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alonaldehyde (MA)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초

주요건어제품(主要乾魚製品)중의 Malonaldehyde(MA) 함량(含量)에 대(對)하여 (Malonaldehyde(MA) in Dried Fishery Products(note))

  • 김경임;최홍식;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85-187
    • /
    • 1974
  • 시판(市販) 주요(主要) 건어제품(乾魚製品)의 총(總) MA함량(含量) 및 동(同) MA의 유리(遊離) 및 결합상태(結合狀態)를 분획(分劃)해 본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총(總) MA의 함량(含量)을 TBA number로 표시(表示)해본 바, 건(乾) 멸치류가 비교적(比較的) 높았고 다음이 뱅어포이었으며, 오징어 및 명태류는 대체로 낮았다. 특히 멸치류는 종류에 따라 MA함량이 크게 달랐으며, 대살멸치(42.3)가 가장 높았고, 소살멸치(13.7)가 가장 낮았다. 그리고 명태도 건조공정이 상이(相異)한 제품 즉, 황태(黃太)(1.62) 및 흑태(黑太)(0.66) 등 종류에 따라 총(總) MA함량이 서로 차이가 있었다. 2. 총(總) MA함량이 가장 높은 대살멸치의 수용성획분(水溶性劃分)에 있어서의 결합(結合) 및 유리(遊離) MA를 Sephadex G-10 column으로 분획(分劃)해 본 결과, 2개(個)의 결합(結合) MA 및 1개(個)의 유리(遊離) MA가 chromatogram 상(上)에 나타났고, 결합(結合) 및 유리(遊離) MA의 비율(比率)은 94.5 : 5.5로서 대부분(大部分)이 결합상태(結合狀態)로 존재(存在)하고 있었다.

  • PDF

HPLC Detection of Free Malonaldehyde for Rapid Measurement of Lipid Oxidation Development

  • Key Whang;Kim, Chang-M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5권1호
    • /
    • pp.7-9
    • /
    • 2000
  • Variouss concentrationss of free malonaldehyde were prepared from 1,1,3,3-tetraethoxy propane (TEP).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and HPLC analysis of free malonaldehyde instead of malonaldehyde-thiobaribituric acid (MA-TBA) complex were conducted. Malonaldehyde was well separated on a $\mu$Bondapak C18 column. The absorbances at 254 nm and the HPLC peak areas of free malonaldehyde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its concentr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absorbances and peak areas was 0.998. The total time elapsed to conduct the whole procedure was less than 15 minutes. This method directly measured the amount of free malonaldehyde in a short period of time successfully. This procedure is expected to be used as a rapid, accurate and specific means to de-termine the development of lipid oxidation in food.

  • PDF

Detectio of Malonaldehyde-thiobarbituric Acid (MA-TBA) Complex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in a Model System

  • Whang, Key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4권3호
    • /
    • pp.167-170
    • /
    • 1999
  • Various concentrations of malonaldehyde (MA) produced upon hydrolysis of 1, 1, 3,3-tetraethoxypropane (TEP) were reacted with 2-thiobarbituric acid (TBA)and th e contents of MA-TBA complex were measured both with spectrophotometer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s the concentrations of MA-TBA increased, their absorbances and the corresponding HPLC peak areas increas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absorbances and HPLC peak areas of MA-TBA peaks from the other compounds and butanol extraction of the complex increased its recovery its recovery by 29.4% . Measurement of the content of MA-TBA complex for monitoring the development of lipid oxidation was proven to be successful with the use of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PDF

Aflatoxin 존재하에서의 수용액중 Malonadehyde 의 광화학적 변화 (Photochemical Changes of Malonaldehyde by the Presence of Aflatoxins in Model Systems)

