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ignant tumors

검색결과 1,141건 처리시간 0.022초

Seroma prevention with topical Abnobaviscum sclerotherapy following excision of giant cervical lipoma

  • Jun Ho Choi;Seung Yeon Choi;Jae Ha Hwang;Kwang Seog Kim;Sam Yong Lee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17
    • /
    • 2023
  • Background: Lipomas are common benign tumors of mesenchymal origin that are composed of mature adipocytes. Giant lipomas have a diameter ≥ 10 cm in one or more dimensions or weigh at least 1,000 g. The surgical excision of a giant lipoma requires extensive dissection, increasing the risk of a seroma, which can cause surgical site complications such as wound infection and necrosis. Sclerotherapy with Abnobaviscum (Viscum album extract) is a relatively new technique used to reduce malignant pleural effusio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prophylactic sclerotherapy using Abnobaviscum to decrease seroma after giant lipoma excision.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medical record review of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excision for giant lipoma of the neck from January 2019 to December 2022. Sclerotherapy was performed on the first postoperative day in patients who consented to the procedure, and Abnobaviscum was instilled through the existing Hemovac drain. We compared the clinical course between those who underwent postoperative sclerotherapy and those who did not. Results: Among the 30 patients who underwent giant lipoma excision, we applied sclerotherapy with Abnobaviscum to 15 patients. The average time from surgery to Hemovac removal was statistically shorter in patients who underwent sclerotherapy (p= 0.004). Furthermore, seroma form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patients receiving sclerotherapy (p= 0.003). Conclusion: In patients undergoing giant lipoma excision, sclerotherapy using Abnobaviscum helps reduce postoperative seroma formation during the initial postoperative period. It can be an excellent method to reduce complications related to seroma and attenuate patients' postoperative burden.

후외측 목에 생긴 큰 규모의 근육간 지방종: 증례보고 (A Large Intermuscular Lipoma of the Posterolateral Neck: A Case Report)

  • 이경석;신재봉;김준식;도기철;김민형;김남균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9-21
    • /
    • 2023
  • Lipomas are a common soft-tissue tumor of mesenchymal origin, but intermuscular lipomas are very infrequently found especially in the cervical region. Although lipoma itself rarely causes complications, an accurate diagnosis and appropriate treatment are important. Surgical excision is indicated for deep lipomas that are 5 cm or larger, grow, or are accompanied by symptoms such as pain. It is also important to differentiate malignant tumors through pathological examination. Since the size of the lipoma was large, lipoma was divided into several pieces to successful removal, and the patient in this case showed successful recovery after surgery.

Radioactivity of biological samples of patients treated with 90Y-DOTATOC

  • Marija Z. Jeremic;Milovan D. Matovic;Nenad R. Mijatovic;Suzana B. Pantovic;Dragana Z. Krstic;Tatjana B. Miladinovic;Dragoslav R. Nikezic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5권10호
    • /
    • pp.3815-3821
    • /
    • 2023
  • Dosimetric studies in Nuclear Medicine are very important, especially with new therapeutic methods, the number of which ha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Theranostic approach (determining diagnostic-therapeutic pairs where similar molecules are labelled with different isotopes in order to diagnose and treat malignant diseases). Peptide receptor radionuclide therapy (PRRT) has been used successfully for many years to treat neuroendocrine tumors (NET). 90Y-DOTATOC is one of the radiopharmaceuticals used frequently in this type of therapy. In this work, blood and urine samples from 13 patients treated with 90Y-DOTATOC were measured by a liquid scintillation beta counter (LSC). Calibration of the beta counter for this type of measurement was done and all results are presented in the paper. The presented paper also provides a methodology for determining the measurement uncertainty for this type of measurement. Immediately after the administration of radiopharmaceuticals, the activity in the blood was different from 6.31% to 88.9% of the applied radioactivity, while 3 h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application, the average value of radiopharmaceuticals in the blood was only 3.84%. The activity in the excreted urine depended on the time when the patients urinated after the therapy. It was measured that as much as 58% of the applied radioactivity was excreted in the first urine after the therapy in a patient who urinated 4.5 h after the completed application of the therapy. In most patients, the highest urine activity was in the first 10 h after the application, while the activities after that time were negligibly low. The described methodology of measuring and evaluating activity in blood and excreted urine can be applied to other radiopharmaceuticals used in nuclear medicine. It could be useful for researchers for dosimetric assessments in clinical application of PRRT.

