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darin fish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18초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18 unrecorded prokaryotic species from the intestinal tracts of aquatic animals in Korea

  • Lee, Jae-Yun;Jeong, Yun-Seok;Kim, Pil Soo;Hyun, Dong-Wook;Bae, Jin-Woo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1-11
    • /
    • 2021
  • Evidence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gut microbiota in biodiversity conservation is growing; however, gut bacteria in South Korean wildlife have not been well identified. Using a culture-dependent isolation method, we identified the gut bacteria from Korean aquatic wildlife: the gazami crab (Portunus trituberculatus), Korean striped bitterling (Acheilognathus yamatsutae), oily bitterling (Acheilognathus koreensis), leopard mandarin fish (Siniperca scherzeri), Korean dark chub (Zacco koreanus), diving beetle (Cybister lewisianus), spotted steed (Abbottina springeri), and Korean spotted sleeper (Odontobutis obscura interrupta). We identified 18 strains previously unrecorded in South Korea by comparing 16S rRNA gene sequences of isolates against the EzBioCloud and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NIBR) databases. The isolated strains belong to the phyla Actinobacteria, Bacteroidetes, Firmicutes, and Proteobacteria. We also assessed for phylogenetic relatedness, Gram-stain reaction, colony and cell morphology,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Basic information and 16S rRNA gene sequences of the isolates were registered in NIBR, and NIBR accession numbers are provided.

2010년 방류용 수산종묘에 대한 병원체 검출 (Detection of fish pathogens in cultured juveniles for stock enhancement in 2010)

  • 조미영;박수영;원경미;한현자;이순정;조영아;김진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1-129
    • /
    • 2011
  • 배양장에서 생산된 양식생물은 자원조성에 필요한 종묘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방류종묘의 질, 특히 개체의 건강도 는 방류이후 서식처에서 생존하고 자원조성 효과를 결정짓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2010년도 방류 품종(해면품종 33종과 내수면품종 12품종)을 대상으로 수산동물전염병의 감염 여부를 검사하였다. 검사 품종 중에서 해면품종으로는 전복이 20.0%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해삼(15.6%), 넙치(8.4%), 조피볼락(6.7%), 감성돔(6.3%), 꽃게(6.1%) 순으로 나타났다. 내수면품종 중에서는 붕어가 19.4%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뱀장어(11.8%), 동자개(10.9%), 쏘가리(10.8%), 다슬기(8.4%), 메기(7.7%)의 순으로 나타났다. 총 45개 품종을 대상으로 1,120회의 검사가 의뢰되었으며, 검사 항목별로 2,105건의 검사를 실시한 결과 30건에서 koi herpesvirus (KHV), red sea bream iridovirus (RSIV),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또는 viral ha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와 같은 병원체가 검출되어 불합격 처리되었다.

방류용 수산종묘의 수산생물 병원체 검출 동향 (2009~2012) (Currant Status of Detection of Aquatic Animal Pathogens in Cultured Juveniles for Stock Enhancement from 2009 to 2012)

  • 조미영;원경미;한현자;김현정;지보영;김석렬;이순정;김진우;박명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9-110
    • /
    • 2013
  • 수산종묘는 인류에게 중요한 동물성 단백질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방류를 통한 수산자원 관리의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수산자원의 증강을 목적으로 2009년에는 33품종, 2010년에는 44품종, 2011년에는 43품종, 2012년에는 46품종에 대해 수산생물전염병에 대한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다. 검사품종 중에서 해면품종으로는 전복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해삼, 넙치, 조피볼락, 꽃게 순으로 나타났다. 내수면품종 중에서는 붕어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쏘가리, 대농갱이, 다슬기, 참게의 순으로 나타났다. 감성돔, 돌돔, 붉은쏨뱅이, 뱀장어는 4년 동안 지속적으로 검사 횟수가 감소하였다. 숭어에 대해서는 2009년에만 전염병 검사가 수행되었다. 8개의 검사 항목에 대해 총 8,476건의 검사가 실시되었으며, 56건 (0.67%)에서 koi herpesvirus, white spot syndrome virus, red sea bream iridovirus 또는 viral haemorrhagic septicemia virus와 같은 병원체가 검출되어 불합격 처리되었다.