  • 권태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5-50
    • /
    • 1969
  • 자외부흡광 스펙트럼의 변화와 티 비 에이(TBA) 반응으로 살필 때, 수용액의 송에서의 말론알데하이드(malonaldehyde)는 과장 $260m/{\mu}$ 부근의 자외선조명에 의하여 광화학적 변화를 받는다. 이 용액에 아프라톡신(aflatoxin) 을 가하면 파장 $360m/{\mu}$ 부근의 광선에 의해서 이와 같은 변화가 재빨리 일어나며, 또 보통 형광등을 이용한 실험실의 조명에 의해서도 비록 그 변화는 느려지지만 마찬가지로 일어난다. 이과 같은 변화는 비가역적이며, 이 반응에서 아프라톡신은 다만 감광제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 이 반응의 기작은 말론알데하이드 분자의 평행적 이중결합체 형성에 의한 것 같다.

  • PDF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한 빈카민 분석 및 빈카마이너의 항산화능 측정 (Analysis of Vicamine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Vincaminor Extract)

  • 정종희;백유미;이광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99-602
    • /
    • 2008
  • 빈카마이너 유효 성분인 빈카민은 인돌알카로이드의 일종으로 뇌혈관 질환 치료에 자주 사용 되어 왔다. 빈카마이너의 항산화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카마이너 추출액과 빈카민의 항산화능을 DPPH와 lipid MA 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빈카마이너 잎을 분쇄하여 물, 메탄올, 에탄올 용매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의 항산화능은 추출용매와 측정방법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DPPH 방법으로 항산화능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액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다. 그러나 lipid MA 측정법에 의한 결과에서는 에탄올 추출액이 5,000 ${\mu}g/mL$ 농도에서 대구 간유의 MA 형성을 82%까지 저해시킨 것으로 나타나 가장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다. 빈카마이너 추출액 중 빈카민은 HPLC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빈카민의 함량은 0.42$\pm$0.005 ${\mu}g/mL$이었다.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한 알파, 베타, 카로텐, 루테인 및 리코펜의 항산화효과 비교 연구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alpha$-, $\beta$-Carotene, Lutein and Lycopene by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 Kim(Jun), Hyeyoung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3권6호
    • /
    • pp.434-442
    • /
    • 1990
  • 과산화지질 반응 계에서 말론알데히드 정량을 위한 HPLC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알파-,베타- 카로텐, 루테인 및 리코펜의 간 마이크로좀 시스템에서의 항산화작용을 새로 개발한 HPLC 방법과 TBA 값으로 비교하였다. 해동횟수에 따른 간 마이크로좀의 말론알데히드 형성능력을 비교하였다. 결과로서, 말론알데히드는 5$\cdot6분만에 확인되었으며, pack area와 농도는 직선 관계를 나타내었다. 해동횟수 증가에 따라 마이크로좀의 지질과 산화 능력은 감소되었으며, 이는 세포막의 파괴에 기인한것으로 사료된다. Fe$^{+3}$-ADP/NADPH와 paraquar/NADPH 반응계에서 리코펜, 루테인 및 알파-카로텐은 베타-카로텐이나 토코페롤보다 강력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다. Fe$^{+3}$-ADP/NADPH 반응 계에서 카로테노이드와 토코페롤의 과산화지질 형성 억제효과는 TBA 값과 HPLC에 의한 말론알데히드 정량에 의해 비교해볼때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뽕나무가루 첨가 배지에서 배양한 버섯균사체 배양물의 자유라디칼 유도 산화 억제 (Inhibition of Free Radical-Induced Lipid Oxidation by the Extract from Submerged-Liquid Culture of Mushrooms in the Medium Containing Mulberry Tree Powders)

  • 김석종;임동길;박철우;세르보로다메;형석원;이강권;김정옥;하영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55-261
    • /
    • 2004
  • 뽕나무가루 첨가 배지에서 배양한 느타리버섯균사체 배양물의 조추출물이 자유라다칼로 유도한 linloeic acid의 산화를 대조구에 비해 75.9% 감소시켰고, mouse liver microsome산화에서도 NADPH/Fe$^{++}$ system에서 64.3% 감소시켰다. 이와 같은 효과는 조추출물로부터 용매분획한 분획물의 단독 효과보다 우수하였다. 상황 및 동충하초버섯균사체 배양물의 조추출물도 느타리 버섯균사체 배양물의 조추출물과 효과가 유사하였지만 다소 낮았다.

