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ondialdehyde

검색결과 1,039건 처리시간 0.036초

Isorhamnetin-3-O-galactoside Protects against CCl4-Induced Hepatic Injury in Mice

  • Kim, Dong-Wook;Cho, Hong-Ik;Kim, Kang-Min;Kim, So-Jin;Choi, Jae-Sue;Kim, Yeong-Shik;Lee, Sun-Mee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0권4호
    • /
    • pp.406-412
    • /
    • 201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f isorhamnetin-3-O-galactoside, a flavonoid glycoside isolated from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Compositae), against carbon tetrachloride ($CCl_4$)-induced hepatic injury. Mice were treated intraperitoneally with vehicle or isorhamnetin-3-O-galactoside (50, 100, and 200 mg/kg) 30 min before and 2 h after $CCl_4$ (20 ${\mu}l/kg$) injection. Serum aminotransferase activities and hepatic level of malondialdehyde were significantly higher after $CCl_4$ treatment, and these increases were attenuated by isorhamnetin-3-O-galactoside. $CCl_4$ markedly increased serum tumor necrosis factor-${\alpha}$ level, which was reduced by isorhamnetin-3-O-galactoside. The level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and heme oxygenase-1 (HO-1) protein and their mRNA expression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CCl_4$ injection. The levels of HO-1 protein and mRNA expression levels were augmented by isorhamnetin-3-O-galactoside, while isorhamnetin-3-O-galactoside attenuated the increases in iNOS and COX-2 protein and mRNA expression levels. $CCl_4$ increased the level of phosphorylated c-Jun N-terminal kinase,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and p38, and isorhamnetin-3-O-galactoside reduced these increases. The nuclear translocation of nuclear factor kappa B (NF-${\kappa}B$), activating protein-1, and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 (Nrf2)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CCl_4$ administration. Isorhamnetin-3-O-galactoside attenuated the increases of NF-${\kappa}B$ and c-Jun nuclear translocation, while it augmented the nuclear level of Nrf2. These results suggest that isorhamnetin-3-O-galactoside ameliorates $CCl_4$-induced hepatic damage by enhancing the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and reducing the inflammatory signaling pathways.

고지방식이로 유발한 흰쥐에서 쇠똥구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혈당강하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tive and Anti-hyperglycemia Effects of Dung Beetle Extracts on the High Fat Diet SD Rats)

  • 김하정;김반지;안미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772-781
    • /
    • 2016
  • 쇠똥구리는 동물의 분을 이용하여 토질을 개선시켜 지구 생태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곤충이다. 이 연구에서 수컷 SD rat는 5군으로 분리되어 PBS, 쇠똥구리 에탄올 추출물, 쇠똥구리 아세톤 추출물, 귀뚜라미 아세톤 추출물, 양성대조군으로 새우기름 그룹으로 나누었다. 13주령 쥐에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7주간 유도하고, 20주령부터 시험물질을 고지방 식이를 하면서 한 달간 투여하였다. 쇠똥구리 추출물의 투여는 체중과 복부지방과 부고환지방 중량의 감소로 이어졌다. 지질의 산화적 스트레스는 간에서 MDA를 측정하여 평가하였으나, 군간에 유 의성이 없었다. 단백질의 산화적 스트레스는 혈액에서 단백질 카르보닐 양으로 측정되었는데 쇠똥구리 에탄올 추출물과 쇠똥구리 아세톤 추출물에서 유의성있게 산화적 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 반면에 간에서의 단백질 카르보닐 양은 군간에 유의성이 없었다. 당뇨 혈관내피세포를 효소면역분석법을 사용하여 세포부착단백질인 laminin 과 fibronectin 수준을 측정하였더니 쇠똥구리 추출물에서 유의성이 있었다. 사이토카인 IL-10, IL-1β, VEGF, eNOS를 측정하였는데 IL-10에서 쇠똥구리 에탄올 추출물과 쇠똥구리 아세톤 추출물에서 유의성이 있었다. 항산 화효소인 SOD, GSH-Px 활성은 군간에 유의성은 없었지만,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고, CAT활성은 쇠똥구리 추출물에서 유의성있게 증가되었다. 지방조직 내의 포화지방산 비율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불포화지방산과 다 가불포화지방산은 증가하였다. 쇠똥구리 추출물의 지방조직 감소 및 여러 지질 수치의 향상효과는 쇠똥구리 추출물을 기능성 곤충 소재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인삼 추출물이 난소를 절제한 백서의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nax Ginseng Extract on Antioxidative Enzyme Activity in Ovariectomized Rats)