담수역 징거미 새우(Macrobrachium koreana)의 음향 반사 강도 특성 (Acoustic target strength measurements on immobile riverine shrimp, oriental river prawn(Macrobrachium koreana), in freshwater)

  • 황보규;신현옥;조성호;이대재;강돈혁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4권1호
    • /
    • pp.37-45
    • /
    • 2008
  •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fisheries abundance in fresh water like a river or a lake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fisheries itself as well as tourist industry even if their scale is not much large. The species for catch in fresh water are mainly a mandarin fish, a carp, an eel, and others. Because oriental river prawn is a main prey of these species and the change in its abundance is directly related to their abundance change in fresh water, information on the abundance and distribution of the species are necessary. Hydroacoustic survey is known to one of the efficient method among several methodology. Information on acoustic target strength is key parameter to estimate abundance for acoustic survey. In this study, measurements on oriental river prawn, Macrobrachium koreana, were conducted for two high frequencies(200kHz and 420kHz) with tilt angle using automatic rotating system. The results of acoustic target strength obtained from the experiment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coustic scattering model, Distorted Wave Born Approximation(DWBA) model. For 200kHz, the result of acoustic target strength experiments was expressed in terms of the averaged target strength dependence on the body langth(BL, cm) as a following relationship; < $TS_{200kHz}$ > = 45.9log(BL) - 107.4. These results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studying acoustic target strength and conducting acoustic survey of oriental river prawn.

동.서양의 복식에 표현된 동물문양의 상징성에 관한 비교 연구 - 유교적 불교문화권과 그리스도교 문화권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symbols of animal patterns in oriental and occidental clothing - focusing on comparison of Buddhism- Confucianism and Christian cultural area -)

  • 이윤정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69-480
    • /
    • 2006
  • Patterns in clothing symbolize some specific meaning that differs across cultures and religions, although patterns have been mostly used to realize human desires to overcome natural hazards in every culture or religion. This research aims to compare animal patterns of Korea (Confucian/Buddhism culture) with those of Byzantine (Christian culture), based upon a research method of literature survey. It is found through the research that both cultures used common patterns, such as dragon, butterfly, bat, honeybee, peacock, fish, and chicken. In the case of dragon patterns, Korea used it to symbolize emperor, dignity, or authority, while Byzantine used it for devil. Bat patterns had different symbolic meanings in both cultures: they mean happiness, longevity, prosperity or many off-springs in Korea while they mean misfortune or unhappiness in Byzantine. On the other hand, the rest of animal patterns, including butterfly, honeybee, peacock, chicken, had quite a similar symbolic meaning. Butterfly means change of life or beginning of new life in Korea, whereas it means resurrection in Byzantine. Honeybee symbolizes diligence, order, and cooperation. Many animal patterns were used in both cultures at the same time. Another difference can be found in terms of the kind of animals; for example, Korea used wild goose, pheasant, giraffe, deer, mandarin duck & turtle, while Byzantine used eagle, snake, pigeon. Of course, each and every animal has its own meaning, mostly positive. Except dragons and bats, both cultures have a similar meaning in most of animal patterns. Generally speaking, Korea used imaginary animals to pray for human happiness, but Byzantine used real animals to pray for resurrections.

