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agneto-optic spatial light modulator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Design of Drive Line Shape for Reflective Magneto-Optic Spatial Light Modulator with High Switching Sensitivity by Computer Simulation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고 스위칭 감도를 갖는 반사형 자기 광학 공간 광 변조기의 드라이브 라인 형상 설계)

  • 박재혁;조재경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10 no.2
    • /
    • pp.93-98
    • /
    • 2000
  • Drive line shape for reflective magneto-optic spatial light modulator has been designed by computer simulation. A factor of 3 improvement in pixel switching sensitivity and power consump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reflective magneto-optic spatial light modulator, has been achieved by the use of wedge-shape drive line and a soft magnetic layer. A factor of 2 higher optical efficiency and a factor of 2 simpler fabrication process have been achieved by the use of drive lines that covers most of the surface of pixel and unpatterned insulator.

  • PDF

Fomation and Properties of Multiple-Tone Spatial Light Modulator using Garnet Film with In-Plane Magnetization

  • Tsuzuki, A.;Uchida, H.;Takagi, H.;Lim, P.B.;Inoue, M.
    • Journal of Magnetics
    • /
    • v.11 no.3
    • /
    • pp.143-146
    • /
    • 2006
  • We attempted to fabricate a new type of magneto optic spatial light modulator (MO-SLM) for multiple-tone modulation by using in-plane magnetization. In the MO-SLM, magnetic property of magneto-optical layer was modified to be suitable for multiple-tone expression by substituting Al in Bi:YIG film. At a driving current to 28 mA in an electrode of the fabricated MO-SLM, changes in brightness of pixels were observed using a polarization microscope.

Magneto-Optic Spatial Light Modulator (자기광학 공간 광 변조기)

  • Cho, Jaekyong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8a
    • /
    • pp.166-169
    • /
    • 2000
  • This paper briefly reviews magneto-optic spatial light modulators (MOSLMs) developed so far and discusses the design concepts, issues concerning its fabrication, and performances of a new MOSLM based on one-dimensional magnetophotonic crystal (1D-MPC). (omitted)

  • PDF

An Optical Micro-Magnetic Device: Magnetic-Spatial Light Modulator

  • Park, Jae-Hyuk;Inoue, M.;Cho, Jae-Kyeong;Nishimura, K.;Uchida, H.
    • Journal of Magnetics
    • /
    • v.8 no.1
    • /
    • pp.50-59
    • /
    • 2003
  • Spatial light modulators (SLMs) are centrally important devices in volumetric recording, data Processing, Pattern recognition and other optical systems. Various types of reusable SLMs with two-dimensional pixel arrays have been intensively developed. Of these, magneto-optic spatial light modulators (MOSLMs) have advantages of high switching speed, robustness, nonvolatility, and radioactive resistance. In this article, we review recent development work on MOSLMs, mainly in relation to our own studies.

Fabrication of Magneto-Optic Spatial Light Modulator based on 1D Magnetophotonic Crystal (MPC-MOSLM) (1차원 자성 포토닉 결정을 이용한 자기 광학 공간 광 변조기의 제조)

  • ;;Misuteru Inoue;Hideyoshi Horimai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8a
    • /
    • pp.192-193
    • /
    • 2000
  • 공간 광변조기(spatial light modulator)는 빛의 진폭, 위상 혹은 편광 상태를 공간적으로 변조하는 소자이다. 2차원적인 화소 배열을 갖는 공간 광 변조기는, 전자 소자들이 지니지 않는, 정보를 고속으로 병렬 처리할 수 있는 기능에 힘입어, 광상관기, 광컴퓨터, 프로젝션 TV, 빔 프로젝트, 홀로그래피 메모리의 핵심 소자로 지난 50년간 활발히 연구되어, 액정 공간 광 변조기, 자기 광학 공간 광 변조기$^{(1)(2)}$ 등이 개발되었다. 이 중에서 자기광학 공간 괌 변조기는 화소의 스위칭 스피드가 빠르고, 견고하고, 내방사능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비휘발성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주로 우주항공용의 Miniature Ruggedized Optical Correlator(MROC)$^{(3)}$ 에 사용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개념의 공간 광 변조기인 자성 포토닉 결정을 이용한 자기 광학 공간 광 변조기(MPC-MOSLM)의 제조에 관하여 논하고자 한다 (중략)

  • PDF

Design of Magneto-Optic Spatial Light Modulator Based on One-Dimensional Magneto-Photonic Crystal (1차원 자성 포토닉 결정을 이용한 자기 광학 공간 광 변조기의 설계)

  • 이종백;박재혁;조재경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8a
    • /
    • pp.190-191
    • /
    • 2000
  • 종래의 자기광학 디바이스는 자성체막을 빛이 투과할 때 얻어지는 페러데이 회전각을 이용했기 때문에, 페러데이 회전각을 증가시켜서, 광학적 성능을 증가시키려면 자성체막의 두께를 증가시켜야만 했다. 그러나, 자성체막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화소를 자기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자성체 막을 물리적으로 제거 해야하여 깊이가 깊어지고 그 후에 도선막을 구조화하기 위하여 파낸 화소간 갭을 다시 평탄화해야 하는 등의 제조 공정이 기술적으로 매우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자성체 막의 두께가 증가하면, 도선막에 전류를 흘려 발생하는 자장은 도선막으로부터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두꺼운 자성체 막 전체에 강한 자장을 인가하기 위해서는, 도선막에 흘리는 전류를 증가시켜야만 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중략)

  • PDF