  • 하배진;황일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49-356
    • /
    • 2002
  • 노화과정에 산소라디칼이 관여할 가능성을 노화유도된 쥐를 동물모델로 하여 알아보았다. 난소를 절제한 rat와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정상의 rat에서의 생리활성에 미치는 인삼 추출물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난소를 절제한 rat에 각각 GTS (Ovx+GTS 군)와 GW (Ovx+GW 군)를 투여하고, 이것과 비교하기 위해 난소를 절제한 대조군(Ovx군)과 마지막으로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정상군(Sham군)으로 하여 항산화효과에 관한 실험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노화유도된 쥐의 각 조직에서 lipid peroxidation이 증가되었고 free radical반응이 더 심하게 일어난 간 조직에서 노화진행이 그만큼 촉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간소라디칼반응이 항진된 원인을 규명코자 간 조직에서 미토콘드리아와 세포질분획에서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조사한 결과, SOD와 glutathion reductase활성이 감소되었으며 노화나 지질과산화가 심하게 진행되었던 간 조직에서 이들 항산화효소의 활성감소가 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체는 free radical을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항산화계가 존재하여 free radical을 효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생체의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항산화계에는 superoxide dismutase (SOD), glutathion (GSH) peroxidase, GSH reductase, GSH S-transferase, catalase등의 항산화효소가 있다. SOD는 반응성을 가진 산소species인 superoxide anion을 macrophage와 polymorphonuclear leucocyte의 항균작용같은 세포방어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원칙상 눈, 피부등의 byaus이 공기중의 산소에 노출되면 oxidative stress가 커짐으로서 조직이 훼손되나 SOD같은 효소에 의해 보호되고 손상이 방지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실제로 신체부위에 적용해 보면 쉽게 활성상실이 일어나므로 fatty arid와 공유결합시켜 효과적으로 superoxide radical을 제거할 수 있다. AST의 활성은 Ovx군이 Sham군에 비해 2.11배 높게 나타났으며, ALT 활성은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AST 활성에서는 각각의 물질을 투여한 군에서는 유의적인 감소 경향을 보였다. 과산화지질함량은 Ovx군이 Sham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각각의 인삼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62%∼72%의 저해률을 보였다. 항산화 효소들은 Sham군에 비해 Ovx군에서 낮게 나타났는데, 각 물질의 투여 군에서는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서 보듯이, 난소 절제로 생성된 많은 free radical은 항산화효소에 의해서 감소되었으며, 그리고 인삼 추출물이 항산화 효소 대신에 노화를 저해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제스프리 그린 키위의 주요 영양성분 및 헥산 분획물의 신경세포 보호효과 (Nutritional Components of Zespri Green Kiwi Fruit (Actinidia delicosa)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the n-hexane fraction)

  • 진동은;김현주;정지희;조유나;권오준;최성길;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69-374
    • /
    • 2014
  • Zespri green kiwi의 무기질은 K, P, Ca 순으로 많았으며,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지방산 함량은 a-linolenic acid, oleic acid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유리당은 fructose 함량이 가장 높았다. Vitamin C와 ${\beta}$-carotene 함량은 각각 29.21 mg/100 g, $1.35{\mu}g/100g$이었다. Total phenolics는 n-hexane 분획물이 11.83 mg GAE/g으로 가장 높았으며, ABTS radical 소거활성 및 지질 과산화 억제활성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in vitro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oxidative stress에 대한 신경세포 보호효과 역시 농도의존적 경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생리활성 소재로서의 phenolics를 함유한 kiwi fruit (A.deliciosa)는 in vitro 항산화 활성과 함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기초로 한 고부가 가치 건강지향식품 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높다고 판단된다.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Krast)의 순차 분획물의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효과와 항돌연변이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Effects of Antioxidative stress, Antimutagenicity and Cytotoxicity of Cancer cells in Fractional Extracts from Ganoderma lucidum Karst)