육가공 제품의 저장 및 조리방법이 지질산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rage Days and Cooking Method on Lipid Oxidation in Processed Meat Products)

  • 이재민;조정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9-79
    • /
    • 1995
  • Ham, sausage and bacon were treated with common household processing techniques including refrigerated storage(0, 14, 28 days) and cooking(pan-frying, microwaving, boiling). Lipid oxidation was evaluated by measuring fatty acid composition, malonaldehyde(MA), TBA values and by measuring fluorescent products. Major fatty acid composition were oleic acid and followed respectively palmitic acid, stear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atty acid composition by cooking method but there was a tendency of being increased of unsaturated fatty acid during 28days storage. Ma, TBA and fluorescent products showed a tendency of being increased continually according to storage days rather than cooking method.

뽕나무 첨가 배지에서 배양한 버섯균사체 배양물의 자동산화 억제 효과 (Inhibition of Lipid Autoxidation by the Extract of the Submerged-liquid Culture of Mushrooms in the Medium Containing Mulberry Tree Powders)

  • 김석종;임동길;형석원;김미숙;김정옥;김무남;이강권;하영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49-254
    • /
    • 2004
  • MM에 여러 가지 버섯균을 7일 동안 액체배양하고 균사를 제거한 배양물에 대한 항산화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료(1 mg)를 275 $\mu$mol linoleic acid가 함유된 배양액에첨 가하고 shaking incubator(200 rpm, 4$0^{\circ}C$)에 16일 동안 배양하면서 생성된 POV와 MA의 함량의 조사하였다. 이 결과를 BM에 서 배양한 버섯균사체배양물과 BMM 자체의 POV 및 MA 생성 결과와 비교하였다. AB-BMM과 HE-BMM의 항산화능이 다른 버섯균사체 배양물이나 BMM보다 우수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결과는 뽕나무는 버섯균사체액체배양물의 항산화성을 증가시켰고, AB -BMM 및 HE-BMM은 항산화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kappa}-Carrageenan$ 필름을 사용하여 포장한 고등어육의 수분 손실 및 지방 산화 (Effects of ${\kappa}-Carrageenan$-Based Film Packaging on Moisture Loss and Lipid Oxidation of Mackerel Mince)

  • 황금택;임종환;박현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90-393
    • /
    • 1997
  • 2% ${\kappa}-carrageenan$, 0.1% KCl, 0.75%, PEG, 및 0.75% glycerol을 사용하여 제조한 필름을 고등어육의 포장재로 사용 가능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포장 후 수분 손실 및 지방 산화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고등어육을 carrageenan 필름으로 포장하여 $20^{\circ}C,\;10^{\circ}C,\;0^{\circ}C$, 및 $-15^{\circ}C$에 저장하였으며, 포장하지 않은 시료도 $0^{\circ}C$에 저장하면서, 무게 감소, PV, TBA가 등을 측정하였다. $20^{\circ}C,\;10^{\circ}C$, 및 $0^{\circ}C$에 저장한 포장 또는 비포장 시료는 저장 후 15일 이내에 60%의 무게 감소 현상을 보였으나, $-15^{\circ}C$에 저장한 시료는 25일 후에도 약 3% 정도만의 무게 감소가 있었다. 포장하지 않은 채 $0^{\circ}C$에 저장한 시료는 지방 산화가 꾸준히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는데, PV는 20일만에 23 mequivalent peroxide (PO)/㎏, TBA가는 5일만에 $0.4\;{\mu}mole$ malonaldehyde (MA)/g에 도달한 반면, carrageenan 필름으로 진공 포장한 어육은 28일간의 저장기간 동안 저장 온도에 관계없이 PV 및 TBA가가 각각 2 mequivalent PO/kg 및 $0.4\;{\mu}mole\;MA/g$ 이하를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