지대치 발거 후 임플란트 연관 상악 폐색장치 제작 증례보고 (Fabrication of implant-associated obturator after extraction of abutment teeth: a case report)

  • 장기열;이경제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9권4호
    • /
    • pp.229-236
    • /
    • 2023
  • 상악골 결손은 양성 및 악성 종양, 외상, 감염 등의 수술적 치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구개부의 결함이 발생하며 부비동과 비강으로 음식이나 액체가 통과하는 연하 문제나 비강으로의 공기 누출로 인해 발음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폐색장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나, 장기간 사용 시 구강 점막의 자극, 지대치 손상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최근에는 지대치 상실부위에 임플란트를 활용한 폐색장치 제작법이 각광받고 있다. 본 증례보고에서는 상악의 선암종으로 인한 부분 절제술을 받은 환자가 폐색장치의 장기간 사용 후 지대치가 상실되어 해당 부위를 임플란트로 수복, 임플란트 유지 상악 폐색장치를 제작, 적용하여 결손의 재활 및 저작, 연하, 발음, 심미성 개선 측면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여 보고하는 바이다.

만져지는 유방 종괴로 발현된 가슴벽 골외 유잉씨 육종의 초음파, 전산화단층촬영 및 자기공명영상 소견 (Extraskeletal Ewing Sarcoma of the Chest Wall Manifesting as a Palpable Breast Mass: Ultrasonography, CT, and MRI Findings)

  • 김민국;이승은;최준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1호
    • /
    • pp.212-218
    • /
    • 2021
  • 유잉육종계열의 종양은 뼈와 연부조직에 발생하는 악성 소원형청색세포종양이다. 골격외 유잉씨 육종은 드문 악성 종양으로 연부조직에 발생한 유잉육종의 한 형태이며, 소아와 젊은 성인에서 호발한다. 흉폐부위에 발생한 골격외 유잉씨 육종은 임상적으로 만져지는 종괴나 통증으로 나타난다. 골격외 유잉씨 육종이 앞가슴벽을 침범한 경우에는 유방 종괴로 나타날 수 있으나, 이러한 보고는 드물다. 저자들은 22세 여성에서 유방 종괴로 나타난 앞가슴벽에 발생한 유잉씨 육종의 증례를 보고한다. 초기의 초음파에서 이 거대 종괴는 유방에서 발생한 종괴로 오인되었으나, 추가적인 전산화단층촬영 및 자기공명영상에서 종괴는 흉벽에서 기원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영상의학과 의사는 골격외 유잉씨 육종의 영상 소견을 알고, 흉벽의 병변이 임상적으로 유방 병변으로 오인될 수 있음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Pericardial Window Operation in Oncology Patients: Analysis of Long-Term Survival and Prognostic Factors

  • Sung Min Kim;Jun Ho Lee;Su Ryeun Chung;Kiick Sung;Wook Sung Kim;Yang Hyun Ch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7권2호
    • /
    • pp.169-177
    • /
    • 2024
  • Background: Pericardial effusion (PE) is a serious condition in cancer patients, primarily arising from malignant dissemination. Pericardial window formation is a surgical intervention for refractory PE. However, the long-term outcome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postoperative survival remain unclear.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data from 166 oncology patients who underwent pericardial window formation at Samsung Medical Center between 2011 and 2023. We analyzed survival and PE recurrence regarding surgical approach, cancer type, and cytopathological finding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survival, we utilized Cox proportional-hazards regression. Results: All patients had tumors docu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staging manual, including lung (61.4%), breast (9.6%), gastrointestinal (9.0%), hematologic (3.6%), and other cancers (16.4%). Surgical approaches included mini-thoracotomy (67.5%) and thoracoscopy (32.5%). Postsurgical cytopathology confirmed malignancy in 94 cases (56.6%). Over a median follow-up duration of 50.0 months, 142 deaths and 16 PE recurrences occurred. The 1-year overall and PE recurrence-free survival rates were 31.4% and 28.6%, respectively. One-year survival ra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oracoscopy recipients (43.7% vs. 25.6%, p=0.031) and patients with negative cytopathology results (45.1% vs. 20.6%, p<0.001). No significant survival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lung cancer and other types (p=0.129). Multivariate analysis identified New York Heart Association class, cancer stage, and cytopathology as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Conclusion: This series is the largest to date concerning window formation among cancer patients with PE. Patients' long-term survival after surgery was generally unfavorable. However, cases with negative cytopathology or earlier tumor stage demonstrated comparatively high survival rates.