  • PDF

심층면접을 통한 충북지역 종가(宗家) 음식문화 특성 연구 (Specialized Research on Food Culture of Main Family in Chung-Buk through In-Depth Interview)

  • 김미혜;한정인;정혜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74-593
    • /
    • 2015
  • This research's main objective was to analyze the special qualities of food culture of the Main Family in Chung-Buk through a case study on the diversified types of meals that the Main Family cooked, such as courtesy food, normal food, and seasonal food. The research identifies traditional ingredients of specialties from Chung-Buk through old literature. According to "Sejongsillokjiriji", there are a myriad of ingredients:, including jujube, ginseng, pine mushroom, manna lichen, persimmon, mandarin fish, crab, sweetfish, lacquer, honey, and terrapin, which represent Chung-Buk's unique ingredients. Another reliable source, "Banchandungsok", does not provide a detailed list of traditional foods, but rather a simple list. The majority of food from Chung-Buk, in "Banchandungsok", consist of side dishes like kimchi and salt greens. Eventually, salt greens became diversified. As Chung-Buk is a landlocked province, people often used dried pollack. Kimchi and raw coaker were frequently used as well, and rice cakes encompassed multiple ingredients such as: jujube, mushroom, pine nut, and, dried persimmon. There were distinct differences in the diversity of food and amount of dishes used by the Main Families of Chung-Buk dependent on the ingredients and wealth of each Main Family. Chung-Buk has a landscape full of mountains, so potatoes were abundant and used to make potato Dasik. When cooking process was completed, people placed kelp on to the finished product. Seasonal foods were considered very important, especially on special occasions such as Backjoong, which was a day dedicated to laborers. These foodsprovided a good opportunity for the community to build stronger bonds by sharing rice cake and Yukgaejang with other members of the community. It is apparent that "Jeobbingac" culture, or guest culture, flourished since people in Chung-Buk are traditionally taught to leave spare food for the guest at all times.

섬진강과 임진강에 서식하는 쏘가리 Siniperca scherzeri (Perciformes, Centropomidae) 집단의 성 성숙 및 섭식특징 (Sexual Maturation and Feeding Habit of Korean Mandarin Fish, Siniperca scherzeri (Perciformes, Centropomidae) in the Seomjin River and Imjin River, Korea)

  • 이완옥;백재민;이종하;김경환;김치홍;윤승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7-66
    • /
    • 2012
  • 2008년 4월부터 10월까지 임진강과 섬진강에서 쏘가리의 산란 생태를 조사하였다. 산란에 참여하는 쏘가리 개체군의 체장과 생식소성숙도지수(GSI)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암컷은 체장 200mm 이상의 개체에서 성적으로 성숙하였고, 수컷은 체장 180mm 이상이 성숙되었다. 섬진강산 암컷의 GSI는 4월에 가장 높은 값인 7.43%를 나타냈지만, 이후 점차 감소하여 5월에 5.55%, 6월에 3.58%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다가 8월에 급격히 감소하고, 9월에 연중 최저치인 0.44%로 낮아졌다. 임진강산 암컷은 섬진강산 암컷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임진강산 수컷의 GSI 값은 암컷보다 높아서 4월 5.96%, 5월에는 8.03%까지 높아졌고, 6월 초부터 낮아졌으며, 6월말에 2.12%이었고, 9월에 0.2% 이하로 가장 낮게 나타난 후 점차 상승하여 10월에 0.54%이었다. 암컷의 생식소를 조직학적 관찰한 결과 섬진강과 임진강 집단에서 모두 GSI의 변화는 비슷하게 발달하였다. 쏘가리 위 내용물 중 어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섬진강과 임진강에서 각각 92.0%, 90.0%로 나타나 쏘가리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이었다. 쏘가리 위 내용물 중 소화가 많이 진행되어 종의 동정이 불가능한 어류의 비율이 각각 50.0%, 72.2%로 높게 나타났다. 쏘가리의 조사기간 중에 섭식율은 섬진강이 36개체로 38.3%, 임진강이 53개체로 21.8%로 매우 낮았다.

