출물 모두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ancreatin ${\alpha}$-amylase 저해효과와 ${\alpha}$-glucosidase 저해효과는 총목피 열수 및 50% ethanol 추출물 $200{\mu}g/mL$ phenolics 농도 처리 시 0~30 kGy의 모든 선량에서 60~100%에 가까운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어 현재 당뇨병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acarbose와 비교 시 월등히 우수한 항당뇨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감마선 조사 처리한 총목피 추출물은 천연소재로써 항당뇨 관련 기능성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 총목피 추출물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기능성 소재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감마선의 조사에 의해서 총목피의 생리활성이 증대되는 현상을 확인함으로써 감마선 조사가 식물체가 나타내는 생리활성을 증폭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되었다.

CLA와 멍게 껍질 추출물 급이에 따른 무지개송어 색소조성 (Composition in Carotenoids of Rainbow Trout Fed with CLA and Ascidian Tunic Extracts)

  • 강석중;최병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721-724
    • /
    • 2009
  • Astaxanthin is a valuable pigment source for many aquacultured species, including salmonoids, shrimp, sea bream, and ornamental species.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nd ascidian tunic extracts were mixed with the basal diet of rainbow trout to investigate their pigmentation effects. Synthetic Carophyll Pink and natural carotenoids that came from the tunic extracts were incorporated into muscle and skin tissues. The main carotenoids found in muscle after 8 weeks were canthaxanthin in CP12 (13.4%), and CP52 (17.2%), and astaxanthin in CP12 (58.5%), and CP52 (59.2%) in the Carophyll Pink group, while those in skin were canthaxanthin in CP14 (34.5%), and CP54 (29.2%), and astaxanthin in CP14 (32.0%), and CP54 (36.5%) in the ascidian tunic extract group. The total carotenoid content in skin (53.0-69.3 mg/kg) was greater than that in muscle (9.5-13.8 mg/kg).

미역쇠(Endarachne binghamiae)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Endarachne binghamiae Extract on Melanin Synthesis)

  • 전영식;정유정;염종경;김용기;김수남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26-53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에서 채집된 88종의 해조류에 대하여 미백제로서 응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in vitro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Melan-a 세포에 해조류 추출물을 처리하여 멜라닌 양을 측정한 결과, 고리매, 미역쇠, 왜모자반, 감태, 톳추출물에서 멜라닌 생성이 감소되었으며, 특히 미역쇠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가장 유효하게 농도의존적으로 멜라닌 생성이 감소되었다.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tyrosinase 활성 저해와 관련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약한 활성을 가지지만 직접 작용하여 활성을 저해하지는 않으면서, 세포 내의 tyrosinase 활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였다. 이는 세포 내 tyrosinase 활성저해가 직접적이 아닌 다른 기전에 의해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기전 중의 하나인 ${\alpha}$-glucosidase활성을 측정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활성을 저해하였으며, 세포 내 tyrosinase 활성 저해와 높은 상관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즉 미역쇠추출물은 N-linked glycoprotein인 tyrosinase의 glycosylation을 억제하여 tyrosinase의 세포 내 이동이나 활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미역쇠추출물은 피부 미백에 유효한 활성을 나타내는 천연 유용자원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해양퇴적물의 핵산추출물에서 humic substances의 효율적인 제거방법 (Efficient Removal of Humic Substances in Preparing DNA Extract from Marine Sediments)

  • 이정현;신현희;이홍금;권개경;김상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32-136
    • /
    • 1998
  • 자연환경의 미생물군집을 분자생태학적 방법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오염되지 않은 순수한 핵산의 분리가 필요하다. 해양퇴적물에서 핵산을 추출할 때 같이 추출되는 부식물질(humic substances)은 핵산중폭반응을 저해하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기 위한 네 가지의 방법, 아가로즈젤 전기영동후 용출, Sephadex G-75 젤, Hydroxyapatite 젤, 그리고 PVPP(poluvinylpolypyrrolidone) microspin column 방법에 대해 그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조산된 방법 중에서 PVPP microspin column을 이용하면 건조 퇴적물 1g당 $4.8{\mu}g$의 순수한 DNA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얻을 수 있었고, 이 방법으로 분리된 DNA를 PCR의 주형으로 사용한 결과 16S rRNA 유전자의 거의 전 범위에 해당하는 1.5 kb 크기의 PCR 산물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미역 및 불가사리 추출 혼합물의 피부활성 증진 효능 (Enhancement effects of sea mustard and starfish mixtures on skin activity)