2021 한국 갑상선영상 판독과 자료체계의 임상적용 (Clinical Application of the 2021 Korean Thyroid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K-TIRADS))

  • 나동규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1호
    • /
    • pp.92-109
    • /
    • 2023
  • 갑상선 결절 환자에서 초음파 검사는 일차적 영상 진단법으로 정립되어 있으며 치료 결정을 위한 핵심적인 진단 역할을 갖는다. Korean Thyroid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이하 K-TIRADS)는 초음파 유형에 기초한 암 위험도 분류체계로서 실시간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면서 쉽게 결절 진단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개정된 2021 K-TIRADS는 결절의 초음파 분류 기준을 보다 명확히 하였고, 고위험 갑상선암의 의심 소견이 없는 환자에서 병리진단검사를 결정하는 결절 크기 기준을 개정하여 불필요한 병리진단검사를 최소화하고 적절한 갑상선암 진단 예민도가 유지되도록 개정하였다. 갑상선영상의학진료는 갑상선 결절 환자의 진단 및 비수술적 치료를 수행하는 중요한 임상적 역할을 가지고 있으며, 적절한 환자 진료를 위해서는 표준적 진료 지침에 근거하여 진료가 수행되어야 한다.

담즙의 세포병리학적 진단에 관한 연구 (Cytopathologic Diagnosis of Bile Obtained by Percutaneous Biliary Drainage)

  • 박인애;함의근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1
    • /
    • 1992
  • 췌-담도 및 배터 팽대부 주위의 암은 조기진단이 어려워 처음 발견시 질병이 상당히 진행되어 있어, 근치술은 물론 생검진단도 수행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흔히 있다. 과거 이런 환자들의 진단 방법의 하나로 십이지장에서 담즙을 얻어 세포병리 검사가 시도 되었었으나, 이 경우 얻어진 담즙에 위액 및 췌액이 섞여 있어 변성을 쉽게 초래하고, 염증세포들이 많이 섞여 있을 뿐만 아니라 주위의 염증으로 비정형 세포변화를 초래하여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흔히 있었다. 최근 이런 환자들에 있어 수반되는 증상인 폐색성 황달의 완화와 방사선학적 진단을 위해 경피 경간 담도 조영술 및 담즙배출술이 시행되고 있는데, 이때 비교적 세포형태가 잘 유지된 담즙을 반복 채취하여 세포 병리검사가 시행된다. 저자들은 이 방법으로 얻어진 담즙의 세포 병리학적 진단 성적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총 검체는 148명 환자의 275 검체로 이들의 세포 병리학적 진단은 선암 30예 (20.3%) 편평상피 세포암 1예 (0.75%), 전이성 소 세포암 1예 (0.7%), 선조성 비후 8예 (5.4%) 비정형 6예 (4.1 %), 간 흡충증 17예 (11.5), 양성 질환 57예 (38.5%)였고 28명 (18.9%)에서는 부적합 검체가 의뢰 되었었다. 그중 105명에서 의무기록의 확인이 가능하였는데 이들의 임상진단은 99명에서는 악성 질환 이었고 6명에서는 총 담관 결석과 협착과 같은 양성 질환 이었다. 담즙 세포 병리검사에서의 이들 악성 진단율은 23.2%이었다. 이들 악성 질환을 담도 유래의 종양과(1군)부근 림프절의 전이성암, 췌장암, 배터 팽대부 주위암 등의 외인성으로 담도를 압박하는 종양(2군)으로 나누어 보면 악성 진단율은 각각 37%와 11.6%로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이들중 조직학적 진단이 가능 하였던 9예의 경우 세포 병리 진단율은 각각 50%(1군)와 20%(2군)로 역시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임상진단이 양성 질환 이었던 예들은 전예에서 세포 병리학적으로 양성으로 진단되어 담즙 세포 병리검사의 임상진단과의 일치율은 27.6%, 특이도는 100%이었다. 이상으로 이 담즙세포 검사의 악성 진단율은 그리높지 않으나, 경피 경간 담즙 배출술로 환자의 증상을 완화 시키면서 부수적으로 진단도 얻을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라 하겠고, 그중 담도유래의 종양군에서 외인성으로 담도를 압박하게 되는 종양군에 비해 현저히 높은 진단율을 보였다.