종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한 동물성 식품원료의 진위 판별법 개발 (Development of Species-Specific PCR to Determine the Animal Raw Material)

  • 김규헌;이호연;김용상;김미라;정유경;이재황;장혜숙;박용춘;김상엽;최장덕;장영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47-35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식품 중 동물성 사용원료의 진위 판별을 위하여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이용한 시험법을 개발하였다. 동물성 식품원료의 종 판별을 위한 유전자로는 미토콘드리아 DNA에 존재하는 COI, Cytb, 및 16S rRNA 유전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가공식품에 적용하기 위하여 PCR 산물의 크기는 200 bp 내외가 되도록 종 특이 프라이머를 설계하였다. 대상종으로는 가축류 2종, 가금류 6종, 민물어류 2종, 해양어류 13종 및 갑각류 1종, 총 24종을 선정하였으며 종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예상되는 PCR 산물의 생성 유무를 확인하였다. PCR을 수행한 결과 토끼, 여우, 꿩, 집비둘기, 멧비둘기, 메추리, 참새, 제비, 메기, 쏘가리, 날치, 열빙어, 청어, 까나리, 멸치, 참조기, 넙치, 조피볼락, 홍어, 가오리, 말쥐치, 농어, 성게 및 바닷가재에 대하여 각각 156, 204, 152, 160, 113, 163, 167, 152, 165, 121, 136, 151, 178, 178, 146, 188, 177, 166, 179, 218, 188, 185, 127 및 172 bp에서 PCR 증폭 산물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프라이머 별로 비교종에서는 비특이적 PCR 산물(non-specific PCR product)은 생성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전자 분석법을 이용하여 동물성 식품원료가 사용된 식품 원료 및 가공식품의 진위 판별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며, 불량식품 근절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쏘가리 (Siniperca scherzeri) 자치어의 골격 발달 (Osteological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s of Korean Mandarin Fish, Siniperca scherzeri (Perciformes, Centropomidae))

  • 명정구;문진희;김진구;박경동;강충배;김용억;박준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9-135
    • /
    • 2001
  • 강원도 춘천시 소양호의 2개소와 강원도 홍천강 지류에서 채포한 쏘가리 친어로부터 받은 수정난을 부화 사육하면서 성장에 따른 골격 발달을 조사하였다. 부화 후 3일째 전장 6.17 mm 자어에서 부설골 (parasphenoid), 쇄골 (clavicle), 설악골 (hyomandibular), 전새개골 (preopercle), 주새개골 (opercle), 악골과 7~8개의 송곳니(canine teeth)가 골화하기 시작하였다. 부화 후 10일째 전장 6.85 mm인 자어는 턱부분 중 윗턱이 신출 가능한 구조로 발달하였으며 양턱에 각각 19, 23개의 이빨이 형성되었다. 척추골은 앞에서부터 5~7개가 골화하기 시작하였다. 부화 후 22일째 전장 10.99 mm의 치어는 척추골이 12+16=28개로 골화가 완성되었다. 골격은 부화 후 3일째 전기자어기에 최초로 골화가 시작되어, 부화 후 22~24일째 전장 10~12mm인 치어기에 완료되었다.

  • PDF

일부 한국 노인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평가를 위한 핵심 음식 선택 (Key Food Selection for Assessement of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Some Korean Elderly)

  • 황수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61-369
    • /
    • 2016
  • 본 연구는 구강건강과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을 파악할 수 있는 핵심 음식 문항을 선택하기 위해 대전 동구보건소 노인 불소도포 스케일링 사업에 참가한 503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이용하였다. Kim 등에 의한 저작능력평가 한국음식 30종류 문항 중에서 한국 음식 섭취 빈도, 내적 일치도, 상관분석, 의사결정나무, 주성분분석, 요인분석 등을 통해서 13개의 문항으로 축약하였으며 원문항과 핵심 문항을 성별, 연령대, 치아수, OHIP-14에 따른 분석을 시행한 결과 원문항과 핵심 문항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냄을 보여주었다. 구강건강과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을 파악할 수 있는 13개의 핵심 문항은 단단한 음식군으로 단감, 땅콩, 깍두기, 캐러멜 4문항, 중강도 음식군으로 삼겹살, 찹쌀떡, 배추김치, 사과, 참외, 삶은 닭으로 6문항, 연한 음식군으로 생선조림, 귤, 국수 3문항이 선정되었으며, 본 문항을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설문조사와 함께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