  • 오세인;이미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6호통권90호
    • /
    • pp.759-768
    • /
    • 200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antioxidative effect of the hexane, dichloromethane, ethylacetate, butanol and water fractions of Ganoderma lucidum extracts on the inhibition of malondialdehyde(MDA) and bovine serum albumin(BSA) conjugation reaction, the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and the scavenging effect on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radical, the antimutagenic capacity as measured by the Ames test and the inhibitory effect on cancer cell. Ganoderma lucidum is believed to have possible antioxidative capacities, although the results have varied according to the assay method. The most effective antioxidative capacity was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Among the five fractions, water fraction showed strong inhibition rates on MDA & BSA conjugation reaction, and ethylacetate fractions showed the most effective inhibition rate on lipid peroxidation and scavenging effect on DPPH radical. The indirect and direct antimutagenic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Ganoderma lucidum were examined by Ames test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98 and TA100. Among the samples, the water fraction did not have any antimutagenic effect. The inhibition rates on mutagenicity in the presence of 2.5 mg/plate were nearly $100\%$ for Salmonella typhimurium TA98 and TA100 except the hexane fraction of the direct mutagenicity mediated by 2-Nitrofluorene in Salmonella typimurium TA98($64.69\%$). Under the 2.5 mg/plate concentration, the inhibitory effects of hexane and dichloromethane fraction were superior to that of the other fractions on the direct mutagenicity for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and indirect mutagenicity for Salmonella typhimurium TA98 and TA100. The inhibitory effect of Ganoderma lucidum extracts on cell proliferation in HeLa and MCF-7 was investigated by U test. The dichloromethane fraction showed highly antiproliferative effect in HeLa and MCF-7($IC_{50}$: 0.122 mg/mL, 0.272 mg/mL, respectively) cells while the water faction had a weak inhibitory effect($IC_{50}$: 0.691 mg/mL, 10.919 mg/mL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Ganoderma lucidum may have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capacities and may be a candidate of the prevention and dietetic treatment of chronic diseases and the development of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functional food.

구기자 추출물과 생과즙의 간독성 보호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Lycium chinense Mill Fruit Extracts and Fresh Fruit Juice)

  • 강경일;정진영;고경희;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99-103
    • /
    • 2006
  • 국내에서 선별 육종된 불로 구기자의 처리방법에 따른 간기능 보호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염화탄소$(CCl_4)$ 투여로 급성 간독성을 유발시킨 흰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건조구기자 추출물(DFE), 볶은 구기자 추출물 (RFE), 그리고 생과즙(FFE)을 경구 투여한 결과 군간의 체중증가량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체중 100 g 당 간 무게는 처리조건에 관계없이 구기자 추출물 및 생과즙 투여군이 유의적으로 낮은 간 무게를 나타내었다(p<0.01). 이것은 구기자 추출물과 생과즙 섭취가 $CCl_4$ 투여에 의한 지방간 형성 또는 간 독성에 의한 간 무게증가를 다소 완화하여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사염화탄소$(CCl_4)$ 투여에 의하여 흰쥐의 혈청 GPT 및 GOT 활성과 LDH 활성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볶은 구기자 추출물 투여군(RFEC)과 생과즙 투여군(FFJC) 모두 GPT, GOT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구기자 추출물과 생과즙 투여군 모두 대조군(CON)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고 중성 지방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간 조직의 MDA 함량과 GST, cytochrome P-450 활성 결과로 보아 구기자 추출물과 생과즙을 섭취 시 사염화탄소에 의한 독성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구기자 추출물과 생과즙은 $CCl_4$ 투여로 인한 지질 과산화, 지방변성, 간 세포 괴사 등을 억제 시키는 간 독성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쥐에서 n3계 불포화지방산 식이의 혈장지질 저하효과와 과산화물형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etary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Plasma Lipid-Lowering Effect and Peroxidation Level In Rats)

  • Choi, Joo Su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3권6호
    • /
    • pp.408-417
    • /
    • 1990
  • Sprague Dawley 종 수컷쥐(체중 약 450kg) 48마리를 3군으로 나누어 종류가 다른 불포화지방산으로 구성된 실험식이를 6주간 투여하였다. 이때 지방을 15%(W/W)로, 불포화지방산인 n6 linoleic acid의 급원으로는 옥수수기름, n3 $\alpha$-linolenic acid의 급원으로는 들기름, n3 EPA와 DHA의 급원으로는 생선유를 투여하되, 포화지방산과 monoenoic acid의 총량을 거의 같게 공급하여 불포화지방산의 영향만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어유를 투여한 군의 cholesterol과 HDL-chol양은 옥수수기름과 들기름을 투여한 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낮았으며, 불포화지방산의 혈장 cholesterol을 저하시키는 능력은 n3 EPA+n3계 불포화지방산군인 어유와 들기름군이 n6계 불포화지방산군인 옥수수기름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더 컸다. Lipoprotein의 상대적인 함량은 식이 불포화지방산의 종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혈장과 적혈구 및 간의 토로페롤 수준은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과산화산물 활성은 지방산의 불포화도 정도에 비례하여 증가되었으며 SOD활성의 증가로 인해 간조직의 과산화물의 수준이 감소되었다.