  • 김소정;강민경;김강은;이택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410-417
    • /
    • 2019
  • 해양생물 추출물의 화장품 첨가제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미역 추출물, 불가사리 콜라겐 펩티드 및 혼합물의 피부 활성증진 효과를 평가하였다. 추출물의 피부 활성 증진 평가를 위하여 항염 활성, 미백효과 및 피부탄성 증진 활성을 분석하였다. 피부활성증진 평가를 위한 바이오마커로는 NO 생성 저해, 티로시나제 및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법을 적용하였다. 미역 추출물, 불가사리 콜라겐 펩티드 및 혼합물은 실험구간인 1.0-50 ㎍/mL까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미역 추출물, 불가사리 콜라겐 펩티드 및 혼합물은 농도의존적으로 NO 생성 저해, 티로시나제 및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이 증가하였다. 특히 혼합물를 사용하는 경우 미역 추출물 및 불가사리 콜라겐 펩티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크게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종합해 보았을 때, 생물유래 천연추출물이 화장품 첨가제로 적용할 경우, 혼합물을 첨가하는 것이 단일 추출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보다 더 좋은 시너지 효능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천연추출물을 화장품 첨가로써 활용하는 경우 추출물의 종류 및 배합 연구에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Metabolites of Marine Algae Collected from Karachi-coasts of Arabian Sea

  • Ali, Muhammad Shaiq;Jahangir, Muhammad;Saleem, Muhammad;Pervez, Muhammad Kashif;Hameed, Shaista;Ahmad, Viqar Uddi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6권2호
    • /
    • pp.61-65
    • /
    • 2000
  • The ethanolic extracts of marine green, brown and red algae collected from Karachi coasts of Arabian Sea afforded a new enol-derivative of N-acylsphingosine named as coelarthenol (1) from Coelarthrum muelleri, two new glucose-derivatives named: botryenal (2) and botryenol (3) from Botryocladia leptopoda, ${\alpha}-tocopherol$ quinone (4) from Codium iyengarii, ${\beta}-sitosterol$ and hexadecanoic acid from Stokeyia indica. The known constituents (4, ${\beta}-sitosterol$ & hexadecanoic acid) have not been reported so far from their corresponding sources and the structures were determined through spectroscopic methods, whereas, the structures of new constituents (1-3) were elucidated with the aid of selective HMBC experiments. The phytotoxicity of 4 was also monitored.

  • PDF

Antioxidative Effect of Proteolytic Hydrolysates from Ecklonia cava on Radical Scavenging Using ESR and $H_2O_2$-induced DNA Damage

  • Heo, Soo-Jin;Park, Pyo-Jam;Park, Eun-Ju;Cho, So-Mi K.;Kim, Se-Kwon;Jeon, You-Ji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5호
    • /
    • pp.614-620
    • /
    • 2005
  • The antioxidative effect of Ecklonia cava, a brown marine alga, was investigated on radical scavenging, includ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hydroxyl and alkyl radicals, using an electron spin resonance (ESR) technique, and on the inhibition of $H_2O_2$-induced DNA damage using comet assay. E. cava was enzymatically hydrolyzed with five food industrial proteases (Alcalase, Flavourzyme, Kojizyme, Neutrase and Protamex) to prepare water-soluble extracts. All the proteolytic hydrolysates exhibited strong dose-dependent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bove 80%) at a concentration of $2.5\;{\mu}g/mL$. Kojizyme extract (obtained by proteolytic hydrolysation of E. cava with Kojizyme) showed the highest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round 98%. In addition, the $H_2O_2$-induced DNA damage was determined using a comet assay, which was quantified by measuring the tail length. Reduction of DNA damage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Kojizyme extract from E. cava.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 cava has a potential as a valuable natural antioxidative source.

국내 자생 해조류 추출물의 항산화능 비교분석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Seaweeds Extracts)

  • 김경;이경하;양혜원;우채현;정우혁;박은영;오윤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12-118
    • /
    • 2023
  • Seaweed-derived foods have long been popular in Korea because of their high content of nutrients that are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Recently, Korean seaweeds have been used as raw materials to produce new natural products with health benefits. Herein, we compar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16 Korean seaweed extracts to explore their potential utility as health foods. The total phenolic content (TPC)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eaweed extracts were determined. We also investigated their ability to protect human diploid fibroblast (HDF) cells against hydrogen peroxide. The results showed that seaweed extracts at a concentration of 100 ㎍/mL did not cause any cell toxicity. Sargassum thunbergii (Jichung-i) had the highest TPC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s, followed by Porphyra tenera (Gim), Silvetia siliquosa (Tteumbugi), and Sargassum fusiforme (Tot). Hydrogen peroxide increased the production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while P. tenera (Gim), Saccharina japonica (Dasima), and S. thunbergii (Jichung-i) extracts significantly decreased it. The effect was highest in the S. thunbergii (Jichung-i)-treated HDF cell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 thunbergii (Jichung-i) shows promise as a potential antioxidant raw mate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