  • PDF

폐과오종 37예에 대한 임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Pulmonary Hamartoma: 37 Cases)

  • 최시영;윤정섭;왕영필;박재길;박찬범;사영조;전현우;강철웅;김용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8호
    • /
    • pp.564-568
    • /
    • 2007
  • 배경: 폐과오종은 원발성 폐종양의 $2{\sim}5%$를 차지하며, 양성 종양 중에서는 가장 흔한 형태이나, 폐과오종에 대한 임상 고찰의 국내 논문은 흔하지 않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5년 5월까지 본원에서 조직학적으로 폐과오종이 진단된 3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결과: 발생빈도는 60대가 12예(32.4%)로 가장 많았다. 남성이 23명(62.6%)이었고, 여성이 14명(37.8%)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55.6세였다. 26명(70.3%)의 환자는 무증상이였고, 11명(29.7%)은 증상이 있었다. 29예(78.4%)는 폐실질내 과오종이였고, 8예(21.6%)는 기관지내 과오종이였다. 20예(54.1 %)가 우측폐에 발생하였으며, 17예(45.9%)가 좌측폐에 발생하였고, 우하엽이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다. 수술적 절제로 진단 받은 환자가 32명(86.%)이었으며, 기관지 내시경과 경피적 생검이 각각 4예(10.8%)와 1예 (2.7%)였다. 34예에서 종양제거를 시행하였으며 큰 합병증은 없었다. 재발이나 악성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폐과오종의 40대에서 60대의 남자에 흔하며, 우측폐에 더 빈발한다. 추적 검사기간 동안 재발이나 악성 변화는 없었다.

저온 열처리한 가토 좌골 신경의 재생 (Regeneration of Low Heat - Treated Sciatic Nerve of Rabbit)

  • 김재도;김상진;정철윤;홍영기;김기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0-88
    • /
    • 1997
  • 저온 열처리 후 신경의 기능적 회복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가토의좌골 신경을 $60^{\circ}C$로 30분간 처리한 후 2주, 4주, 8주, 12주, 16주 후에 근전도 검사 및 조직학적 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신경전도 검사에서 평균 진폭은 실험 2주째에는 5마리 중 1마리를 제외하고는 측정되지 않았으며, 4주째에는 대조군의 7.2%, 8주째에는 26.8%, 12주째에는 52.9%, 그리고 16주째에는 89.5%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평균 잠복기는 정상 대조군에서 0.62msec였으며, 실험군에서는 4주째에 3.58msec, 8주째에 2.68msec, 12주째에 1.2msec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회복되어, 16주째에는 0.622msec로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2. 침근전도 검사에서 실험 2, 4, 8주째까지는 많은 수의 세동전위 및 양성 예파가 관찰되었으나, 12주째부터는 그 수가 감소하여 16주째에는 세동전위는 관찰되지 않았고 양성 예파만 관찰되어 손상된 신경이 회복됨을 나타내었다. 3. 조직학적 검사에서 실험 2주 및 4주째에는 유수신경섬유에 상당한 공포성 변성이 있고 신경섬유의 수가 감소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신경섬유의 수가 점차 회복 되었으며 16주째에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보아 저온열처리에 의해 손상된 신경은 처리후 시간이 경과하며 기능적으로나 형태적으로 회복되므로, 임상적으로 신경이 종양조직으로 둘러싸이거나 접촉된 사지에서도 사지보존술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