  • PDF

흰쥐에서 황칠나무 열수 추출물을 포함한 혼합물의 혈중 알코올 농도와 숙취 해소 효과 (Eliminatory Effect of Mixture including Hot Water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on Alcohol-induced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nd Hangover in Rat)

  • 나주련;김은;박소이;이기훈;정의선;김진석;김용재;김선오
    •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67-27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숙취해소에 좋은 것으로 알려진 식품 소재와 황칠나무 추출물을 복합하여 in vitro 및 in vivo에서 알코올 유도된 간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검토하였다. HepG2세포에서 300 mM 알코올과 SBJ 혼합물을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LDH 수치가 감소하였으나 황칠나무 추출물을 제외한 복합물인 SBJ-복합물에서는 그 효과가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In vivo에서 SBJ 혼합물의 보호효과를 확인하고자 흰쥐에 알코올과 SBJ 혼합물을 투여한 결과, 알코올 투여 후 1시간까지 급격하게 혈중 알코올 수치가 EtOH군에서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SBJ 혼합물 투여군은 유의적인 차이로 감소되었음이 관찰되었으며 또한 농도의존적인 경향을 확인하였다. ADH 및 ALDH 활성의 증가는 SBJ 혼합물의 알코올 분해 및 대사산물의 제거 활성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뿐만 아니라, 알코올에 의하여 증가한 LDH의 농도가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GST, SOD, GPx 및 reduced glutathione와 같은 항산화 인자 및 효소의 활성은 대조군보다 EtOH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 SBJ 혼합물에 의해 개선되는 경향을 관찰하였다. 이를 통해 SBJ 혼합물은 ADH, ALDH 활성 증가 및 항산화 방어계를 향상시킴으로써 산화적 스트레스 감소를 통한 간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간보호에 미치는 주요한 추출물은 황칠나무 추출물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숙취해소 작용을 갖는 신규 식품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 of stocking density and alpha-lipoic acid on the growth performance, physiological and oxidative stress and immune response of broilers

  • Li, Wenjia;Wei, Fengxian;Xu, Bin;Sun, Quanyou;Deng, Wen;Ma, Huihui;Bai, Jie;Li, Shaoy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12호
    • /
    • pp.1914-1922
    • /
    • 2019
  • Objective: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tocking density and alphalipoic acid (ALA) on the growth performance, feed utilization, carcass traits, antioxidative ability and immune response of broilers. Methods: A total of 1,530 22-day-old male broilers (Arbor Acres) with comparable body weights ($731.92{\pm}5.26$) were placed into 18 cages ($2.46{\times}2.02m$) in groups of 75 birds ($15birds/m^2$, $37.5kg/m^2$; low stocking density [LD]), 90 birds ($18birds/m^2$, $45.0kg/m^2$; high stocking density [HD]) and 90 birds with 300 mg/kg ALA added to the basal diet ($18birds/m^2$, $45.0kg/m^2$; HD+ALA, high stocking density+${\alpha}$-lipoic acid); each treatment was represented by 6 replicates. The experimental period was 3 week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 stocking density regimen resulted in a decreased growth, feed conversion ratio, carcass weight, thigh yield and bursa weight relative to body weight (p<0.05) on d 42. The abdominal fat yield in the HD+ALA group was lower (p = 0.031) than that of the LD group at 42 d. The 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ies in serum were increased, and malondialdehyde content decreased after adding ALA product (p<0.05) on d 42. Additionally, the serum concentrations of immunoglobulin A (IgA) and IgG were decreased (p<0.05) and the level of diamine oxidase was higher (p<0.01) in the HD group on d 42. Conclusion: The high stocking density significantly decreased broiler growth performance, feed utilization and carcass traits, increased physiological and oxidative stress and induced intestinal mucosal injury. The supplementation of ALA product in broiler diet at 300 mg/kg may reduce the adverse effects of high stocking density-mediated stress by maintaining the antioxidant system and humoral immune system.

시판 메밀차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 (Neuronal Cell Protec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Commercial Buckwheat Tea)

  • 정창호;정희록;최성길;심기환;허호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58-36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시판 메밀차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시판 메밀차 열수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FRAP 및 MDA 생성 저해 실험결과 농도 의존적인 경향이 나타났으며 또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었다. 과산화수소로 유발된 산화적 손상에 의한 ROS 축적량을 조사한 결과 $H_2O_2$ 단독 처리구보다 메밀차 열수 추출물 처리구에서 낮은 ROS 축적량을 나타내었다. MTT 및 LDH 분석을 통한 PC12 세포 중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 MTT 분석에서는 시판 메밀차 열수 추출물의 모든 농도에서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냈고, LDH 분석에서는 추출물에 의한 농도 의존적인 세포질 효소 (LDH) 방출량 감소가 관찰되었다. 총 페놀성 화합물, rutin 및 quercitrin의 함량은 각각 9,608.10 mg/g, 13.42 및 0.90 mg/100 g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rutin 및 quercitrin과 같은 다양한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한 시판 메밀차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과 산화적 스트레스로 유발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어 퇴행성 신경질환 등을 예방 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